[전체] “악학습령”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1)
사전(10)
- 악학습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13년(숙종 39) 이형상(李衡祥)이 편찬한 시조집. [내용] 필사본. 편자가 자필로 기록한 저서목록에 ‘악학습령’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형상의 10대손인 수철(秀哲)이 소장하고 있는 표지 없는 책을 심재완(沈載完)이 보고...이칭별칭병와가곡집
- 김진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숙종‧영조 때의 가인(歌人). [개설] 자는 군헌(君獻). 이형상(李衡祥)의 가집인 『악학습령(樂學拾零)』의 작가 목록에 신분이 서리(胥吏)로 밝혀져 있다. [생애 및 활동사항] 1766년(영조 42)에...이칭별칭 군헌(君獻)
- 이귀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李衡祥)이 쓴 ≪악학습령 樂學拾零≫에 전한다. 仁祖實錄
- 강호사시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선 초기에 맹사성(孟思誠)이 지은 시조. 4수로 된 연시조. ‘강호가(江湖歌)’ 또는 ‘사시한정가(四時閑情歌)’라고도 부른다. ≪악학습령 樂學拾零≫‧≪청구영언≫‧≪해동가요≫ 등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의 고향인 충청남도 온양의 새실마을이 이 작품의 배경인 듯하...이칭별칭사시한정가
- 김성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만들었다. 1779년에 편찬된 『어은보(漁隱譜)』는 『낭옹신보』를 저본으로 필사된 것이다. 『낭옹신보(浪翁新譜)』 『어은보(漁隱譜)』 『악학습령(樂學拾零)...이칭별칭 자호(子湖), 자호(子豪), 대재(大哉)| 낭옹(浪翁), 어옹(漁翁), 어은(漁隱), 조은(釣隱), 강호객(江湖客)
고서·고문서(1)
- 樂學拾零用例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樂學拾零用例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樂學拾零用例辭典 洪允豹 著 弘文閣 서울 1997 영인판 전문사전; 고전문학;...대표표제어樂學拾零用例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주제어사전(4)
-
악학습령 / 樂學拾零 [문학/고전시가]
1713년(숙종 39) 이형상(李衡祥)이 편찬한 시조집. 필사본. 제1장에서부터 제4장까지는 오음도(五音圖) 등이 수록되어 있고 다음에 백지 한 장을 끼우고 목록이 3장 있으며, 다음에 본문부 99장이 있다. 본문부는 13조목인데, 초중대엽·이중대엽·삼중대엽·북전(北殿
-
강호사시가 / 江湖四時歌 [문학/고전시가]
이며, ‘강호가’라는 일련의 자연애시조(自然愛時調)의 원류가 되는 작품이다.『악학습령(樂學拾零)』·『청구영언』·『해동가요』 등에 수록되어 있으며, 작자의 고향인 충청남도 온양의 새실마을이 이 작품의 배경인 듯하다. 춘하추동의 네 계절에 따라 한 수씩 읊고 있는데, 태평
-
김진태 / 金振泰 [문학/고전시가]
조선 숙종·영조 때의 가인(歌人). 이형상(李衡祥)의 가집인 『악학습령(樂學拾零)』의 작가 목록에 신분이 서리(胥吏)로 밝혀져 있다. 1766년(영조 42)에 증보한 『해동가요』의 부록인 『청구가요(靑丘歌謠)』에 김수장(金壽長)이 그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
고산구곡가 / 高山九曲歌 [문학/고전시가]
1578년(선조 11)이이(李珥)가 지은 시조. 10수의 연시조로 작자가 43세 때 해주 석담(石潭)에 은거할 때 지었다. 『율곡전서(栗谷全書)』를 비롯하여 『악학습령(樂學拾零)』·『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시가(詩歌)』·『악부(樂府)』(서울대학교본)·『청구영언(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