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쌀” 에 대한 검색결과 9,1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964)

사전(3,28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벼 열매의 껍질을 벗긴 알갱이. [개설] 예로부터 우리 나라 사람들은 을 중심으로 한 식생활을 계속하여 왔으며 이를 열량원으로 삼아왔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곡물이라고 할 수 있다. 벼는 벼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20여 종의 품종...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벼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맹이.
    정의벼에서 껍질을 벗겨 낸 알맹이.[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ssal | MR표기ssal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을 가지고 숫자를 세어 길흉을 판단하여 점치는 방법. [내용] 제주도에서는 달리 ‘제비점’이라고 일컫는다. 대부분 무녀‧보살‧명도 등이 사소한 문제로 찾아오는 이들에게 미래를 예언해주는 데에 쓰인다. 점은 신들을 청해...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북한에서 통옥수수를 찧어서 입모양으로 만든 것. [내용] 옥수수가루에 약간의 밀가루나 옥수수 녹말을 섞어 만들었다. 만드는 방법은 40∼50℃의 물에 옥수수가루와 밀가루를 수분이 36%가 되도록 섞은 다음 50∼60% 정도로 익혀 압...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찰벼에서 나는 . [내용] 멥과 대응되는 말로 나미(糯米) 또는 점미(黏米)라고도 한다. 벼는 중국의 윈난지방(雲南地方)에서 인도의 아삼지방에 걸치는 고원지대가 원산지이다. 야생종에서 자포니카형(Japonica形, 粳)과 인디카형(...

단행본(2)

  • 근현대 한국 의 사회사 [한국과학문명사 총서 발간 | 전북대학교]
    저자 : 김태호... | 출판사 : 도서출판 들녘 | 출판일 : 2016.11.30
  • 장서각 소장 고문서 대관 1 - 왕명, 상주-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
    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이민원(원광대학교 역사교육과 초빙교수), 김...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1
    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
    朝鮮王朝篇 1. 敎旨 2. 敎書 3. 封書 4. 敎命 5. 敎文 6. 傳敎 7. 提論 8. 論書

논문(3)

  • 저자 : 차명수(영남대학교), 황준석(영남대학교) | 게재정보 : 경제사학 59권, 게재일 : 2015
    박섭(2006a)의 쌀 생산 추계는 1910년대에 20% 증가를 보여주지만 허수열(2011)은 이를 초래했을 공급요인도 수요요인도 없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쌀 가격과 박섭의 쌀 생산 추계 사이의 상관관계가 약하다는 점을 들어 1910년대의 가격 상승이 생산 증가를 가...
    유형논문
  • 러시아 연방의 최대 밭과 한인: 크라스노다르에서의 연구 결과 [따따르스탄 및 러시아 중남부 지역의 한국학 진흥 | Kazan Federal University]
    저자 : Ko Young Cheol | 게재정보 : Materials of the VII International Scientific and Practical Conference (Krasnodar, November 27-28, 2023) 
  • 사이클과 가격 사이클: 한국의 지역 지식과 국제 무역, 1870-1933 [에딘버러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설립 | The University of Edinburgh]
    저자 : Holly Stephens | 게재정보 : Journal of the History of Economic Thought 

고서·고문서(2,624)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권 여자 내몽골 자치구(内蒙古自治区) 아극석시(牙克石市) 부극(榑克) 부극원 남둔가 24호 2 2 , 옷, 넘어...
    대표표제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경상북도 군위군 흑룡강성(黑龙江省) 철력현(铁力县) 4 4 , 씻어, 떡, 지어, 동생들, 주지도않고,...
    대표표제어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3 2 , 기운, 외로운, 몸, 의탁, 쓸쓸, 기분, 친척, 이국땅, 가슴, 서운, 고국,...
    대표표제어쌀쌀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 권 여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도리구(道里区) 우의로 원주필광 유압차간 2 1 한,어름,...
    대표표제어쌀쌀한 | 성씨
  • 6654 P-SDK-06654-P-E-02-01 P-SDK-06654-P-E-02-01-1 P-SDK-06654-P-E-02-01-2 찧기 Hulling of rice 봉투 없음 봉투 없음. 2매 세트. 사제엽서 사회 생활 ...
    자료명쌀 찧기 | 발행처미상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439)

