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심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7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50)
사전(282)
- 송천필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심재(沈0xF973)가 학문‧정치‧경제를 비롯하여 미담과 가화(佳話)를 듣고 본 대로 기록‧정리한 책. [서지적 사항] 4권 4책. 필사본. 권두에 심재의 자서와 범례가 있어 이 책 수집의 동기와 목적, 그...
- 심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숙종실록(肅宗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심재 글씨 1624(인조 2)-1693(숙종...이칭별칭 문숙(文叔)| 양졸재(養拙齋)
- 심재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장자(莊子)》에서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가 안회(顔回, 기원전 521-490)에게 알려주었다고 하는 수양법으로, 의식이나 감각을 잠재우고 마음을 비우는 것.정의《장자(莊子)》에서 공자(孔子, 기원전 551-479)가 안회(顔回, 기원전 521-490)에게 알려주었다고 하는 수양법으로, 의식이나 감각을 잠재우고 마음을 비우는 것.[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simjae | MR표기simjae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소심재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논한 글이다. 그밖에 『대학』의 내용을 강의한 「강학(講學)」과 선비가 농사짓는 것을 찬미한 「잠포설(潛圃說)」 등이 있다. 소심재집(권2) / 잠포설 조선 후기의 학자 노용규의 시문집으로, 1910년 아들 주홍이 편집...
- 심재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87(고종 24)∼1913. 조선 말기의 의병. [내용] 별명은 재구(在龜).?강원도 삼척 출신. 1909년 11월 주명식(朱明識) 의병부대의 도총장(都總長)이 되어 의병 20여명을 인솔,?강원도 울진 등지의 각 촌락을 순행하며 군자금...
단행본(6)
- 역사여명기의 종족 정체성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 경북대학교]저자 : 이성주, 심재훈,윤재석,오강원,홍형우,김창석,... | 출판사 : 진인진 | 출판일 : 20180915
- (조선왕실의 일상 1) 조선의 왕으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1.12.05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조선시대의 왕 (1) 왕에 주목하는 이유 (2) 조선시대의 왕과 왕권 (3) 호칭으로 본 왕과 왕실 (4) 조선시대 정치 운영의 특징과 왕의 일상 (5) 왕
- 숙빈 최씨 자료집 3-의주, 식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만조(국민대학교 문과대학 국사학과 교수),...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0.03.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新祠宇奉安時儀》 《毓祥宮上冊印儀》 《毓祥宮昭寧園式例》 《毓祥宮昭寧園式例》 《육샹궁묘현의》 《毓祥宮中賭租折半收捧成冊》 숙빈최씨 자료의 내용과
- 영조 비빈 자료집 1-의궤, 등록, 기타- [장서각 왕실문헌 연구기반 조성사업(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박용만(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정해은(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선임연구원),... | 출판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판부 | 출판일 : 2011.02.28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貞聖王后國恤儀軌》 《貞純王后國恤謄錄》 《貞純王后袝廟都監儀軌》 《弘陵志》 《弘陵寢郞先生案》 《弘陵祭器年限冊》 《孝安殿日記》
- (조선왕실의 일상 2) 조선의 왕비로 살아가기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 한국학중앙연구원]저자 : 심재우(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학부 교수), 한형주(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교수), 임민혁(한... | 출판사 : 돌베개 | 출판일 : 2012.09.30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1. 조선시대의 왕비 (1) 왕비의 위상과 역할 (2) 왕실 여성의 위계와 왕비의 궁중생활 (3) 다양한 왕비의 모습들 2. 왕비의 간택과 책봉 (1) 만민을 친
고서·고문서(688)
- 每心齋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130 文集 卷十三 ITKC_MP_0597A_0130_020_0220 每心齋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記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권차명文集 卷十三 | 문체雜著類|記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與遠心齋 [『연암집』 정본 사업 | 단국대학교]문화‧생활 작품 조선 燕巖集 卷之五 潘南朴趾源美齋著 映帶亭賸墨○尺牘 與遠心齋 與遠心齋 惠風家, 有『續白虎通』, 漢班彪撰, 晉崔豹注, 明唐寅評. 僕以爲奇書, 袖歸, 燈下細閱, 乃惠風自集虎說, 以資解頤. 僕可謂鈍根. 唐寅字伯虎故耳. 雖然, 可博一粲, 覽已, 可卽還投.대표표제어與遠心齋 | 목차映帶亭賸墨○尺牘
- 求放心齋銘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kt_00032 문화‧생활 작품 조선 심경부주질서(心經附註疾書) 心經附註卷四 求放心齋銘 求放心齋銘 이익(李瀷, 1681~1763) HCCH_36:1 “屈伸”, 以寂感言, “反覆”, 以出入言. HCCH_36:2 “相”, 交相也, 謂“切問近思”與“防微謹獨”, 交相...서명심경부주질서(心經附註疾書)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朱子求放心齋銘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ITKC_MP_0597A_0300 心經密驗 ITKC_MP_0597A_0300_020_0360 朱子求放心齋銘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권차명心經密驗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晩尋齋先生祝文 01 [조선시대 영남지역 종가생활문화자료 집성 및 DB화 | 경북대학교]3093 1809_01 晩尋齋先生祝文 01 문화ㆍ생활 문헌 근대 곽안방 종가, 의례, 제례, 제례절차, 치부기록류, 축문 한자 고문서 CKck003.JPG 晩尋齋先生祝文 祝文 미상 미상 미상 1 곽안방 종가 ...자료구분고문서 | 현소장처곽안방 종가 | 자료문의경북대학교 우인수 교수
