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심익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
사전(13)
- 심익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1(인조 19)∼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문신ㆍ서예가. [개설]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가회(可晦), 호는 죽오(竹塢). 순천부사 종침(宗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설(偰)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지원(之源)이며, 어머니...이칭별칭 가회(可晦)| 죽오(竹塢)
- 심익현(沈益顯)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심익현 심익현 沈益顯 정치·행정가관료/문신/서예가 인물 한국 조선 인조~숙종 홍연주 박종국 2012 가회(可晦) 죽오(竹塢) 청평위(靑平尉) ...
- 조배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오랫동안 만나지 못함. 阻拜瞻戀中 伏奉令下札 憑審令起居萬安 仰慰區區, 심익현(沈益顯), 21(禮)-183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하색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구하시는. 상대방이 어떤 물건을 구해달라고 부탁한 것을 높여 이르는 말. 下索至聖保命丹 適無所儲 明朝當覓呈是計, 심익현(沈益顯), 21(禮)-182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숙명공주(淑明公主)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언니)숙신공주(淑愼公主), 숙안공주(淑安公主) (여동생)숙휘공주(淑徽公主), 숙정공주(淑靜公主), 숙경공주(淑敬公主) 청송 심씨(靑松沈氏) : 심지원(沈之源)의 아들 심익현(沈益顯) →(자녀)2남 (1자)심정보(沈廷輔) (2자)심정협(沈廷協) ...
고서·고문서(28)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上曰, 京衙門則無可貸之銀貨, 自管餉運餉, 貸給銀八千兩, 而六千兩則自管餉貸給, 二千兩則自運餉貸給, 可也。 上使沈益顯曰, 自前赴京時, 灣上盤纏, 例自運餉磨鍊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015 B07301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6年 6月 10日_015 ○上·副使·書狀官, 入侍。 副使申晸所啓, 自前赴京時, 譯官輩, 例爲齎去銀貨, 到京之後, 多有聚斂酬應之事, 而今番則譯官, 空手以去, 無以酬應云。 彼輩, 必以有異於前, 致訝矣。 上使沈益...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1666년 인선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1) 국립청주박물관 영인사항 :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이 편지는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가 둘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 1640~1699)에게 보낸 것이다. 부마 심익현이 궁에 들어온 것이라면 못 볼 수가 없을 것이므로, ‘부마...발신자인선왕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조선시대 한글편지:인선왕후가 숙명공주에게 보낸 편지-11 [조선시대 한글편지의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학중앙연구원]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국립청주박물관 영인사항 : 숙명신한첩(국립청주박물관, 2011) 이 편지는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가 둘째 딸 숙명공주(淑明公主, 1640~1699)에게 보낸 것이다. 발신 시기는 숙명공주가 심익현(沈益顯)과...발신자인선왕후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팀(연구책임자:황문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御史, 雖已封庫, 自此未知罪之輕重, 則不可輕先出代, 待御史, 入來差送, 何如? 上曰, 依爲之。 吳挺緯曰, 昌城君佖盤纏, 今當磨鍊啓下, 而昌城君佖之赴燕, 在於壬子。 其時無盤纏減省之事, 靑平尉沈益顯等, 赴燕, 在於近年匈荒之後, 故盤纏, 有所減省。 今若一依前所磨鍊, 則其數,...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4)
- 심익현;沈益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34556 북한 평남 耶稣敎長老會神學校 耶蘇敎長老會神學生名簿表 n.r. 17면 심익현;沈益鉉 평안남도 평양군 대보면 이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耶稣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익현;沈益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99092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1호 1923―01 12면 1. 본 신학교 졸업생 및 재학생 씨명;7) 제7회 졸업생 18인(1914년) 심익현;沈益鉉 평남 대동군 용산면 하리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익현;沈益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01022 북한 평남 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학우회보 제2호 1923―06―08 23면 2. 본교별 신학생 및 주일학교 강습생 씨명;1) 별신학생 씨명 심익현;沈益鉉 평안남도 대동군 용산면 하리 161...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조선야소교장로회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익현;沈益鉉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심익현;沈益鉉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심익현 / 沈翼顯 [역사/조선시대사]
1641(인조 19)∼1683(숙종 9). 조선 후기의 문신ㆍ서예가. 본관은 청송(靑松). 순천부사 종침(宗忱)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설(偰)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지원(之源)이며, 어머니는 부사 윤종지(尹宗之)의 딸이다. 대표적 관직으로는 부마, 청평위(靑平尉),
-
숙명공주 / 淑明公主 [정치·법제/법제·행정]
1640년(인조 18)∼1699년(숙종 25). 효종의 둘째 딸. 모친은 인선왕후(仁宣王后)이다. 청평위(靑平尉) 심익현(沈益顯)에게 시집을 갔다. 심익현은 이조참판 심지원(沈之源)의 아들이다. 60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소생으로는 심정보(沈廷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