  • 보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에서(설화 123) 최말숙이 말을 하고 있는 중에, 제보자가 이야기를 꺼냈다. 보리쌀새에 대하여 청중과 의견이 엇갈리기도 했지만 그런 새가 있다는 데는 좌중의 의견이 일치되었다. 역시 며느리를 몹시하는 시어머니와 관계 있는 이야기였다. *
    조사일시1979-04-07 | 조사장소경상북도 월성군 외동면 석계1리 | 제보자임찬희
  • 구멍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계남면의 마을 중 양신은 반촌이며 음신은 민촌이라는 얘기를 한 후 조사자가 앞서 해 주었던 쌀구멍에 관한 얘기를 청하자 다음을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0. 1. 28(목) | 조사장소전북 장수군 계남면 화음리 969번지 계남면 문예복지관 경로당 | 제보자서중식
  • 팔모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금봉씨는 이야기를 다 했다고 하고 고점순씨가 들려준 이야기다.*
    조사일시1979-08-08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가남면 | 제보자고점순
  • 배가 빠져서 썩은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앞의 이야기와 같은 상황에서 이어서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11.04.24 | 조사장소충남 태안군 고남면 장곡리 381-2 | 제보자편완범
  • 태국 20161017_002_025_태국_03_와닛차진시리와닛_P_통에 빠진 쥐 속담 통에 빠진 쥐 2016. 10. 17(월) 오후 서울특별시 광진구 화양동 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조사자 3인 박현숙, 김현희, 김민수 제보자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20)

  • 품종별 의 취반 특성 (나주에서 재배된 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문세훈, 게재일 : 2004
    03968 문세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가정과학회 2004 품종별 의 취반 특성 (나주에서 재배된 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개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준배, 게재일 : 2012
    39520 이준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업경제학회 2012 브랜드 포지셔닝 전략 개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
    유형논문 | 게재일2012
  • 섭취량 변화의 요인별 영향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남욱, 게재일 : 2015
    57208 조남욱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식품정책학회 2015 섭취량 변화의 요인별 영향 분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15
  • 소득보전직불제에 투영된 한국 생산자의 정치적 시장지배력 추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영득, 게재일 : 2010
    29204 조영득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업정책학회 2010 소득보전직불제에 투영된 한국 생산자의 정치적 시장지배력 추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SOM 혼성군집 모형을 이용한 시장세분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준배, 게재일 : 2009
    48805 이준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농업경제학회 2009 SOM 혼성군집 모형을 이용한 시장세분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
    유형논문 | 게재일2009

신문·잡지(2,025)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吳南根(집 ) 수원 吳南根 집 梅山町 2町目 56 - - 미곡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吳南根(쌀집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미곡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申永浩(집 ) 수원 申永浩 집 本町 1町目 37 - - 미곡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申永浩(쌀집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미곡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應化(집 ) 수원 金應化 집 本町 2町目 26 - - 미곡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應化(쌀집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미곡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李炳億(집 ) 수원 李炳億 집 本町 4町目 94 - - 미곡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李炳億(쌀집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미곡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金顯祚(집 ) 수원 金顯祚 집 南水町 27 - - 미곡 - - - 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金顯祚(쌀집 ) | 지역수원 | 품목- | 영업종목미곡 | 자료출처水原商工人名錄, 1942년

멀티미디어(126)

  • 막걸리, 약주 생산
    [한국 근현대 영상자료 수집 및 DB구축 | 고려대학교]
    수확 4,000만섬 돌파로 이 남게 되어 막걸리의 생산이 재개되었다는 소식을 전달하는 뉴스이다. 막걸리를 생산하는 과정과 주점에서 막걸리를 마시는 손님의 모습 등의 영상을 보여주고 있다.
    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77년 12월 14일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 한국인의 _ 의 한국인1_1주차_1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깊이있게다룬다. 이수업을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변화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1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1 2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2 3주차. 조상을 위한 물고기, 조기 4주차. 조기를 쫓아 다닌 사람들,
    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한국인의 _ 의 한국인1_1주차_2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깊이있게다룬다. 이수업을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변화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1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1 2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2 3주차. 조상을 위한 물고기, 조기 4주차. 조기를 쫓아 다닌 사람들,
    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한국인의 _ 의 한국인1_1주차_3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깊이있게다룬다. 이수업을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변화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1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1 2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2 3주차. 조상을 위한 물고기, 조기 4주차. 조기를 쫓아 다닌 사람들,
    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 한국인의 _ 의 한국인1_1주차_4차시
    [한국 경제의 발전 경험에 대한 학술적 성과의 공유와 확산 | 서울대학교]
    깊이있게다룬다. 이수업을 통해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변화에대한이해가가능할것이다. 1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1 2주차. 한국인의 , 의 한국인2 3주차. 조상을 위한 물고기, 조기 4주차. 조기를 쫓아 다닌 사람들,
    강좌제목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 강의자오창현 교수

