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아악서” 에 대한 검색결과 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2)

사전(5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업무를 책임지도록 하였다. 1457년(세조 3) 전악서와 더불어 장악서(掌樂署)로 통합되었다. 조선 초기 와 더불어 예악사상에 의한 악정(樂政)의 확립에 공이 크다. 『고려사(高麗史)』
  • 전악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고려 말과 조선 전기 궁중음악을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아래 설치되었던 음악기관. [내용] 고려의 왕조음악기관인 대악서(大樂署)의 개칭으로 쓰이다가 1392년(태조 1) 조선왕조의 건국 때 ()와 함께 계승되었다. 주요업...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아악(雅樂), 장악서(掌樂署), 제례아악(祭禮雅樂) 문화예술/음악 집단 기구 대한민국 조선전기 조선전기 이정희 [정의] 조선초기 아악(雅樂)을 관장했던 궁...
    관련어아악(雅樂), 장악서(掌樂署), 제례아악(祭禮雅樂)
  • 부전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 [내용] 체아직(遞兒職) 녹관(祿官)이었으므로 장악원이 매년 네 차례 추천서를 이조에 보고하여 사령서를 받았다. 1409년(태종 9)에 처음 생겼고, 전악서(典樂署)와 ()...
  • 부전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 [내용] 체아직(遞兒職) 녹관(祿官)이었으므로 장악원이 매년 네 차례 추천서를 이조에 보고하여 사령서를 받았다. 1409년(태종 9)에 처음 생겼으며 전악서(典樂署)에 5인, (...

고서·고문서(1)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
    窮獸奔, 西湖曲, 延陽歌, 迎仙樂, 太平簫, , 唐鄕樂, 昭代樂, 鼓吹樂, 唐部, 鄕部, 唐呈才, 鄕呈才, 勝國樂, 養老宴, 親耕樂, 親蠶樂, 大射禮, 俗部, 雅樂, 進豐呈, 進宴樂, 獻仙桃, 壽延長, 五羊仙, 抛毬樂, 蓮花臺, 夢金尺, 受寶籙, 覲天庭, 受明命,...
    분야문학 | 유형문헌

주제어사전(7)

  • / [예술·체육/국악]

    고려 말 조선 초에 궁중음악을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아래 두었던 음악기관의 하나 본래 1391년(공양왕 3) 종묘의 악가를 익히기 위하여 고려의 음악기관으로 설치되었으나, 고려가 망함으로써 1392년(태조 1) 전악서와 함께 계승되었다. 주요업무는 종묘제향악과 같은 제

  • 관습도감 / 慣習都監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 전기 음악에 관한 행정사무를 관장하기 위하여 예조 밑에 두었던 관아의 하나. 1393년(태조 2)에 설치된 관습도감은 1457년(세조 3) 악학과 병합될 때까지 60여년 동안 봉상시·전악서··악학 등 예조 산하의 음악기관과 함께 음악에 관한 업무를 나누어

  • 악사 / 樂師 [예술·체육/국악]

    조선시대 ·전악서·장악원의 악공이나 악생 중에서 우두머리 구실을 하였던 원로음악인들로서 잡직을 담당하였던 벼슬아치. ≪경국대전≫이나 ≪대전통편≫을 보면, 악사 2명은 정6품의 전악 및 종6품의 부전악이라는 잡직을 가졌는데, 이러한 잡직은 체아직으로서 장악원에서

  • 부전악 / 副典樂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1409년(태종 9)에 처음 생겼고, 전악서와 에 1인씩 배속되었다. 당시의 품계는 종6품의 조성랑이었다. 그 뒤 성종 때에는 장악원에 2인이 배속되었고 품계는 같았다. 임무는 정6품의 전악을 보좌하

  • 부전율 / 副典律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장악원에서 음악에 관한 업무를 맡았던 잡직의 하나. 1409년(태종 9)에 처음 생겼으며 전악서에 5인, 에 3인이 배속되었다. 당시의 품계는 종8품의 조협랑이었다. 그 뒤 성종 때에는 장악원에 2인이 배속되었고, 품계는 종7품이 되었다. 임무는 정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