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아방강역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5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55)
사전(19)
- 아방강역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규장각도서에 있다. 신조선사에서 발간된 ≪여유당전서≫는 1970년에 이우성(李佑成)의 해제와 더불어 6책으로 압축, 영인되었다. 大韓疆域考 與猶堂全書 아방강역고(권4) ...이칭별칭강역고
- 아방강역고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811년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편찬한 한국의 역사지리서.정의1811년에 정약용(丁若鏞, 1762-1836)이 편찬한 한국의 역사지리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Abang gangyeokgo | MR표기Abang kangyŏkko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대한강역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03년에 장지연이 정약용의 ≪아방강역고 我邦疆域考≫를 현대식으로 증보한 책. [내용] 1903년에 장지연(張志淵)이 편찬한 책. 9권 2책. 신식활자본.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아방강역고 我邦疆域考≫를 현대식으로 증보하였으며, 체...
- 독로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되어 있어 대강 추측할 수 있으나, 정확한 위치에 대하여서는 아직 정설이 없다. 조선 후기의 실학자 정약용(丁若鏞)은 ≪아방강역고≫의 변진별고(弁辰別考)에서 경상남도 거제도일대로 비정하였으나, 이와 달리 부산 동래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다. 정약용의 거제설의 내용...
- 안시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탕지보(湯池堡)에 비정하기도 한다. 또한 『이계집(耳溪集)』이나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에서는 만주의 봉황성(鳳凰城)에 비정하기도 한다. 봉황성을 안시성으로 본 것은 17세기 이후 연행사(燕行使)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당시 고구려와 당의 전쟁에 관한 민간전승을...이칭별칭안촌홀(安寸忽)
단행본(1)
- 정본 여유당전서 32-아방강역고 [정본 <여유당전서> 출간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저자 : 송재소(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명예교수), 이호형(전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김태영... | 출판사 : 도서출판 소나무 | 출판일 : 2012.12.15분야지리 | 유형단행본1.我邦疆域考 其一 2.我邦疆域考 其二 3.我邦疆域考 其三 4.我邦疆域考 其四
고서·고문서(35)
-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사회-지리 | 형식분류고서-지리서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四郡總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450 我邦疆域考 其一 ITKC_MP_0597A_1450_000_0020 四郡總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권차명我邦疆域考 其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附見】九連城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480 我邦疆域考 其四 ITKC_MP_0597A_1480_000_0040 【附見】九連城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권차명我邦疆域考 其四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臨屯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450 我邦疆域考 其一 ITKC_MP_0597A_1450_000_0060 臨屯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我邦疆域考 其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眞番考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1450 我邦疆域考 其一 ITKC_MP_0597A_1450_000_0070 眞番考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我邦疆域考 其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주제어사전(2)
-
아방강역고 / 我邦疆域考 [지리/인문지리]
1811년(순조 11)에 정약용(丁若鏞)이 편찬한 우리나라 강역에 관한 역사지리서. 정약용이 유배지인 전라도 강진에서 우리 나라의 강역을 문헌 중심으로 살피고 그 내용에 대하여 고증한 책이다. 고본(稿本)으로 10권이 전해오다가 1903년에 장지연(張志淵)이 증보하여
-
대한강역고 / 大韓疆域考 [지리/인문지리]
1903년 언론인 장지연이 정약용의 『아방강역고』를 현대식으로 증보한 지리서. 9권 2책. 신식활자본. 정약용(丁若鏞)이 지은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를 현대식으로 증보하였으며, 체재는 강(綱)과 목(目)을 구분하고 목에는 여러 서적에서 강에 관계되는 사항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