기타자료(439)

  • 추석을 기한 소비 절약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추석을 기한 소비 절약 추석을 기한 소비 절약 교육 문헌 교육과정 생활지도 잡...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문교부 | 사료철명문교월보
  • 밥(녹말)의 α 화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밥(녹말)의 α 화도 밥(녹말)의 α 화도 교육 문헌 교육과정 생활지도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과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조근도 | 사료철명교육경남
  • (시론) 북에 을 보내는 뜻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시론) 북에 을 보내는 뜻 (시론) 북에 을 보내는 뜻 (시론) 北에 을 보내는 뜻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장정행 | 사료철명교육월보
  • (연구보고) 밥의 ∝화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연구보고) 밥의 ∝화도 (연구보고) 밥의 ∝화도 교육 문헌 현대 교육총류 통계ㆍ조사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조근도 | 사료철명교육경남
  • (교육논단) 7분도 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논단) 7분도 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교육논단) 7분도 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 교육 문헌 교육총류 기타총류
    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서순희 | 사료철명교육경남

연구과제(2)

  • 일제 말(1937~1945) 조선인 국방헌납 연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김인호 | 동의대학교 | 2022 | 국내 | 부산

  • 영․정조대 국가운영과 왕실재정-정례서를 통해 본 왕실과 나라 살림-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최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4 | 국내 | 경기

주제어사전(217)

  • / rice [과학/식물]

    형적이 나타났다고 하며, 일본에는 서기전 1세기경에 중국의 중남부에서 전해왔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들어온 도 역시 일본형이므로 그 무렵이라고 추정하고 있다.

  • 뒤주설화 / [문학/구비문학]

    남편이 있는 여자와 간통하려던 남자가 본남편을 피하여 뒤주에 숨었다가 망신당하였다는 내용의 설화. 풍자적인 성격을 지닌 소화(笑話)에 속한다. 문헌설화로는 『동야휘집(東野彙輯)』에 「차관출궤수라단(差官出櫃羞裸袒)」이라는 제목으로 실려 있다. 구전설화는 널리 분포되어

  • 말하는 자루 / [문학/구비문학]

    이웃집 여자와 간통하던 남자가 본남편을 피하여 자루에 들어가 숨었으나 말을 하여 들켰다는 내용의 설화. 옛날 어떤 곳에 이웃집에 사는 예쁜 여자를 탐하던 남자가 그 여인의 남편이 출타한 틈을 타서 집에 들어가 여자와 잠자리를 같이 하려는데, 뜻밖에 남편이 돌아왔다.

  • 나오는 구멍 / [문학/구비문학]

    절 근처의 바위나 동굴에 있던 나오는 구멍이 욕심 많은 중 때문에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다는 설화. 문헌설화는 『동국여지승람』 등에 전해지고 있으며, 구전으로는 전국적으로 전승되는 대표적인 설화의 하나이다. 이 설화는 「술 나오는 샘 설화[酒泉說話]」와 비교

  • 한 알로 장가든 총각 / [문학/구비문학]

    과거를 보러 가는 젊은이가 좁 한 알로 점점 이득을 보는 교환을 하여 성공한다는 내용의 설화. 형식담(形式譚)에 속하며, 그중에서도 누적적형식담(累積的形式譚)에 속한다. 즉, 한 행위가 원인이 되어 다음 행위가 생기는 결과가 계속되어, 끝 결과는 가장 큰 기대를 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