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심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75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29)
사전(222)
- 心方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3_D_0041 心方 심리·감정 鄭圃隱 送林主事 D_03_03_36 대동운부군옥 3권 3장 3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3권 3장 3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매인심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한다. 이 본향당에는 그 신당의 관리와 제의를 도맡아 하는 심방(무당)이 있으니, 이를 매인심방이라 부르는 것이다. 지금은 이 매인심방제도가 많이 흐트러져서 아무 심방이나 그 당의 본풀이(堂神話)와 제의방법을 알고 있으면 제의를 할 수 있는 본향당이 태반이 되어...
- 심방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양금신보(梁琴新譜)』의 「중대엽(中大葉)」에 붙은 다른 이름. [내용] 「심방곡」의 원뜻은 미상이다. 시나위 연주자들은 시나위를 신방곡(神房曲)이라고도 하고 그 뜻을 ‘신방구지다’라고 하였으나, 그들이 말하는 ‘신방구지다’(신난다, 멋...이칭별칭중대엽(中大葉)|학구무가(鶴龜舞歌)
- 심방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제주도 심방의 조직단체. [내용] 제주도에서는 무격(巫覡)을 심방[神房]이라고 부르는데, 심방청은 거기서 따온 조직명칭이다. 심방들은 자연적인 자신들의 조직을 가지고 있으니 세습무계와 단골판 등이 이러한 사례에
- 의심방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984년에 일본인 단바 야스노리(丹波康賴, 912-995)가 편술한 의서.정의984년에 일본인 단바 야스노리(丹波康賴, 912-995)가 편술한 의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Uisimbang | MR표기Ŭisimbang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314)
- 심방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심방사전 인문학 기독교신학 목회상담학 심방사전 李贊英 著 은성문화사 서울 1968 종교; 기독교; 선교; 목회; [국중...대표표제어심방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목회상담학
- 새심방 설교대사전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새심방 설교대사전 인문학 기독교신학 기독교일반 새심방 설교대사전 이관식 지음 백합출판사 서울 1982 기독교; 설교; 선교...대표표제어새심방 설교대사전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기독교일반
- 7 第七統統首沈龍白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59년_범서면(凡西面) 1759년 범서면(凡西面) 第三沙良洞里 7 第七統統首沈龍白 第七統一戶 主鎭軍沈龍白年參拾貳戊申本靑松父記官之玉+閏祖學生澄良曾祖忠義衛胤胄外祖 嘉善宋順建本延安妻李姓年參拾貳戊申本月城父業武世起祖業武必善曾祖業武 昌益外祖忠翊衛姜戒仁本晋州...연도_면이름1759년_범서면(凡西面) | 면이름범서면(凡西面) | 마을이름第三沙良洞里
- 4 第四統統首沈彭德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1771년_상부내면(上府內面) 1771년 상부내면(上府內面) 第八中部里 4 第四統統首沈彭德 第一戶 官奴沈彭德年參拾捌甲寅本靑松父通政大〈成〉祖老職嘉善大夫仁活曾祖通政起萬外祖老職嘉善大夫同知中樞 府事尹就殷本坡平妻崔姓年貳拾玖癸亥本月城父通政雲昌祖幼學時天曾祖幼學武...연도_면이름1771년_상부내면(上府內面) | 면이름상부내면(上府內面) | 마을이름第八中部里
- 1004 심방설교대사전(상,하)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 구축 | 고려대학교]교육 개념용어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고려대학교 최호철 1004 심방설교대사전(상,하) 인문학 기독교신학 기독교일반 1004 심방설교대사전(상,하) 윤도중 지음 예루살렘 서울 200...대표표제어1004 심방설교대사전(상,하) | 대분류인문학 | 중분류기독교신학 | 소분류기독교일반
구술자료(31)
- 심방이 된 내력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구연상황 없음*조사일시1979-12-09 | 조사장소제주도 제주시 용담동 | 제보자김창인
- 김영철 심방_녹음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김영철 심방_녹음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08월 26일 2시 06분 59초 JJ_01_PI_김영철_170826_001.mp3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서순실 심방_녹음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서순실 심방_녹음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8년 04월 01일 1시 13분 54초 JJ_02_PI_서순실_180401_001.mp3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김영철 심방_사진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김영철 심방_사진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08월 26일 16 JJ_01_PI_김영철_170826_ (1).jpg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 김영철 심방_영상001 [굿판 악사의 생애와 예술세계 관련 자료 집성 및 DB화 | 고려대학교]기타 인터뷰 김영철 심방_영상001 종교‧철학 행사 현대 2017년 08월 26일 11분 47초 JJ_01_PI_김영철_170826_001.mp4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고려대학교 김기형지역기타 | 구분인터뷰 | 자료문의고려대학교팀(연구책임자:김기형 교수)
