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아차산”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21)
사전(60)
- 아차산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에 있는 삼국시대의 산성. [내용] 사적 제234호. 지정면적 103,375㎡, 둘레 약 1,000m. 아차산(峨嵯山)의 경사진 산허리의 윗부분을 둘러쌓은 테뫼식산성으로 현재 동‧서‧남쪽에 문지(門址)...이칭별칭아단성(阿旦城)|아차산성(阿嵯山城)|장한성(長漢城)|광장성(廣壯城) | 연계항목아차산성(阿且山城)
- 아차산봉수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높은 산은 아니지만 주변에 큰 산이 없어 봉화를 올리면 눈에 잘 띄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곳에서는 북쪽으로 불암산과 양주 방면, 동쪽으로 아차산 능선, 남쪽으로는 장안평과 한강 일원, 서쪽으로는 남산 일대가 잘 조망된다. 아차산 봉수는 지금까지 아차산성...연계항목아차산봉수대지(峨嵯山烽燧臺址)
- 아차산봉수(峨嵯山烽燧)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아차산봉수 아차산봉수 峨嵯山烽燧 봉수(烽燧) 가구산봉수(加仇山烽燧) 내지봉수(內地烽燧), 봉화산(烽火山), 감관(監官), 봉수군(烽燧軍), 보인(保人), 양주목(楊州牧) 정치군사·국방/통신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 세...상위어봉수(烽燧) | 동의어가구산봉수(加仇山烽燧) | 관련어내지봉수(內地烽燧), 봉화산(烽火山), 감관(監官), 봉수군(烽燧軍), 보인(保人), 양주목(楊州牧)
- 아차산일대보루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광진구‧노원구 및 경기도 구리시에 걸쳐 있는 아차산 일대에 구축된 보루군. [개설] 보루(堡壘)는 적의 침입에 대비하여 쌓은 구축물로, 이 아차산 일대의 보루군은 고구려가 5세기 후반에 한강 유역을 점령한 후 55...연계항목아차산일대보루군(阿且山一帶堡壘群)
- 영화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서울특별시 광진구 구의동 아차산(峨嵯山)에 있는 절.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인 조계사(曹溪寺)의 말사이다. 672년(문무왕 12) 의상(義湘)이 용마봉(龍馬峰) 아래 창건하고 화양사...
고서·고문서(56)
- 독도(纛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66790 B066790 독도 纛島 도서 서울특별시 承政院日記 正祖 13年 8月 11日_010 ○以漢城府沿路所見名山大川書啓, 傳于趙衍德曰, 三角山望祭, 淸?山卽朝對峨嵯山, 無異主峰, 箭橋川·纛島諸處設祭。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갈초현(葛草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89 B002589 갈초현 葛草縣 정치행정 『三國史記』 卷37, 雜志6 地理4 百濟 _ _ ... 徒山縣 [海島也 或云猿山] 買仇里縣 [海島也] 阿次山郡 葛草縣 [一云阿老 一云谷野] 古祿只縣 [一云開要] 居知山縣 [一云安陵 ...출처전거『三國史記』 卷37, 雜志6 地理4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개요(開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17366 B017366 개요 開要 정치행정 『三國史記』 卷37, 雜志6 地理4 百濟 _ _ ... 010404]買仇里縣 [海島也] 阿次山郡[ 葛草縣 [一云阿老 一云谷野] 古祿只縣 [一云開要] 居知山縣 [一云安陵] 奈已郡 右百濟州郡縣共一白四十七 其新羅改名及今名 見新羅...출처전거『三國史記』 卷37, 雜志6 地理4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근참도(斤斬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1172 B031172 근참도 斤斬島 도서 전라남도 高麗史 권57 志11 地理2 全羅道 壓海郡 壓海郡[壓一作押] 本百濟阿次山郡新羅景德王改今名 高麗初爲羅州屬縣後來屬有只上島道沙島斤斬島述只島毛也島*八欠烏{八欠島}靑安尼島출처전거高麗史 권57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고록지현(古祿只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5522 B025522 고록지현 古祿只縣 정치행정 『三國史記』 卷36, 雜志5 地理3 新羅 _ 壓海郡 本百濟阿次山縣 景德王改名 今因之 領縣三 碣島縣 本百濟阿老縣 景德王改名 今六昌縣 鹽海縣 本百濟古祿只縣 景德王改名 今臨淄縣 安波縣 本百濟居知山縣 [居一作屈] 景德王改名...출처전거『三國史記』 卷36, 雜志5 地理3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5)
