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아리랑 고개” 에 대한 검색결과 24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45)

사전(56)

  • 김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비평예술론」(12.7.∼12.12.)에서는 “가치의 창조가 작가의 생명이라면 가치의 재창조는 비평의 혈혼(血魂)이다.”라고 하면서 비평이 지니는 창조적 측면을 강조하였다. 비평집으로 『비평문학(批評文學)』(1938), 창작집으로 『』(1938) 등이 있다. ...
    이칭별칭화돈(花豚)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터져나오는 곡으로 이별의 노래를 불러준다. “ 아라리요, 로 넘어간다. 나를 버리고…….” 이상의 줄거리처럼 당시 민족수난의 현실을 다룬 이 작품은 일제치하의 관객들에게 비상한 충격과 공감을 불러일으킨 듯하다. 이 작품을 연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외에 <강원> 또는 <자진아리>로 일컬어지고 있는 또 다른 이 있다. <정선아라리>에 비해 훨씬 장단이 빠르고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로 넘어간다.”라는 여음을 지닌 이 <자진아리>는 영서‧인제 지방의 <뗏목>으로도 잘 알려져...
  • 밀양 [한국전통연희사전 | 고려대학교]
    인형극노래 마 밀양 밀양은 꼭두각시놀음 이시미거리에서 피조리가 부르는 노래이다. 피조리가 자신이 기생임을 입증하기 위해 부른다. 피조리는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섣달 꽃 본 듯이 날 좀 보소. 아리 스리 스리랑 아라리가 났네. ...
    대분류인형극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전경욱 교수
  • 밀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표적인 것은 다음과 같다. (후렴) 아리 쓰리 쓰리랑 아라리가 났네. 로 날 넘겨주소. (1절)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날 좀 보소 동지 섣달 꽃 본듯이 날 좀 보소. <밀양>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오고...

고서·고문서(136)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평안북도 룡천군 요녕성(辽宁省) 심양시(沈阳市) 허평구(和平区) 14호 6 5 력사...
    대표표제어아리랑 고개 | 성씨
  •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
    08333 창가 조선동요집 22161 1924 嚴弼鎭 彰文社 吉川文太郞 朴仁煥 四十錢 〈ad〉尙州〈/ad〉 〈#13〉 아라랑 에 집을 짓고 동모야 오기만 기다린다 아라랑 아라랑 아라리요 얼시구 아라...
    구분창가 | 편저자嚴弼鎭
  • 05033 잡가 40753―A, 40753―B 株式會社日本蓄音器商會 金仁淑 鮮洋樂伴奏 [2] ∧ 아라리오 로 넘어 간다 산천초목은 젊어가고 인생의 청춘은 늙어간다 ∧ 아라이오 로 넘어 간다 긔차가 날 제는...
    구분잡가
  • 02696 잡가 가요집성(歌謠集成) 12045 1965 李昌培 弘仁文化社 李基玉 7000원 [111] 아라리요 로 넘어간다 [①]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十) 리(里)도 못 가서 발병(病) 난다 ...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 02494 잡가 韓國歌唱大系 12044 1976 李昌培 弘人文化社 李基玉 18,000원 [116] 아라리요 로 넘어간다. [①] 나를 버리고 가시는 임은 십 리도 못 가서 발병 난다.
    구분잡가 | 편저자李昌培

