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악학” 에 대한 검색결과 2,1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67)

사전(89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음악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기관. [내용] 1406년(태종 6)에 음악이론을 학문적으로 다루기 위해 10학(十學 : 儒學‧武學‧吏學‧譯學‧陰陽風水學‧醫學‧字學‧律學‧算學‧)의 하나로 설립된 이후 1457년(세조...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십학(十學) 도감(都監) 문화예술/음악 개념용어 대한민국 고려~조선 고려~조선 이정희 [정의] 궁중음악 기관의 하나. [개설] 조선초기에 궁중음악과 관련된 행정...
    상위어십학(十學) | 관련어악학도감(樂學都監)
  • 궤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동동>과 <정읍>의 가사는 ≪대악후보 大樂後譜≫와 ≪악장가사 樂章歌詞≫에도 없고, 오직 ≪궤범≫에서만 볼 수 있는 노래이여서 국문학적으로 귀중한 자료이다. 권6의 아부악기도설(雅部樂器圖說)과 권7의 당부악기도설(唐部樂器圖說)은 먼저 악기의 전체 모양을 그림...
  • 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전기 궁중음악을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아래 두었던 음악기관. [내용] 1457년 (세조 3) 과 관습도감을 통합하여 세운 것으로, 1466년 장악서(掌樂署)로 흡수될 때까지 10년 동안 존속하였다. 과 관...
  • 습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13년(숙종 39) 이형상(李衡祥)이 편찬한 시조집. [내용] 필사본. 편자가 자필로 기록한 저서목록에 ‘습령’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형상의 10대손인 수철(秀哲)이 소장하고 있는 표지 없는 책을 심재완(沈載完)이 보고...
    이칭별칭병와가곡집

고서·고문서(338)

  • 내용분류교육/문화-예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拾零用例辭典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拾零用例辭典 인문학 한국어와문학 국문학 拾零用例辭典 洪允豹 著 弘文閣 서울 1997 영인판 전문사전; 고전문학;...
    대표표제어樂學拾零用例辭典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한국어와문학 | 소분류국문학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새해 신 남자 상해시(上海市) 알수없음 알수없음 음원 3 2 새해, 복, 만사, 충심, 학생, 신씨, 1984년,...
    대표표제어새해 | 성씨
  • 기타반주대백과 : 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
    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기타반주대백과 : 사전 예술체육학 음 연주/지휘/반주 기타반주대백과 : 사전 音院社編輯部 編 音院社 서울 1988 ...
    대표표제어기타반주대백과 : 사전 | 대분류예술체육학 | 중분류음악학 | 소분류연주/지휘/반주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동무 신 남자 상해시(上海市) 알수없음 알수없음 음원 7 2 동무, 희망, 지향, 음악, 선생, 직접, 지도, 환...
    대표표제어동무 | 성씨

구술자료(10)

  • 영광농악 전경환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영광농악 전경환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E-193 1682 전남 대담조사자료 1) 전경환의 음습과 활동 및 영광우도농악가락에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전경환
  • 장녹운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장녹운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A-304 2081 전북 대담조사자료 1) 장녹운이 자신의 음악입문동기와 음습 및 활동에 대하여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장녹운
  • 김계화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김계화 대담조사 예술·체육 작품 현대 A-001 3499 미상 대담조사자료 1) 대담자 김계화(본명 김순례)의 국습 과정과 판소리와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계화
  • 송희열 임헌하 대담자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시 중구 대흥동 조진경 국원 13:14 13:08 A-224 송희열 대담자료.pdf pdf A-224.jpg jpg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송희열
  • 송희열 임헌하 대담자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시 중구 대흥동 조진경 국원 13:14 13:08 A-224 임헌하 대담자료.pdf pdf A-224.jpg jpg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판소리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송희열

기초학문(231)

  • 궤범』취풍형의 회무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선숙, 게재일 : 2013
    56754 손선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무용역사기록학회 2013 궤범』취풍형의 회무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중국의 대곡과 궤범의 곡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1
    32778 한국연구재단 세계음회 2001 중국의 대곡과 궤범의 곡파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東夷文化圈의 考古音的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진원, 게재일 : 2006
    19008 이진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음악사학회 2006 東夷文化圈의 考古音的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한국유성기음반 DB구축을 통한 음적 활용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소현, 게재일 : 2007
    26148 박소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회 2007 한국유성기음반 DB구축을 통한 음적 활용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궤범』 〈봉래의〉 전인자․후인자의 실연구조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손선숙, 게재일 : 2013
    56713 손선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무용역사기록학회 2013 『궤범』 〈봉래의〉 전인자․후인자의 실연구조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62)

  • 今冬議會に提出したい美術音校設立案 (이번 겨울 회의에 제출하고 싶다미술음교 설립안)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기사명_원문今冬議會に提出したい美術音楽学校設立案 | 기사명_한글이번 겨울 회의에 제출하고 싶다미술음악학교 설립안 | 부제_원문崇高なる芸術の力を透して内鮮人の融和を計るべく | 부제_한글숭고한 예술의 힘을 들여서 내선인의 융화를 계획해야 한다 | 게재일19220422 | 게재판 | 게재면02 | 게재단4-5
  • 쁘·아·부듸낀 평양특별시 조선신문사 (니즈니따길) 노워-따길쓰크 제철공장에서는 음교를 개교하였다. 음교 내에는 피아노, 바요린, 수풍금, 아코디온 등 4개 반이 있다. 이 학교에서는 공장 직원들의 자녀 40명이 공부하고 있다. 공장당국은...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9_0130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쁘·아·부듸낀 평양특별시 조선신문사 (크라쓰노우핌쓰크통신) 스웨르들로브 주 크라쓰노우핌쓰크 구역 알렉싼드롭쓰크 농촌에는 아동 음교를 설립하였다. 이 학교에서는 「51」 꼴호즈 내 아동들이 공부한다. 음교 내 피아노과는 경험 있는 교원...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8_0512_01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쁘·아·부듸낀 평양음교 새로운 음악가들을 양성하는 평양시 음교는 작년 9월에 창립되었다. 그동안 이 학교에서는 성악, 바이오린, 비올라, 작곡, 피아노과 등으로 분과하여 교수하여 왔는데 얼마 후이면 여기에서 새로운 지식을 받은 제1회 졸업...
    대표표제어조선신문_1947_0201_03 | 책임주필쁘·아·부듸낀
  • 145 한효 평양시 민본리 15 투사신문사 리석예 국립극장, 황해도립극장, 대중극장, 평양영화관, 시립예술극장, 국립예술극장, 동평양영화관, 인민군예극장, 국립음교 국립극장 황해도립극장 공연 “침범” 20일부터 대중극장 “즐거운...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50_0620_04_02 | 책임주필한효