기초학문(2)
- 유가공부론과명상-퇴계〈활인심방〉을응용한수양치료모형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게재일 : 201066290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사연구회 2010 유가공부론과명상-퇴계〈활인심방〉을응용한수양치료모형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유형논문 | 게재일2010
- 퇴계의 국악치유 방법에 관한 모델 연구 : [활인심방]의 거병연수육자결과 장부운동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박정련, 게재일 : 201356850 박정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유학연구소 2013 퇴계의 국악치유 방법에 관한 모델 연구 : [활인심방]의 거병연수육자결과 장부운동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유형논문 | 게재일2013
신문·잡지(130)
- 법대 심방 [한말~식민지 시기 상공회의소 관련자료 조사 분석 및 DB화 | 서강대학교]경제·산업 기타 근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연속간행물 신문 대한매일신보 법대 심방 1907년 10월13일 서울 서울 법부대신 조중응이 상업회의소에 다녀 옴 http://gonews....대표표제어법대 심방 | 연월일1907년 10월13일 | 지역서울
- 公使訪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 오후이시에난 의공가 외부대신을 심방하고 삼시에난 영공가 외대 심방하엿다더라게재일1904년 12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訪問外大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작일오후이시에 외부 고문관이 쳐음으로 외부신을 심방하엿더라게재일1904년 12월 24일 | 기사분류잡보
- 德使歷訪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로나온 덕국공 이뎐씨가 작일에 각부부신을 심방엿다더라게재일1903년 5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 李訪兩使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경위원춍관 리근씨가 무삼건을 문의로 일젼에 일공와 아공를 심방얏다더라게재일1903년 5월 30일 | 기사분류잡보
기타자료(30)
- 심용만;沈龍萬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049351 남한 경남 부산제이상업학교 2-30 金蓮 19호 25주년특집호 1935―02―03 119면 심용만;沈龍萬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부산제이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용명;沈龍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심용명;沈龍明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朝鮮예수敎長老會神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용안;沈龍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252 일본 京都 第三高等學校 第三高等學校一覽 大正11年4月~大正12年3月 1922―09―01 167면 심용안;沈龍眼 조선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第三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용안;沈龍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260 일본 京都 第三高等學校 第三高等學校一覽 大正12年4月~大正13年3月 1923―09―01 131면 심용안;沈龍眼 조선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第三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심용안;沈龍眼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129273 일본 京都 第三高等學校 第三高等學校一覽 大正13年4月~大正14年3月 1924―09―01 122면 심용안;沈龍眼 조선학교소재지역京都 | 학교명第三高等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7)
-
심방 / 尋訪 [종교·철학/개신교]
하다. 보통 연중행사로 기획되는 '대심방'과 수시로 실시되는 '주중심방'으로 구분된다.
-
영등본풀이 / [문학/구비문학]
환영제를 하고 2월 13일에서 15일 사이의 한 날에 영등송별제 또는 영등손맞이라 하여 마을굿으로 벌인다. 제주도 무속신화는 해당신에 대한 굿을 할 때 심방(무당)이 노래를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영등본풀이」는 영등굿을 할 때 심방이 노래하는 것은 볼 수 없다. 다
-
양씨아미본풀이 / 梁氏─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서귀포시 남원읍 예촌(禮村: 지금의 신례리·하례리)의 양씨집안에 계승되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이들 집안에서 굿을 할 때 심방(무당)에 의하여 불려진다. 현재 1편이 채록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옛날 예촌 양좌수 집안에
-
고대정본풀이 / 高大靜本─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무속의 조상본풀이의 하나. 제주시 삼도동고만호(高萬戶) 자손 집안에 전해져 내려오는 수호신의 내력담이다. 집안 자손들의 집에서 굿을 할 때 집안의 수호를 빌기 위하여 심방[神房: 무당]에 의하여 불린다. 현재 고대장에 관한 본풀이는 세 편이 채록되고 있다. 이
-
지장본풀이 / 地藏─ [문학/구비문학]
제주도 시왕맞이굿에서 구연되는 서사무가. 질병과 재앙을 주는 요괴인 사(邪)의 발생 내력담이다. 시왕맞이굿을 할 때 ‘낙가도전침’ 제차에서 심방(무당)이 서서 노래하면 소무가 북과 장구를 치며 복창하는 형식으로 불린다. 심방은 이러한 내력을 노래한 뒤, 그 사를 쫓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