- (교단문원) 입시 전날밤 아차산에서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단문원) 입시 전날밤 아차산에서 (교단문원) 입시 전날밤 아차산에서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장인석 | 사료철명서울교육
-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13 - 갈머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의 암문(暗紋), 회백색의 태토에서 한강유역 고구려토기 흐름이 강하게 느껴졌고 호선문과 횡선문이 복합된 238번 토기도 아차산성 등의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적이 있으며 또한 단경호의 회청색경질토기도 주변에서 출토되어 처음에는 고구려적 성격이 강한 삼국시대의 토기로 추...발행연도2003/02 | 발굴기관(재)호남문화재연구원/진안군‧한국수자원공사 | 발굴지역전라북도
- 진안 용담댐 수몰지구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보고서 XIII 갈머리 유적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속고리문의 암문(暗紋), 회백색의 태토에서 한강유역 고구려토기 흐름이 강하게 느껴졌고, 호선문과 횡선문이 복합된 238번토기도 아차산성 등의 고구려 유적에서 출토된 적이 있으며, 또한 단경호의 회청색경질토기도 주변에서 출토되어 처음에는 고구려적 성격이 강한 삼국시대의...발행연도2003 | 발굴기관호남문화재연구원/진안군/한국수자원공사 | 발굴지역전라북도
- 백제 東城王이 梁 武帝에게 보낸 表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도와 충성과 공로가 진작 드러났으므로 이제 假行寧朔將軍 阿錯 阿錯 : 『三國史記』「地理志」百濟條에는 이와 비슷한 이름으로 阿次山郡이 있다. 이곳은 務安郡 押解面으로 비정하고 있다.(井上秀雄, 『東アジア民族史』p.221) 王이라 하였고, 建威將軍 餘歷은 천성이 충성되고...대표표제어백제 東城王이 梁 武帝에게 보낸 表 | 주제분류외교문서
- 과천 주암동 유적-과천 OO시설사업 예정부지내 시ㆍ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을 판석재가 확인되지 않았는데 이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원인에 의해 유실된 것으로 추정된다. 1호 석렬 유구의 형태와 축조방법에 있어서 판석재를 사용한 ‘一’자형 구들열과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아궁이를 시설한 점 등에서 구의동 보루유적이나 아차산 제4보루, 시루봉 보루...발행연도2007 | 발굴기관한국문화재보호재단/국군제1363부대 | 발굴지역경기도
주제어사전(5)
-
아차산 / 峨嵯山 [지리/자연지리]
서울특별시 광진구 광장동과 경기도 구리시에 걸쳐 있는 산. 아차산(阿嵯山·峨嵯山·阿且山) 기슭에 사는 사람들은 아차산을 아끼산·액끼산·에께산·액계산·액개산 등으로 다양하게 불렀다. 옛 기록을 보면 『삼국사기』에는 ‘아차(阿且)’ 또는 ‘아단(阿旦)’으로 언급되며,
-
아차산봉수대지 / 峨嵯山烽燧臺址 [경제·산업/통신]
에 잘 띄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이곳에서는 북쪽으로 불암산과 양주 방면, 동쪽으로 아차산 능선, 남쪽으로는 장안평과 한강 일원, 서쪽으로는 남산 일대가 잘 조망된다. 아차산 봉수는 지금까지 아차산성 정상부에 있었다는 견해가 있어 왔으나, 『대동여지도』나 조선시대 읍지
-
압해 / 壓海 [지리/인문지리]
전라남도 신안 지역의 옛 지명. 본래 백제의 아차산현(阿次山縣)이었는데, 신라 경덕왕 때 압해로 고쳐 갈도(碣島)·안파(安波)·염해(鹽海) 등 3개의 현을 관할하게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영광군에 예속시켰다가 뒤에 나주로 옮겼다. 그 뒤 왜구의 침입으로 주민들이 나주
-
가람문선 / ─文選 [문학/현대문학]
년에 문장사(文章社)에서 간행한 『가람시조집(嘉藍時調集)』을 그대로 재수록한 것이고, 후기의 작품은 그 뒤에 쓴 시조들을 모은 것이다. 고전적인 아름다움을 재현한 「비오리」·「아차산(峨嵯山)」·「가섭봉(迦葉峰)」·「총석정(叢石亭)」 등과 현대적 감각을 담은 「비」·「혼
-
가란도 / 佳蘭島 [지리/자연지리]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가란리에 있는 섬. 가란도는 백제시대에는 아차산현에 속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무안군에 편입되었다. 고려시대에는 물량군으로 개칭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무안현에 속하였다. 무안현은 1895년(고종 32)에 무안군이 되었고,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