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심약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0)
사전(3)
- 심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40(인조 18)∼1684(숙종 10).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 본관은 청송(靑松). 자는 성윤(聖潤). 사인(舍人) 광세(光世)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억(檍)이고, 아버지는 약한(若漢)이며, 어머니는 예조판서 이기조(李基祚)의...이칭별칭 성윤(聖潤)
- 이덕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어머니는 심약한(沈若漢)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박세당(朴世堂)‧김창흡(金昌翕)의 문인이다. 선조의 덕으로 직장(直長)을 지내다가 1713년(숙종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문의현감으로 임명되었다. 경종이 즉위하자 지평에 임명되어 내직...이칭별칭 인로(仁老)| 벽계(蘗溪), 서당(西堂)| 문정(文貞)
- 심유(沈濡)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684년(숙종 10) 2월 25일 청송(靑松) 서울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마장리 심광세(沈光世) 심억(沈檍) 심약한(沈若漢) 한산 이씨(韓山李...
고서·고문서(4)
- 풍악유기(楓嶽遊記)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44)의 자는 인로(仁老), 호는 벽계(蘗溪) 또는 서당(西堂), 시호는 문정(文貞), 본관은 전의(全義)이다. 아버지는 참판 이징명(李徵明)이며, 어머니는 심약한(沈若漢)의 딸이다. 박세당(朴世堂)‧김창흡(金昌翕)의 문인이다. 1713년 문과에 급제하여 문의 현감이...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이덕수(李德壽)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김성찬 타태 피고사건 판결문( 金星燦 墮胎 被告事件 判決文) [일제강점기 형사사건기록의 수집․정리․해제․DB화 | 동국대학교]재는 신태숙은 여자로서 심약한 관계상 경찰관의 고문을 감당하지 못하여 사실이 아닌 진술을 한 것은 한점 의심할 것도 없다고 상교됨. 이는 대정 13년 9월 26일 함흥지방법원 예심파사의 증인 박씨에 대한 심문조서 중 판사가 “성찬은 태숙과 통해 있었던 것 같은 일이 있...제목김성찬 타태 피고사건 판결문( 金星燦 墮胎 被告事件 判決文) | 사건유형 타태 | 소장처국가기록원
- 관동추순록(關東秋巡錄) [금강산유람록 번역 및 주해 | 경상대학교]今年七月戊申. 除命下, 八月丙子, 辭陛, 庚辰到界. 壬午謁聖點兵.謁聖點兵, 每邑皆行, 後不復記. 越十日壬辰, 發自原營, 將啓秋廵, 兒子晦一曁幕裨‧前僉使尹相殷,前司果鄭哲先,審藥韓道昌從, 保安察訪姜時儆使之落後, 僕從可省者省之, 厨供可蠲者蠲之, 盖爲山水之役, 從其簡也, 是日...구분금강산 유람기 | 저자유창(兪瑒) | 자료문의경상대학교 장원철 교수 연구팀
- 가오고략 [규장각 도서자료 연구사업(2단계) | 서울대학교]조정의 막중한 임무를 수행하면서 항상 청렴하고 강직했다는 점을 강조했다. 吏曹判書西堂李公行狀 (76) 조선후기의 문신 西堂 李德壽(1673∼1744)의 행장이다. 본관은 全義, 字는 仁老, 부친은 李徵明, 어머니 靑松沈氏는 沈若漢의 딸이다. 1713년(숙종 39)...분야문학 | 유형문헌
기타자료(3)
- (교육논단) 심약한 학생,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육논단) 심약한 학생,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교육논단) 심약한 학생, 어떻게 지도할 것인가 (敎育論壇) 심약한 學生,어떻게 指導할 것인가 교육 문헌 평생교육 가...범주1평생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경희 | 사료철명수도교육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정준택 평정서 [러시아문서보관소 소장 해방후 한국사회 관련 자료의 수집 번역 및 주해 (1945~1950) | 동국대학교]약한 성격은 정준택의 주요한 결점이다. 그의 심약한 성격은 국가계획위원회 각 부서에 부과된 과업을 수행하는 사업에서 자기 기관에 대해, 그리고 인민경제계획의 수행 과정에서 사회문화 건설의 통제를 입안 실현하는 문제에 대한 정부의 지시와 결정을 실행에 옮기는데 대해 철저...키워드정준택, 국가계획위원회, 경제계획 | 대표주제어정준택 | 발신자레베데프
- 20. 대한제국의 상황 [한불외교자료의 탈초,번역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해임을 받아내기로 결의했습니다. 조병식이 자신의 직을 유지하지 않겠다고 약속하는 사이, 더욱 더 겁에 질린 군주는 어떤 책임도 지지 않으려는 생각에 서둘러 그를 파면함으로써 다신 한 번 심약한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 전에 그는 독립협회 회장을 소환하여 조씨의 직을 유지...집필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작성연도1898년 | 작성월일7월 23일 | 발신자V. 콜랭 드 플랑시, 대한제국 주재 프랑스 공사 | 수신자아노토, 프랑스 외무부 장관
주제어사전(2)
-
심약한 / 沈若漢 [종교·철학/유학]
1623년(인조 1)∼1650년(효종 1). 조선 중기 유생. 심온 후손, 증조는 심엄, 조부는 심광세이다. 부친 심억과 모친 황유첨의 딸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이기조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을 힘써 닦았으며, 약관의 나이에 스승을 찾아 종유하며 식견을 넓혔으나
-
이덕수 / 李德壽 [종교·철학/유학]
1673(현종 14)∼1744(영조 20). 조선 후기의 문신. 행건 증손, 할아버지는 만웅, 아버지는 징명, 어머니는 심약한의 딸이다. 박세당·김창흡의 문인이다. 1713년(숙종 39)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이조좌랑, 대사성, 대사헌, 이조참판, 형조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