구술자료(148)
- 심재문 인터뷰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심재문 인터뷰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3월 11일 HN_09_PI_심재문_170311.pdf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심재문_녹음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심재문_녹음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03월 11일 1시 08분 11초 HN_09_PI1_심재문_170311_001.mp3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심재문_녹음002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심재문_녹음002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03월 11일 25분 22초 HN_09_PI2_심재문_170311_001.mp3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심재문_녹음003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심재문_녹음003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03월 11일 42분 20초 HN_09_PI2_심재문_170311_002.mp3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심재문_사진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심재문_사진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03월 11일 93 HN_09_PI_심재문_170311_00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기초학문(63)
- 시민참여형 도심재생모델의 정립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희권, 게재일 : 200737946 신희권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정치정보학회 2007 시민참여형 도심재생모델의 정립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유형논문 | 게재일2007
- 심재 조긍섭의 비공화론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71590 한국연구재단 동양한문학회 2010 심재 조긍섭의 비공화론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심재 조성렴의 삶과 시세계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8609 한국연구재단 경상대 남명학연구소 2011 심재 조성렴의 삶과 시세계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유형논문 | 게재일2011
- 근대역사경관을 활용한 상하이의 도심재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161758 한국연구재단 대한지리학회 2011 근대역사경관을 활용한 상하이의 도심재생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유형논문 | 게재일2011
- 평결불능 배심단의 특성: 모의배심재판 실험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이은로, 게재일 : 201030646 이은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평결불능 배심단의 특성: 모의배심재판 실험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86)
- 沈載榮(沈載榮)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沈載榮(沈載榮) 서울 沈載榮 沈載榮 旭町 1-199 식료품 - 염건어(鹽干魚) 소매 16.2 과일 겸업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沈載榮(沈載榮) | 지역서울 | 품목식료품 | 영업종목염건어(鹽干魚)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沈在祿(沈在祿商店)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사건 근대 沈在祿(沈在祿商店) 개성 沈在祿 沈在祿商店 北本町 4 - - 고무신업 - - - 開城商工名錄, 1936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대표표제어沈在祿(沈在祿商店) | 지역개성 | 품목- | 영업종목고무신업 | 자료출처開城商工名錄, 1936년
- 서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서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서우(西友) 서우(西友)_2호 序 1907. 01. 01. 27 75 심재(心齋) 이도재(李道宰) 대한제국 「서우학회취지서」를 읽고 느낀 바를 쓴 글 서우학회, 서우학회취지서, 서우 서우번역문...잡지명서우(西友) | 호수서우(西友)_2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출판경찰보 103호 일본군비의 검토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일본 언론·출판 문헌 근대 출판경찰보 103호 일본군비의 검토 일본군비(日本軍備)의 검토(檢討) 장심재(莊心在) 미기재 남경(南京) 일본_1937년 3월 10일 금지 안녕 중국어 일본군비의 검토 전반(全般)에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103호 일본군비의 검토 | 출판물명일본군비(日本軍備)의 검토(檢討)
- 하이라인_1971_02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개리 워터즈, 심재섭 역 36 칼시움-인의 불균형은 수익균형을 파괴한다 39 양계에 있어서의 효소의 이용 장지종 42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71