멀티미디어(341)

  • 전통시대 한국문화의 전파와 교류_2주차_1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난징대학교 역사학박사 오지혜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음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학사 박진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학
    강좌제목한류와 한국사 | 강의자홍용진 윤은자 오지혜 박진 김난옥 이민주
  • 전통시대 한국문화의 전파와 교류_2주차_2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난징대학교 역사학박사 오지혜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음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학사 박진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학
    강좌제목한류와 한국사 | 강의자홍용진 윤은자 오지혜 박진 김난옥 이민주
  • 전통시대 한국문화의 전파와 교류_2주차_3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난징대학교 역사학박사 오지혜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음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학사 박진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학
    강좌제목한류와 한국사 | 강의자홍용진 윤은자 오지혜 박진 김난옥 이민주
  • 전통시대 한국문화의 전파와 교류_2주차_4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난징대학교 역사학박사 오지혜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음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학사 박진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학
    강좌제목한류와 한국사 | 강의자홍용진 윤은자 오지혜 박진 김난옥 이민주
  • 전통시대 한국문화의 전파와 교류_2주차_5차시
    [K히스토리 교육 콘텐츠 개발과 글로벌 확산 연구 | 고려대학교]
    난징대학교 역사학박사 오지혜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한국학중앙연구원 음 박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음 학사 박진 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 고려대학교 사학과 석사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학
    강좌제목한류와 한국사 | 강의자홍용진 윤은자 오지혜 박진 김난옥 이민주

기타자료(189)

  • 습에 있어서의 평가문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습에 있어서의 평가문제 음습에 있어서의 평가문제 音習에 있어서의 評價問題 교육 문헌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교육평가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손계현 | 사료철명교육연구
  • (교육논단) 음습과 민요의 위치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음습과 민요의 위치 (교육논단) 음습과 민요의 위치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서재수 | 사료철명부산교육
  • (음악교육) 음습 전개 시의 제문제 (2)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교육) 음습 전개 시의 제문제 (2) (음악교육) 음습 전개 시의 제문제 (2)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엄정현 | 사료철명강원교육
  • (음악교육) 음습전개시의 제문제 3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음악교육) 음습전개시의 제문제 3 (음악교육) 음습전개시의 제문제 3 (音樂敎育) 音習展開時의 諸問題 3 교육 문헌 교육총류 교육학 교육과...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엄정현 | 사료철명강원교육
  • (각과 지도) 건반 악기 기도 체계화에 의한 기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각과 지도) 건반 악기 기도 체계화에 의한 기습 (각과 지도) 건반 악기 기도 체계화에 의한 기습 교육 문헌 현대 교육과정 교과교육 교육과정 ...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오민수 | 사료철명문교경북

연구과제(4)

주제어사전(54)

  • / [예술·체육/국악]

    조선 전기 음악에 관한 일을 관장하던 기관. 1406년(태종 6)에 음악이론을 학문적으로 다루기 위해 10학의 하나로 설립된 이후 1457년(세조 3) 관습도감과 통합되어 도감으로 개칭될 때까지 음악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기능은 음악에 관한 옛 문헌들을 고찰

  • 궤범 / 軌範 [종교·철학/유학]

    조선시대의 의궤와 악보를 정리하여 성현 등이 편찬한 악서. 9권 3책. 인본. 1493년(성종 24)에 예조판서 성현, 장악원제조 유자광, 장악원주부 신말평, 전악 박곤·김복근 등은 왕명을 받아 당시 장악원에 있던 의궤와 악보가 오래되어 헐었다. 그것을 수교하기 위하여

  • 습령 / 拾零 [문학/고전시가]

    1713년(숙종 39) 이형상(李衡祥)이 편찬한 시조집. 필사본. 제1장에서부터 제4장까지는 오음도(五音圖) 등이 수록되어 있고 다음에 백지 한 장을 끼우고 목록이 3장 있으며, 다음에 본문부 99장이 있다. 본문부는 13조목인데, 초중대엽·이중대엽·삼중대엽·북전(北殿

  • 관습도감 / 慣習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음악에 관한 행정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밑에 두었던 관아의 하나. 1393년(태조 2)에 설치된 관습도감은 1457년(세조 3) 과 병합될 때까지 60여년 동안 봉상시·전악서·아악서· 등 예조 산하의 음악기관과 함께 음악에 관한 업무를 나누어

  • 곡파 / 曲破 [예술·체육/무용]

    무보(舞譜)가 『궤범』 권4에 전한다.『세종실록』 권29에 의하면 오랫동안 쓰이지 않아 잊어버릴 위기에 놓여 있던 「곡파」가 1425년(세종 7) 9월에 재연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그런데 『궤범』에 「곡파」의 무보가 전하는 것으로 미루어, 그 뒤 다시 정리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