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아미타경”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1)
사전(81)
- 아미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대한 우리 나라 사람의 주석서는 [표]와 같다. [표] 아미타경 주석서 시 대 저 자 주 석 서 명 권 수 현존여부 ...
- 아미타경(阿彌陀經)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161 문헌 아미타경(阿彌陀經) 아미타경 阿彌陀經 아미타불 신앙을 설교하는 대승불교 경전(經典)의 하나. 1권. 대승불교 정토종(淨土宗) 소의경전(所依經典)인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 중의 하나이다. 『일체제불소호염경(一切諸佛小護念...유형분류문헌
- 아미타경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신라시대의 고승 원효(元曉)가 『아미타경(阿彌陀經)』을 3문(門)으로 나누어 해설한 책. [개설] 원효의 『무량수경종요(無量壽經宗要)』ㆍ『유심안락도(遊心安樂道)』와 함께 그의 미타정토왕생사상(彌陀淨土往生思想)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된다....
- 아미타경언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세조가 정토삼부경(淨土三部經)의 하나인 ≪불설아미타경 佛說阿彌陀經≫(보통 줄여서 아미타경이라 함.)에 한글로 구결을 달고 언해한 책. [서지적 정보] 불분권(不分卷) 1책. 언해문은 ≪월인석보≫ 권7의 후반부에 나오는 ≪석보상절≫...
- 불설아미타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刊經都監)에서 국역하여 간행한 『아미타경』. [내용] 1책. 목판본. 보물 제1050호. 대한불교천태종 구인사에 있다. 원문에 국문 현토(懸吐)와 국한문혼용의 번역, 한문주석으로 되어 있다. 이 가운데연계항목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
고서·고문서(5)
- 불설아미타경요해(佛說阿彌陀經要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불설아미타경요해(佛說阿彌陀經要解)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종교/풍속-불교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淨土宗全書_淨土宗全書 阿彌陀經通贊疏 此慈恩 [국내외 고려시대 원전자료의 총집성과 종합 DB화―동아시아 자료간 상호대조와 연동을 통한 가치 증대― | 고려대학교]6740 일본 기타 淨土宗全書 653 숙종(肅宗) 7 1102 4 23 淨土宗全書 阿彌陀經通贊疏 此慈恩所撰阿彌陀經通贊一卷者祐世僧統於元豐元祐之間入于中華求得將到流通之本也 [予]助洪願付於廣教院命工重刻自戌辰十月十九日起首至十二月十日畢乎矣所...국가일본 | 서명淨土宗全書 | 왕대숙종(肅宗) 7
- 경암집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默言來由 面壁默言의 유래를 묻는 한 승려의 물음에 대해 達磨가 梁武帝와 문답하던 끝에 소견이 맞지 않자 不識이라고 답하고 少林寺로 들어가 9년 동안 石壁을 향해 좌선하였다는 일화를 소개한 글이다. 閑話錄問答/碧松社答淨土說 西方淨土의 說의 可信 여부와 阿彌陀經과...분야문학 | 유형문헌
- 금강내외산제기(遊金剛內外山諸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奇奇菴)이 있는데 또한 정토(淨土) 정토(淨土) : 부처가 있는 청정한 국토를 말한다. 대표적인 정토로는 서방정토(西方淨土)가 있다. 『아미타경』에 “여기서 서쪽으로 10만억 국토를 지나서 한 세계가 있으니, 이름을 극락이라 한다” 한데서 연유하여, 아미타불의 국토를...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신익성(申翊聖)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신문·잡지(75)
- 아미타경(阿彌陀經)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아미타경(阿彌陀經) 阿彌陀經 아미타경 유통서지 阿彌陀經 1 元曉 東域傳燈目錄 T55, p. 1151a16대표표제어아미타경(阿彌陀經) | 대표서명阿彌陀經 | 한글서명아미타경 | 서지형태유통서지
- 소아미타경과(小阿彌陀經科)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소아미타경과(小阿彌陀經科) 小阿彌陀經科 소아미타경과 유통서지 小阿彌陀經科 1 元傳述 新編諸宗教藏總錄 T55, p. 1171c...대표표제어소아미타경과(小阿彌陀經科) | 대표서명小阿彌陀經科 | 한글서명소아미타경과 | 서지형태유통서지
- 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1 小阿彌陀經疏 소아미타경소 유통서지 小阿彌陀經疏 1 元曉述 新編諸宗教藏總錄 T55, p. 117...대표표제어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1 | 대표서명小阿彌陀經疏 | 한글서명소아미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2 小阿彌陀經疏 소아미타경소 유통서지 小阿彌陀經疏 1 遁倫述 新編諸宗教藏總錄 T55, p. 117...대표표제어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2 | 대표서명小阿彌陀經疏 | 한글서명소아미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 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3 小阿彌陀經疏 소아미타경소 유통서지 小阿彌陀經疏 1 玄一述 新編諸宗教藏總錄 T55, p. 117...대표표제어소아미타경소(小阿彌陀經疏) 3 | 대표서명小阿彌陀經疏 | 한글서명소아미타경소 | 서지형태유통서지
주제어사전(6)
-
아미타경 / 阿彌陀經 [종교·철학/불교]
불교경전. 우리나라 정토신앙의 근본경전이다. 부처가 기원정사에서 사리불을 상대로 아미타불과 극락정토의 장엄함을 설하고, 그러한 정토에 왕생하는 길로서 이미타불을 염불함을 제시한 것이다. 이 경전은 <무량수경>을 요약한 것이다. 이 경전은 <무량수경>,<관무량수경>과 함
-
불설아미타경 / 佛說阿彌陀經 [언론·출판/출판]
彌陀經》을 세조가 언해한 책이다. 서문은 한글구결이 붙었으며, 아미타경 본문과 왕즉반혼전, 임종정념결, 부모효양문은 한문 본문 뒤에 언해를 붙였다.
-
아미타경언해 / 阿彌陀經諺解 [언어/언어/문자]
『불설아미타경(佛說阿彌陀經)』을 언해한 책. 불분권(不分卷) 1책. 언해문은 『월인석보』 권7의 후반부에 나오는 『석보상절』 부분과 거의 같다. 내제(內題) 다음에 ‘어제역해(御製譯解)’라 한 점과 함께 세조의 언해임을 밝혔다. 종래 1464년(세조 10) 간경도감에
-
관무량수경 / 觀無量壽經 [종교·철학/불교]
우리나라 정토신앙의 근본이 되는 불교경전. 불교 정토신앙의 근본경전 중 하나. 1권. 『관무량수불경(觀無量壽佛經)』·『십육관경(十六觀經)』·『관경』이라고도 한다. 424년에 역경승 강량야사(畺良耶舍)가 한역한 것이 전하고 있으며, 『아미타경』·『무량수경』과 함께 정토
-
석보상절 / 釋譜詳節 [언론·출판/출판]
조선 세종 때 수양대군이 왕명으로 석가의 일대기를 찬술한 불경언해서. 1446년(세종 28)에 세종의 비인 소헌왕후가 사망하자, 그녀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석가의 전기를 엮게 하였는데,《석가보》,《법화경》,《지장경》,《아미타경》,《약사경》 등에서 뽑아 모은 글을 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