멀티미디어(60)
- 년대민족해방운동과 사회운동의 성장 7주차. 해방직후 사회운동의 분출과 탄압 8주차. 4월혁명으로되살아난 사회운동 9주차. 박정희 정권기 반독재민주화를 위한 사회운동의 진전 10주차. 5.18민중항쟁과6월항쟁 그리고 1990년대이후 사회운동의 다변화 권내현 심재우 김강좌제목민란에서 촛불까지 | 강의자권내현 심재우 김헌주 조형열
- 년대민족해방운동과 사회운동의 성장 7주차. 해방직후 사회운동의 분출과 탄압 8주차. 4월혁명으로되살아난 사회운동 9주차. 박정희 정권기 반독재민주화를 위한 사회운동의 진전 10주차. 5.18민중항쟁과6월항쟁 그리고 1991년대이후 사회운동의 다변화 권내현 심재우 김강좌제목민란에서 촛불까지 | 강의자권내현 심재우 김헌주 조형열
- 년대민족해방운동과 사회운동의 성장 7주차. 해방직후 사회운동의 분출과 탄압 8주차. 4월혁명으로되살아난 사회운동 9주차. 박정희 정권기 반독재민주화를 위한 사회운동의 진전 10주차. 5.18민중항쟁과6월항쟁 그리고 1992년대이후 사회운동의 다변화 권내현 심재우 김강좌제목민란에서 촛불까지 | 강의자권내현 심재우 김헌주 조형열
- 년대민족해방운동과 사회운동의 성장 7주차. 해방직후 사회운동의 분출과 탄압 8주차. 4월혁명으로되살아난 사회운동 9주차. 박정희 정권기 반독재민주화를 위한 사회운동의 진전 10주차. 5.18민중항쟁과6월항쟁 그리고 1993년대이후 사회운동의 다변화 권내현 심재우 김강좌제목민란에서 촛불까지 | 강의자권내현 심재우 김헌주 조형열
- 년대민족해방운동과 사회운동의 성장 7주차. 해방직후 사회운동의 분출과 탄압 8주차. 4월혁명으로되살아난 사회운동 9주차. 박정희 정권기 반독재민주화를 위한 사회운동의 진전 10주차. 5.18민중항쟁과6월항쟁 그리고 1994년대이후 사회운동의 다변화 권내현 심재우 김강좌제목민란에서 촛불까지 | 강의자권내현 심재우 김헌주 조형열
기타자료(117)
- 심재구;沈宰求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212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8면 심재구;沈宰求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재형;沈載衡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356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6면 심재형;沈載衡 제12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재호;沈載浩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2357 남한 경성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1-18 同窓會員名簿(昭和十九年四月現在) 1944 86면 심재호;沈載浩 경기도 부천군 계남면 소사리 118 제12회 1937년 3월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재곤;沈載坤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296 남한 경성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1-12 慶雲 1942―12―03 70면 (학과)본과신제도 심재곤;沈載坤 경기도 부천군 소사면 소사리 118 17회 1939년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재욱;沈載昱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6996 남한 경기 수원고등농림학교 2-31 朝鮮總督府水原高等農林學校一覽 1923―10―30 98면 심재욱;沈載昱 충남 제3회 1910년 4월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수원고등농림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9)
-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심재우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8 | 국내 | 경기
-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심영환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11 | 국내 | 경기
-
장서각 왕실문화총서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이완우 | 한국학중앙연구원 | 2007 | 국내 | 경기
-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이성주 | 경북대학교 | 2013 | 국내 | 대구
-
《한국 근대 민사판결문》의 DB화 및 국역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사업 | 이승일 | 강릉원주대학교 | 2015 | 국내 | 강원
주제어사전(15)
-
심재 / 沈梓 [종교·철학/유학]
1624(인조 2)∼1693(숙종 19). 조선 후기의 문신. 창수 증손, 할아버지는 창, 아버지는 유행, 어머니는 권씨이다. 1654년(효종 5)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한 뒤 검열을 지냈다. 이조판서, 좌참찬, 판중추부사, 공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
심재집 / 深齋集 [문학/한문학]
조선 말기의 학자 조긍섭(曺兢燮)의 문집. 41권 20책(원집 31권 15책, 속집 10권 5책). 활자본. 『심재집』에는 1966년에 쓴 조규철(曺圭喆)의 발이 있다. 원집 권1에 부 2편, 권2∼4에 시 495수, 권5∼12에 서(書) 254편, 권13∼15에 잡
-
이도재 / 李道宰 [역사/근대사]
대한제국 외부대신(1848∼1909). 전라도관찰사 때 동학농민지도자 전봉준을 생포하였다. 학부대신 때 단발령 강행에 반대하였다. 최초 서양의학교육기관인 한성의학교 설치를 인가하였다. 공으로 태극장을 받았으나 이완용의 모함으로 나문정죄 되었다.
-
현산문집 / 玄山文集 [문학/한문학]
『현산문집』의 서문은 없다. 권말에 이성도의 발문이 있다. 권1에 시 36수가 실려 있다. 대부분 동료와의 화답시이다. 권2에는 이건방(李建芳)·정인보 등에게 보낸 편지 38편이 있다. 문기(文氣)에 입각한 문장론을 자주 개진하고 있다. 권3에 「심재문집서(心齋文集序)
-
삼법사 / 三法司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사법권을 가진 세 관청. 형조·사헌부·한성부 또는 사헌부·장례원·한성부를 일컫는다. 법사란 사법권을 지닌 기관을 의미한다. 형조는 사법행정의 감독기관인 동시에 복심재판기관, 사헌부는 언론기관인 동시에 결송기관, 의금부는 추국기관인 동시에 특별재판기관, 장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