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쓰개치마” 에 대한 검색결과 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

사전(1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 이후 양반층 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 쓰개. [내용] 형태는 보통 치마와 같은 것으로 끈이 달려 있으며, 주름을 겹쳐 잡고 치마허리는 얼굴 둘레를 감싸 턱 밑에서 맞물려질 정도의 길이다. 재료는 옥색 옥양목이나 명주로 만...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선시대 부녀자들이 외출할 때 사용한 내외용 쓰개의 하나.
    정의조선시대 부녀자들이 외출할 때 사용한 내외용 쓰개의 하나.[문화원형용어사전] | 문광부표기sseugae chima | MR표기ssŭgae ch’ima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양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들어오게 되었다. 현재 전하는 유물은 없고 영친왕의 모후인 엄귀비가 양장을 하고 양산을 든 사진만 전해지고 있다. 1910년대에 선교사가 경영하는 여학교에서는 장옷과 대신에 박쥐양산[蝠洋傘]을 쓰게 하였다. 이것은 검은색 우산으로 우산을 편 생김새가 박...
  • 경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일종의 덧옷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옷 모양은 광수(廣袖)에 품이 넓은 것이며, 고름 등 앞자락을 여미는 것이 없다. 일반 부녀자의 외출용 쓰개인 나 장옷은 머리까지 덮게 되어 있으나, 이 것은 옷 위에 더하게 되어 있을 뿐, 머리는 따로 면사(面...
  • 목도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당시 신분의 고하를 막론하고 표에 얼마나 사치를 하였는가를 역으로 암시해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의 제도는 고려시대에 내려와 자취를 감추었다가 1930년대에 내외용 쓰개인 장옷‧가 사라진 뒤, 다시 목도리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 목도...

고서·고문서(2)

  • 목은 일본어와 영어로 병기되어 있어 일본인들뿐만 아니라 서구인들까지도 엽서의 구매 대상으로 고려하여 제작되기도 했다. 사진 엽서를 통해 무수히 복제, 재생된 조선인의 모습과 생활상은 지배자적 시선에 의해 스테레오 타입화되었다. 풍속, 생활, 부인, 장옷, ,...
    자료명부인의 외출 | 발행처京城日之出商行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무를 배경으로 두 명의 한복 입은 여인을 좌우로 배치해 둔 사진그림엽서이다. 좌측은 가야금을 연주하고 있고 우측은 를 쓰고 서 있다. 두 사람 사이에 진남포의 전경과 평양 모란대의 전경을 각각 흑백사진으로 소개하고 있다. 진남포, 모란대, 조선 풍속, 한복,...
    자료명진남포 전경과 평양 모란대 | 발행처朝鮮總督府 鐵道局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주제어사전(2)

  • / [생활/의생활]

    조선 중기 이후 양반층 부녀자가 사용한 내외용 쓰개. 형태는 보통 치마와 같은 것으로 끈이 달려 있으며, 주름을 겹쳐 잡고 치마허리는 얼굴 둘레를 감싸 턱 밑에서 맞물려질 정도의 길이다. 재료는 옥색 옥양목이나 명주로 만들었으며 계절에 따라 겹으로 하거나 또는 솜을 두

  • 양산 / 陽傘 [생활/민속]

    영하는 여학교에서는 장옷과 대신에 박쥐양산(蝠洋傘)을 쓰게 하였다. 이것은 검은색 우산으로 우산을 편 생김새가 박쥐의 날개 같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대낮에 썼으므로 양산의 기능을 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그 당시에는 볕을 가리기 위한 기능보다는 내외용의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