구술자료(26)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노래를 끝내고 조사자가 감탄을 하자 오히려 잘 하지 못하는 것을 아쉬워했다. 한 청중이 “아리랑 고개?” 라고 하자 다시 이 노래를 구연하 였다.
    조사일시2011. 5. 22.(일) | 조사장소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송호 1리 경로회관 | 제보자차춘화
  •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어서 조사자가 한곡을 더 부탁하자, “소문나먼 어쩔끄나.”고 걱정하면서 아리랑 고개를 불렀다.*
    조사일시1984-04-07 | 조사장소전라남도 승주군 월등면 | 제보자이소란
  • 구조라와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상남도 거제군 일운면 | 제보자김두이
  • , 아라리 났구후나 - , 응응응 로, 날만 넨겨 주게 도(레)미솔라 + 미(솔)라도(레) t1. v1, 4. 매절이 18/8박 4마디씩. ♩. = 75 ~ 60 이소라, 「과 그 출처에 대한 소고」 『민요론집』제6집, 민요학회, 2001, 3
    녹음지역충청북도 제천시 봉양면 삼거리 | 녹음날짜1987.4.24 | 가창방식교창 (교환창)
  • 사천 음악 현장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3) 정선(창자미상): (03:08), 독창. 가사(아리 쓰리쓰리랑 아라리요 아리아리 로 나를 넘겨주게/ 정선읍내야 물레방아는/사시사철 빙글빙글 도는데/~) 4) (창자미상): 독창. 가사(왜 죽었나 한오백년 무사인생/~) 5) (창자미상):
    자료구분상세현장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농악;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용현

신문·잡지(27)

  •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峠) 미기재 노익형(盧益亨) 경성부(京城府) 명치정 2정목 명치하우스 조선_1938년 9월 15일 삭제 안녕 미기재 , 급진...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아리랑 고개 | 출판물명아리랑 고개(峠)
  •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峠) 미기재 노익형(盧益亨) 경성부(京城府) 종로 2가 86 조선_1938년 9월 15일 삭제 풍속 미기재 제8절 의절한...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21호 아리랑 고개 | 출판물명아리랑 고개(峠)
  • 조선출판경찰월보 055호 휴식장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자(者) 대회(大會) 아라리요 를 넘어간다 똑똑한 아들은 감옥에 가고 청(淸)#한 딸은 신정(新町)에 간다. (신정이란 경성(京城)의 ##이름) 중국 홍군(紅軍)의 # 공산당##에서는 새로운 경제#건설이 나날이 성취되고 있다. 일찍이 보...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55호 휴식장 | 출판물명휴식장(休息場) 제2호 추가
  • 조선출판경찰월보 123호 최신유행 길경타령창가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들러붙은 피의 저주 올라가면 내려가는 것이다 교만한 자여. 모르는 사이 닥쳐오는 파멸의 그림자 멸망한 그 자리에 달빛은 맑고 아! 낙성의 원한은 길구나. 「신 」 1. 아라리요 를 넘어간다. 밭은 허물어져 도로가 되고 집은 허물어져...
    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123호 최신유행 길경타령창가 | 출판물명최신유행( 最新流行)길경타령창가(桔梗打鈴唱歌)
  • 징백아리라으이 안무가가 넘어온 리림 12 무용 <장백>을 평함 리만금 15 력사의 동톀을 비추는 서광-장편소설 먼동이 튼다와...
    발행국가중국 | 발행연도1994

주제어사전(3)

  • / [예술·체육/연극]

    일본의 착취로 농토와 가산을 잃고 북간도로 이주해야만 했던 일제하의 암담한 민족의 현실을 그린 춘강 박승희의 대표적인 단막희곡. 1929년 가을 토월회의 재기 공연 때 조선극장 무대에서 상연되어 만중을 울린 작품이다. 시대성과 사회성을 감상적으로 잘 표사했으나 피상적이

  • 조선일보영화제 / 朝鮮日報映畵祭 [예술·체육/영화]

    <어부>,< 도생록>, <홍길동전>, <장화홍련전>, <미몽>, <>, <한강> 등이었다.

  • 태양극장 / 太陽劇場 [예술·체육/연극]

    1931년 토월회가 당국의 탄압으로 해산되자 1932년 2월에 박승희가 조직한 극단. 창립공연으로 춘강의 향토극 < >(단막)와 비극 <애곡>(단막), 박진의 희극 <나무아미타불>(2막) 등을 미나도좌에서 상연했다. 공연을 거듭하면서 진용은 계속 늘어났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