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십현담요해” 에 대한 검색결과 총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4)
- 십현담요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475년(성종 6) 김시습(金時習)이 중국 상찰(常察)이 지은 「십현담」의 요지를 해석한 책. [내용] 1권 1책. 목판본. 폭천산(瀑泉山)에서 저술하였으며, 1509년(중종 4) 전라남도 순천 대광사(大光寺) 간행본이 전...
- 조동오위요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하였다. 그 종지는 무상(無相)을 이상으로 삼으면서도 유무(有無)의 상대적 편견을 넘어서야 한다고 가르친다. ④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에서는 『화엄경』에서 가르치는 십현의 대의를 상징적으로 해설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체로 이 책은 지겸ㆍ일연...
- 불교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등을 남겼다. 설잠(雪岑)은 ≪법계도주 法界圖註≫‧≪조동오위요해 曹洞五位要解≫‧≪십현담요해 十玄談要解≫‧≪법화경별찬 法華經別讚≫ 등을 남겼다. 중기의 휴정은 ≪선가귀감 禪家龜鑑≫을 지었고, 정원(淨源)은 ≪선원제전집도서 禪源諸銓集都序≫와 ≪법집별행록절...
- 철학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학의 기본 개념 10가지를 설명한 ≪십현담 十玄談≫을 정밀하게 해석한 ≪십현담요해 十玄談要解≫를 저술하여 선학을 심화시켰다. 명종 때 불교 재건을 시도했던 보우(普雨)는 <일정론 一正論>에서 ‘일(一)’은 ‘성실하여 망령됨이 없는 것’이며 ‘하늘의 이치’요, ‘...
신문·잡지(2)
-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1 十玄談要解 십현담요해 형태서지 玄談要解 [雪岑 著] [朝鮮] [韓國] 木板本 朝鮮前期 1冊 H7, p.309. 경남대표표제어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1 | 대표서명十玄談要解 | 한글서명십현담요해 | 서지형태형태서지
-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2 十玄談要解 십현담요해 형태서지 玄談解 [雪岑 著] [朝鮮] [韓國] 木板本 朝鮮前期 1冊 H7, p.309. 경남 통...대표표제어십현담요해(十玄談要解) 2 | 대표서명十玄談要解 | 한글서명십현담요해 | 서지형태형태서지
주제어사전(2)
-
십현담요해 / 十玄談要解 [언론·출판]
동안상찰(?-961), 목판본. 책의 구성은 불분권 1책 39장이다. 표제는 <십현담요해전>으로 되어 있다. <십현담>은 조동종의 가풍과 수행자의 실천 지침 등을 칠언율시 형식의 10수로 지은 것인데, 각 수의 제목은 심인, 조의, 현기, 진이, 연교, 달본, 환원
-
김시습 / 金時習 [종교·철학/유학]
불교의 합치를 추구했다. 저서로는 <매월당집>, <십현담요해>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