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악기조성청” 에 대한 검색결과 2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2)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치하였다. 1744년(영조 20) 창덕궁(昌德宮)의 화재로 타버린 악기를 다시 만들려고 인정전(仁政殿) 이 설치되었는데, 이 때 편종 2틀, 편경 2틀, 어(敔)‧축(柷)‧건고(建鼓)‧응고(應鼓)‧삭고(朔鼓) 각 1개씩 제작하였다.
  • 의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악기의 제조를 위하여 설치되었던 에서 있었던 전말을 기록한 책. [내용] 3책. 필사본.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인정전의궤 仁政殿儀軌≫‧≪경모궁의궤 景慕宮儀軌≫‧≪사직궁의궤...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 악기도감(樂器都監) 악기개수청(樂器改修廳) 문화예술/음악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후기 조선후기 이정희 [정의] 궁중에서
    동의어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 악기도감(樂器都監) | 관련어악기개수청(樂器改修廳)
  • 악기장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조선시대에는 악기가 다량으로 필요할 때에는 그때마다 궁중에 ()을 설치하여 악기장을 채용하여 썼다. 이러한 명맥을 이은 강상기(康相騎)라는 장인이 있었으나 후계가 끊겼다. 또, 각 지방에는 악기장이 공방을 차리고 악기를 만들었는데,...
  • 악기도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때 정윤박(丁潤璞)이 감조전악(監造典樂)으로 큰 공을 세웠다. 조선시대에 악기제작을 위한 임시기관은 악기감조색(樂器監造色, 1430)‧악기수개청(樂器修改廳, 1627)‧(, 1682) 등이 있었으나, 인조 이후에는 에 의하여 주로...

고서·고문서(3)

  • 사직의궤(社稷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803년(순조3) 11월에서 1804년 5월에 걸쳐 에서 사직악기고의 화재로 소실된 사직 악기를 복구한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1803년 11월 3일 실화로 사직악기고 3칸이 모두 불타고, 보관중인 악기와 관복도 대부분 불타거나 파손되었다. 11월 3일 곧...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인정전의궤(仁政殿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1744년(영조21) 10월부터 1745년 5월에 걸쳐서 에서 인정전의 악기를 만든 과정을 기록한 책이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다양한 용도로 악기가 연주되었다. 창덕궁 인정전에는 전정헌가악기(殿庭軒架樂器)가 배설되는데, 1744년 10월 14일 밤 창덕궁 인...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경모궁의궤(景慕宮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
    모궁 제례는 태묘(太廟)보다 한 등급 낮게 정했다. 경모궁 제례악은 아악기, 당악기, 향악기 등 총 25종 36개의 악기가 등가(登歌), 헌가(軒架)에 편성되어 연주되며 여기에 36명이 추는 육일무(六佾舞)가 수반되었다. 악기조성을 위해 ()을 설치하...
    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4)

  • 의궤의 어휘 차자표기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황금연, 게재일 : 2015
    46242 황금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배달말학회 2015 의궤의 어휘 차자표기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1744년(영조 20) 仁政殿 화재와 1745년 《仁政殿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지원, 게재일 : 2003
    13983 송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744년(영조 20) 仁政殿 화재와 1745년 《仁政殿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776년(정조 즉위) 景慕宮 건립과《景慕宮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지원, 게재일 : 2003
    13299 송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776년(정조 즉위) 景慕宮 건립과《景慕宮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803년(순조 3) 社稷 樂器庫 화재와 1804년《社稷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지원, 게재일 : 2003
    13394 송지원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03년(순조 3) 社稷 樂器庫 화재와 1804년《社稷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주제어사전(1)

  • / [예술·체육/국악]

    린 악기를 다시 만들려고 인정전(仁政殿) 이 설치되었는데, 이 때 편종 2틀, 편경 2틀, 어(敔)·축(柷)·건고(建鼓)·응고(應鼓)·삭고(朔鼓) 각 1개씩 제작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