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쌍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3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3)
사전(9)
- 쌍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러 열리므로 쌍시라 하였다. 이 중 회령에서는 숭덕연간(崇德年間, 1636∼1643)에 영고탑(寧古塔)‧오라(烏喇) 두 곳의 사람들이 호부(戶部)의 표문(票文)을 가지고 와서 농우(農牛)‧농기(農器)‧식염(食鹽)을 무역해갔고, 경원에서는 1646년(인조 24)에...이칭별칭쌍개시
- 결승장 [조선시대 의궤용어사전(I)-왕실전례편 | 대구가톨릭대학교]끈을 매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 本房使役結繩匠九名習儀時及發引敎是時大小結繩之役專爲擔當俱不暫雙是如乎, (국장1724/219ㄴ01~02)분야문화‧생활 | 유형개념용어
- 경원개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사람들이 농기구를 무역해가면서부터였다. 『통문관지(通文館志)』에 의하면 격년제로 하여 을(乙)‧정(丁)‧기(己)‧신(辛)‧계(癸)의 해에 회령‧경원의 두 곳에서 병설개시(竝設開市)되었으므로 쌍시(雙市)라고도 하였다. 이때는 소록피(小鹿皮)를 가지고 와서...이칭별칭북관개시(北關開市)|병설개시(竝設開市)|쌍시(雙市)
- 북새기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덕릉(舊德陵) 등의 고적지에 대한 해설과 옛 웅주(雄州)ㆍ영주(英州)ㆍ공험진(公嶮鎭)ㆍ다신산성(多信山城) 등의 옛 주ㆍ군ㆍ현과 진(鎭)ㆍ성(城)의 명칭ㆍ유래ㆍ경계 등을 해설하고 있다. ‘교시잡록’에서는 국경의 제시(諸市)에서 열리는 단시(單市)ㆍ쌍시(雙市)와...
- 김약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그 속에는 을해자(乙亥字)로 찍은 ≪포은선생집 圃隱先生集≫과 필사본인 ≪지리산쌍사행록 智異山雙寺行錄≫을 비롯하여 많은 귀중서가 들어 있으며, 한글로 된 책들도 들어 있다. 薪菴文庫漢籍目錄(高麗大學校中央圖書館, 1974)이칭별칭 신암(薪菴)
고서·고문서(18)
- 쌍시흥성기(雙市興成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득노쌍시흥성기(得奴雙市興成記)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물목 | 형식분류고문서-치부기록류-물목 | 현소장처해남 연동 해남윤씨 녹우당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者, 聖意有在, 今年又當雙市, 尤當加意。 前校理尹蓍東與應敎李在協兩人中, 可以差送御史, 而蓍東則不無難處之端矣。 上曰, 李在協下送可也。 出擧條 鳳漢曰, 近來紀綱解弛, 譯官輩全不畏法, 東萊出使之倭譯, 竣事後, 不惟不卽上來, 或有仍爲居接於東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초중 [근현대 소실위기 재중동포 서신 DB화 및 생활문화 분석 | 동덕여자대학교]보, 생각, 계획, 본격적, 학습, 고국, 으, 어간, 어미사이, 소리, 음절, 쌍시옷, 받침, 체언, 밑, 아래, 조사, 결합, 순조, 소리, 음절대표표제어초중 | 성씨정
- 기패(旂旆)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立幾千仞仰悌突亢神魂▣自從混沌開闢來夸娥雷斧力能扛剝開山骨打成片雕鎪稜角出硿矼儼如壯士橫部曲只許斷頭身不降伏波銅柱安足誇天將葉表悍箕邦君不見綾波者將伏鎭節又不見德水詞客擁油幢詩鋒武略不兩大直輿雙巖添一雙是時秋高日色溥風烟慘慘迷征扛巖▣俯瞰憑夷窟茱萸錦席葡萄缸三更風起水氣昏但聞▣竇天淸瀧吹鏡擊筑間靑娥...출처전거咸境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6)
- 조선출판경찰월보 026호 민성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조선 언론·출판 문헌 근대 조선출판경찰월보 026호 민성보 민성보(民聲報) 1930년 10월 15일 미기재 민성보사(民聲報社) 간도(間島) 조선_1930년 10월 16일 차압 치안 한국어 민성보 쌍십절(雙十節)...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26호 민성보 | 출판물명민성보(民聲報) 1930년 10월 15일
- 출판경찰보 125호 중미일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대만의 장정(壯丁) 소집에 반대하여 쌍십절(双十節)에 반란을 일으켜 일군 140명을 죽이다”라는 제목의 기사는 「지나사변외출금지표준(支那事變外出禁止標準) 4」에 해당함.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선문대학교...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25호 중미일보 | 출판물명중미일보(中美日報) 1939년 11월 1일
- 대만출판경찰보 015호 쌍십중학교 노탄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대만 언론·출판 문헌 근대 대만출판경찰보 015호 쌍십중학교 노탄 노탄(爐炭) 제24호 미기재 쌍십중학교(双十中學校) 하문(厦門) 대만_1930년 9월 12일 금지 안녕 미기재 노탄, 계급투쟁 본지(本誌)에는...대표표제어대만출판경찰보 015호 쌍십중학교 노탄 | 출판물명노탄(爐炭) 제24호
- 출판경찰보 077호 신생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라는 제목의 기사는 ‘일본은 전에 동사성(東四省)을 빼앗았고 지금 또 세계 대전을 꾀하여 북지(北支)의 탈점(奪占)을 꾀한다’라고 곡설(曲說)․비방하기 때문에 금지. 9․18 기념일에 이어서 국경기념일(國慶記念日)인 쌍십절(雙十節)이 왔다! 그렇지만 여전히 동북사성(...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77호 신생 | 출판물명신생(新生)
- 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민성보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건드려, 결국 군대가 기자를 체포하고 신문사를 봉인했던 것이다. 본사는 백방으로 일본인의 양해를 구하고, 백화(白話)라는 두 글자를 지워 제호를 바꿔서 해금(解禁)되었다. 이것이 첫 번째 발행정지이다. 그 후 올해의 쌍십절(雙十節)을 맞이해 당일 우리 전국은 도시, 촌...대표표제어조선출판경찰월보 004호 민성보 | 출판물명민성보(民聲報)
주제어사전(3)
-
쌍시 / 雙市 [경제·산업/경제]
는 회령에서만 열리므로 이를 단시라 하고, 을·정·기·신·계 다섯 해는 회령과 경원 두 곳에서 아울러 열리므로 쌍시라 하였다.
-
한글지문자 / 한글指文字 [언어/언어/문자]
4개, 손바닥의 방향이 변화된 것으로 복자음인 쌍시옷 1개와 모음 6개 모두 11개로 확인할 수 있었다.
-
남해 화방사 건륭삼십이년 동종 / 南海 花芳寺 乾隆三十二年 銅鍾 [예술·체육/공예]
경상남도 남해군 화방사에 전하는 조선시대 동종. 동종은 1767년(영조 43)에 제작되었고, 원래는 경상도 성주 쌍사(雙寺) 내원암(內院庵)에 봉안되었던 유물이다. 2010년 3월 11일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494호로 지정되었고, 남해군 화방사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