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아학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9)
- 아학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大學, 1979) 아학편 아학편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이 아동의 한자학습을 위하여 엮은 문자교육용 교재. 규장각도서....
- 계몽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경향을 답습하고 있는 것이다. 즉 ≪유합 類合≫‧≪훈몽자회 訓蒙字會≫‧≪아학편 兒學編≫‧≪정몽유어 正蒙類語≫ 등 일련의 문자교육용 교재는 모두 천‧지‧인‧동물‧식물‧주‧식 등의 항목설정을 통하여 문자교육을 하였던 것이다. 그리고 산법이 소개되어 있어 윤리덕목 중...
- 삼(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경우가 있고, 악공복 중 홍초삼(紅綃衫), 녹초삼(綠綃衫), 조주삼(皂紬衫) 등 색채와 소재의 특성을 묘사한 경우가 있다. [연원 및 변천] 한자 명칭에 대응하는 한글 명칭을 확인할 수 있는 어휘집인 『훈몽자회(訓蒙字會)』, 『아학편(兒學編)』, 『왜어유해(倭語...관련어상의(上衣), 의(衣), 적삼(赤衫)
- 정몽유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약용(丁若鏞)의 ≪아학편 兒學編≫에 보이는 유집지법(類輯之法)을 본따서 만들었으며, 앞에 이 책의 편찬동기를 적은 서문(序文)이 있다. 그 끝에 “조선개국사백구십삼년갑신동지대계서(朝鮮開國四百九十三年甲申冬至大溪書)”라는 글이 있어서 이 책의 편찬연도와 편찬자를 알 수 있...
- 교치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성된 ≪아학편 兒學編≫을 간행하였다. 또한, 증선지의 ≪사략≫이 지닌 값어치는 주자(朱子)의 ≪소학 小學≫에 비하여 훨씬 그 가치가 적은 교재로서는 가치가 없음을 주장하였다. 역사서에 있어서도 천황씨(天皇氏)‧인황씨(人皇氏) 등 믿을 수 없는 전설이나 신화와 같...
단행본(1)
- 정본 여유당전서 37-보유 3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문학 | 유형단행본9.與猶堂雜考 10.讀尙書補傳 11.方橋記聞 12.永祐錄 13.四庫易議 14.敎穉說 15.兒學編 16.大東禪敎考
고서·고문서(3)
- 兒學編 上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780 與猶堂全書補遺○兒學編 ITKC_MP_0597A_1780_000_0010 兒學編 上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兒學編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兒學編 下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780 與猶堂全書補遺○兒學編 ITKC_MP_0597A_1780_000_0020 兒學編 下 정약용(丁若鏞) 雜著類|其他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與猶堂全書補遺○兒學編 | 문체雜著類|其他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上仲氏【辛未冬】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輩作也。聞來人言,先生亦有所輯此等文字,不必一家之內,各立二門,以此行用,未知如何。其文例雖若宂長,使小兒輩誦讀,不得不如是也。又其法以什爲度,故或有苟充者,或有冤屈者。然世俗通行之文字,不如是不行。先生所著《蒙學義彙》,豈不精嚴?而我所輯《兒學編》二卷,限之以二千字,其上卷有形之物也,其下卷物情事...권차명文集 卷二十 | 문체書簡類|書簡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아학편 / 兒學編 [언론·출판/출판]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이 아동의 한자학습을 위하여 엮은 문자교육용 교재. 2권 1책. 상하 두 권으로 나누어 각각 1,000자의 문자를 수록하여 도합 2,000자로 이루어져 있다. 저자는 당시 대표적인 한자학습서인 ≪천자문≫이 체계적인 글자의 배열과 초학
-
한자교육 / 漢字敎育 [언어/언어/문자]
는 ≪천자문≫이나 ≪유합≫ 등이 일상생활과 거리가 먼 고사(故事)와 추상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에 아동들의 학습서로서 부적합하여 이를 보충하는 의미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 밖에 ≪신증유합 新增類合≫·≪아학편 兒學編≫ 등이 있는데, 이들은 초보적인 한자교육을 위한 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