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쌍성총관부”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고선화진
연구성과물(98)
사전(88)
- 쌍성총관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써 조소생은 이판령(伊板嶺)을 넘어 도망하고 쌍성총관부는 폐지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후 이자춘은 동북면병마사에 임명되어 이 지역에서 세력을 확대시켰고, 이것이 그의 아들인 이성계가 뒷날 조선왕조를 개창할 수 있는 세력기반이 되었다.
- 쌍성총관부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고려 후기 원나라가 고려의 화주 이북을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부정의고려 후기 원나라가 고려의 화주 이북을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부 | 문광부표기Ssangseong Chonggwanbu | MR표기Ssangsŏng Ch’onggwanbu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유인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64(공민왕 13). 고려 후기의 무인. [내용] 1356년(공민왕 5) 밀직부사로서 동북면병마사가 되어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를 격파하고 옛땅을 수복하였다. 1358년 수사공 상서좌복야(守司空尙書左僕射)가 되었으며,...
- 김원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359(공민왕 8). 고려 후기의 문신. [내용] 1356년 공민왕이 반원개혁운동을 벌여 기철(奇轍) 등을 죽이고 쌍성(雙城)을 수복할 때 부사로 출전하였다. 이듬해 서북면홍두군왜적방어지휘 겸 부만호(西北面紅頭軍倭賊防禦指揮兼副...
- 고선화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쌓았으며, 곧 이 땅을 여진에 돌려주었다. 한때 원나라의 쌍성총관부에 소속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 길주등처관군민만호부(吉州等處管軍民萬戶府)를 두어 영주ㆍ선화 등의 진을 여기에 예속시켰다. 고선화진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예종 때 윤관이 설치한 선화진을 철수하...이칭별칭선화진(宣化鎭)
고서·고문서(10)
- 도도(島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合謀引蒙古兵乘虛殺執平及登州副使朴仁起和州副使金宣甫京別抄等遂攻高城焚燒廬舍殺掠人民以和州迆北附于蒙古 蒙古乃置雙城摠管府于和州以暉爲摠管靑爲千戶 明年暉黨自稱官人引蒙古兵來攻寒溪城防護別監安洪敏率夜別抄出擊盡殲之 王使郞將金器成別將郭貞有齎國贐如蒙古屯所慰之器成等至文州暉黨在寶 ...출처전거高麗史 권130 | 지역분류강원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북면(東北面)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7307 B077307 동북면 東北面 정치행정 大東地誌 권10 함경도 永興 典故 ... 6 竹島糧儲乏守備稍解龍津縣人趙暉定州人卓靑與朔方道登文州諸城人引蒙兵殺執平登州副使朴仁起和州副使金宣甫及京別抄等遂攻高城縣焚燒殺掠遂以和州迤北附于勞蒙古蒙古乃置雙城摠管府于和州以暉爲摠管靑爲千戶출처전거大東地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咸吉道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祚帝回詔曰卿藩衛皇家鎭撫海表專征守職盪寇有勞因乘勝以納降遂開疆而置壘載惟施設允協便宜嚮遣使人遠馳捷奏永言歸美良用慰懷 高宗四十五年戊午【南宋 理宗 寶祐六年】蒙古兵來侵龍津縣人趙暉定州人卓靑叛以和州迤北附于蒙古蒙古乃置雙城摠管府于和州以暉爲摠管靑爲千戶自是又屬于大元恭愍王五年丙申【元 順帝 至正十六...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永興大都護府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後屬于大元爲雙城摠管府恭愍王丙申出師收復爲和州牧己酉陞爲和寧府置府尹少尹判官明年庚戌置土官各衙門皆給印信本朝太祖二年癸酉【大明洪武二十六年】以外家崔氏寓居府之永興鎭故改稱永興府太宗三年癸未【洪武三十六年】以府人從趙思義作亂降爲郡明年甲申復稱永興府十六年丙申陞咸州牧爲咸興府乃降爲和州牧置牧使判官罷土官...서명世宗實錄地理志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蒙古侵高麗六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人卓靑等與登文州諸城人合謀引蒙兵乘虛殺執平登州副使朴仁起和州副使金宣甫及京別抄等遂攻高城焚燒廬舍殺掠人民遂以和州迤北附于蒙古蒙古乃置雙城摠管府于和州以暉爲摠管靑爲千戶國家旣誅崔竩【沆之子代沆秉權】遣將軍朴希實趙文柱散員朴天植賚表如蒙古略曰陪臣擅命專行威福之權小子罔圖未斷施爲之制是以上朝之號令未能如意...서명東國兵鑑 | 저자문종(文宗, 朝鮮) 命編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주제어사전(4)
-
쌍성총관부 / 雙城摠管府 [정치·법제/법제·행정]
고려 후기 몽고가 고려의 화주 이북을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했던 관부. 화주에 치소가 있었으며, 등주·정주·장주·예주·고주·문주·의주와 선덕진·원흥진·영인진·요덕진·정변진 등을 관할하였다.
-
장주 / 長州 [지리/인문지리]
함경남도 정평지역의 옛 지명. 고려시대에 장주 또는 가림(窕特)·단곡(端谷)이라고 불렀는데 1012년(현종 3) 성을 쌓고 장주방어사(長州防禦使)를 두었다. 그 뒤 한때 원나라가 설치한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의 통치를 받기도 하였으나 얼마가지 않아 수복된 뒤, 현(縣
-
고선화진 / 古宣化鎭 [지리/인문지리]
총관부에 소속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 길주등처관군민만호부(吉州等處管軍民萬戶府)를 두어 영주ㆍ선화 등의 진을 여기에 예속시켰다.고선화진은 조선시대에 들어와 예종 때 윤관이 설치한 선화진을 철수하고 여진에 돌려주면서부터 고선화진이라 부르게 되었다.
-
이성 / 利城 [지리/인문지리]
고려 성종 때 수복하여 아사현(阿沙縣)이라 하였으며, 그 뒤 다시 여진에게 점유되었다. 1107년(예종 2) 윤관(尹瓘)의 북벌에 의하여 9성을 쌓고 복주(福州)에 소속시켰다가 다시 여진에 돌려주었고, 1258년(고종 45)부터 약 100년간 몽고의 쌍성총관부에 속하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