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악생” 에 대한 검색결과 2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70)

사전(12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삼국시대 일본에 건너가 활동했던 음악인. [내용] 『직원령(職員令)』에 의하면 일본 나라시대(奈良時代)에 파견하였던 우리 나라 들은 대보(大寶, 701∼703) 때 아악료(雅樂寮)에 고려 20명, 백제 20명, 신라 20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아악서(雅樂署)‧전악서(典樂署)‧장악원(掌樂院)에서 의식음악과 의식무용을 전문적으로 담당하였던 음악인. [내용] 들은 장악원의 좌방(左坊) 소속으로 있으면서 아악만을 연주하였으며, 이들은 향악이나 당악을 연주하였던 악공들과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장악원(掌樂院)의 좌방(左坊) 소속 음악인.
    정의조선시대 장악원(掌樂院)의 좌방(左坊) 소속 음악인.[한겨레음악대사전] | 문광부표기aksaeng | MR표기aksae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악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篌)ㆍ막목(莫目)ㆍ무(舞)를 가르쳤고, 신라악사 2명은 가얏고(琴)와 춤(舞)을 가르쳤다. 삼국의 악사들은 일본 궁중에 머무르면서 삼국의 ()들을 가르쳤으므로, 그들의 직분은 의 것과 구분되었다. 「일본에 전하여진 백제악」(이혜구,...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공인(工人), 악공(樂工), 악사(樂師), 악인(樂人), 잡직(雜織), 체아직(遞兒職) 당악(唐樂), 속악(俗樂), 아악(雅樂), 일무(佾舞), 취재(取才), 향악(鄕樂) 정치행정/관속 직역 대한민국 조...
    상위어공인(工人), 악공(樂工), 악사(樂師), 악인(樂人), 잡직(雜織), 체아직(遞兒職) | 관련어당악(唐樂), 속악(俗樂), 아악(雅樂), 일무(佾舞), 취재(取才), 향악(鄕樂)

고서·고문서(116)

  • 33751 B033751 남산 南山 산악 大東地誌 권1 경기도 廣州府 驛站 慶安道東南三十里○屬驛七○良才驛西三十里奉安驛東三十里德豐驛北十五里驛南三十里革廢長嘉驛 安業驛 南山驛饒呑驛 步撥新川 栗木 黔北 慶安 雙橋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鄕藥集成方 第十七 傷寒門 走馬黃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211 走馬黃 聖惠方論曰走馬黃者眼目黃赤煩亂狂言起臥不安氣力強壯唯愛嗔怒努目高聲打罵他人猶如癲醉若瘚逆者難治【聖惠方】治走馬黃 小麥一兩竹葉一薑半兩切 右以水一大盞半煎至八分去滓入馬糞汁一合攪...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贈別李【重協】虞候詩帖序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kr/inLink?DCI=ITKC_MP_0597A_0120_070_0100_2014_002_XML 002 於苦,苦者樂之根也,苦生於樂,樂者苦之種也。苦樂相生,如動靜陰陽,互爲其根。達者知其然,察倚伏算乘除,使吾心之所以應於境者,恒與衆情相反然。故二者得分其趣而殺其勢,若耿壽...
    권차명文集 卷十二 | 문체序跋類|序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33715 B033715 남산 南山 산악 大東地誌 권2 경기도 驛站 _ 京都驛二 靑坡 蘆原迎曙道楊州碧蹄高陽馬山坡州東坡長湍靑郊開城○迎華道水原良才 廣州駒興 金嶺龍仁佐贊 分行竹山無極陰竹果川果川海門南陽加川陽城康福安城○平邱道 雙樹 綠楊 仇谷楊州奉安廣州娛賓楊根田谷 白冬砥平甘...
    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民得以安業, 設倉一款, 許令廟堂稟處, 雖非船粟, 足可濟活, 則陸民之賴而息肩, 亦甚幸也。 然此時守宰, 若付生手, 何以弛宵?遠顧重溟之念乎? 以爾陞拜牧使, 除朝辭察任, 政官卽爲牌招, 開政下批, 文試試券, 待上來科次下送, 而島中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26)

기타자료(2)

  • 안낙생;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405 중국 상하이 학교(집합) 소화9년도종합보고(193311~193410) 재상해조선총독부파견원 1934 13면 1. 유학생 조사표(전문학교 이상) 안낙생;安 황해 신천군 두라면 청계리;法界
    학교소재지역상하이 | 학교명학교(집합)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타시도 연구 보고 우수 내용) 경기도 낙생국민학교 교육방송 활용연구사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타시도 연구 보고 우수 내용) 경기도 낙생국민학교 교육방송 활용연구사례 (타시도 연구 보고 우수 내용) 경기도 낙생국민학교 교육방송 활용연구사례 (他市道 硏究 報告 優秀 内容) 京畿道 國民學校 教育放送 活用硏究事例 교육...
    범주1초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이순호 | 사료철명충북교육

주제어사전(13)

  • /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아악서·전악서·장악원에서 의식음악과 의식무용을 전문적으로 담당하였던 음악인의 한 부류. 들은 장악원의 좌방 소속으로 있으면서 아악만을 연주하였으며, 이들은 향악이나 당악을 연주하였던 악공들과 구분되었다. 들은 양인중에서 선발되었기 때문에, 공천 중에

  • 악인복 / 樂人服 [생활/의생활]

    악사(樂師)·전악(典樂)·()·악공(樂工) 등과 노래하는 사람의 복식. 악인들은 양인·천민출신이지만 의식(儀式)에 직접 참여하여 음악을 연주하는 특수한 직분의 사람들이므로, 연주시에는 특별히 공복(公服)과 관복(冠服)의 착용이 허용되었다. 악인의 구분과 의식의

  • 기술관 / 技術官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조선 시대의 전문기능직 관원. 잡학이라고 불린 기술학에 종사하는 관직자들을 총칭하였는데, 역관·의관·천문관·지관·산관·율관·화원·도류·금루··악공·상도·지도·화사·공제·공조·재부·선부 등이 있었다.

  • 부전음 / 副典音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성종 때 처음 보이고, 품계는 종8품이었다. 모두 4인으로 1인, 아공 3인으로 구성되었다. 실제의 음악을 담당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이 인원은 영조 때에도 같았다.

  • 교방사 / 敎坊司 [예술·체육/국악]

    속되었던 772명의 악공과 들을 305명으로 감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