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십문화쟁론” 에 대한 검색결과 3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9)

사전(16)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라고 할 수 있다. 원효는 이러한 일승통불교사상에 입각하여 화쟁통교이념(和諍通敎理念)을 전개시켰으므로, 이것이 ≪≫의 총상이 된다. 제2문 <공유이집화쟁문 空有異執和諍門>에서 밝힌 공과 유의 대립은 인도의 중관학파‧유가학파, 중국의 자은법상종(慈...
    연계항목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신라 시대의 승려 원효가 불교의 여러가지 이론(異論)을 열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한 후, 이 대립적 주장들을 하나로 회통시킨 책
    정의신라 시대의 승려 원효가 불교의 여러가지 이론(異論)을 열 가지로 분류하여 정리한 후, 이 대립적 주장들을 하나로 회통시킨 책 | 문광부표기Simmun hwajaengnon | MR표기Simmun hwajaengnon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이종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개하였고, 산일된 원효의 『()』을 복원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그의 학문적 업적은 특히 보조와 원효사상 연구 분야에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한 것으로 평가된다. 『고법운이종익박사논문집(故法雲李鍾益博士論文集)』(이종익박사...
    이칭별칭 법운(法雲)
  • 통불교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양하고, 하나의 성불의 길로 회통하는 불교를 후세의 학자들이 통불교라고 한 것이다. 최남선은 원효를 ‘통불교의 건립자’라고 지적하고 있다. 원효는 ≪ ≫에서 대승‧소승 및 공‧성‧상의 교리에서 서로 모순되고 논쟁이 되는 문제 가운데 가장 핵심되...
  • 원융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정토와 예토가 본래 한 마음이요 생사와 열반이 두 가지가 아니라는 것을 밝혔다. 이와 같이, 원효의 모든 저술은 원융사상을 기초로 하여 그 내용을 전개시키고 있으며, 특히 ≪ ≫은 당시의 중국 및 우리 나라 불교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던 열 가지 논...

고서·고문서(1)

  • 경주 고선사 서당화상비 [국내외 출토 한국 고대 역사자료의 총집성과 통합 DB 구축 | 동국대학교]
    十門論者■■如来在世已賴圎音衆生䒭雨驟空空之論雲奔㦯言我是言他不是㦯説我然説他不然遂成河漢矣■■大山而投廻谷憎有愛空猶捨樹以赴長林譬■青藍共體氷水同源鏡納万形水分通融聊為序述名曰衆莫不允僉曰善㢤■花嚴宗要者理雖元一随■■■■讚歎婆娑翻為梵語便附■人此■言其三藏寶重之由也■山僧提酒■后土立待...
    연대9세기 초 | 서체해서 | 소재지국립중앙박물관(하부 3편), 동국대학교 박물관(상편) | 자료문의동국대학교 윤선태 교수

신문·잡지(12)

  • () 1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1 형태서지 元暁 造 [新羅] [韓國] 2卷 H1, p.838. 無 『高山寺聖敎目錄』에 기록되는 뿐이며 현...
    대표표제어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1 | 대표서명十門和諍論 | 한글서명십문화쟁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 2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2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刊寫年未詳] 2冊 27.5x23.0 H1, p....
    대표표제어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2 | 대표서명十門和諍論 | 한글서명십문화쟁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 3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 3 형태서지 [元曉 述] [新羅] [韓國] 木版本 [刊寫年未詳] 線裝 1冊 30.0x41...
    대표표제어십문화쟁론(十門和諍論) 3 | 대표서명十門和諍論 | 한글서명십문화쟁론 | 서지형태형태서지
  • 십문쟁화론(十門諍和論) 4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십문쟁화론(十門諍和論) 4 유통서지 1 元曉 東域傳燈目錄 T55, p. 1161c9
    대표표제어십문쟁화론(十門諍和論) 4 | 대표서명十門和諍論 | 한글서명십문화쟁론 | 서지형태유통서지
  • 십문쟁화론(十門諍和論) 6 [한국찬술 불교문헌의 확장형 서지 DB 및 디지털 지형도 제작 | 동국대학교]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지정주제 동국대학교 김천학 언론·출판 문헌 전근대 십문쟁화론(十門諍和論) 6 유통서지 2 五十 小乘經論記目錄(七寺古逸經典硏究叢書 第六卷, 1998...
    대표표제어십문쟁화론(十門諍和論) 6 | 대표서명十門和諍論 | 한글서명십문화쟁론 | 서지형태유통서지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불교]

    불교문헌. 저자는 원효이다. 불교의 여러가지 이론을 10문으로 분류하여 정리한 것이다. 원효의 <>의 중심사상은 화쟁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원효가 지향한 이론은 대립과 모순의 현실을 극복하여 하나의 세계로 지향하려는 사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