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심고” 에 대한 검색결과 1,4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10)

사전(28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전≫에는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기로 하면 자력(自力)과 타력(他力)이 필요하니 즐거운 일을 당할 때에는 감사를, 괴로운 일을 당할 때에는 사죄를, 결정하기 어려운 일을 당할 때에는 결정될 와 기도를 올리자.”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는 법회나 의식 등...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내 몸에 모셔져 있다고 믿는 한울님에게 일상적인 소원이나 하고자 하는 일에 감응이 있기를 아뢰는 동학(東學)의 종교행위 가운데 하나. [내용] 동학‧천도교의 종교행위 중에는 ()‧주문(呪文)‧청수(淸水) 등 세 가지가 반드시 수...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귀걸이에서 귀에 직접 거는 고리.
    정의귀걸이에서 귀에 직접 거는 고리.[문화원형용어사전] | 문광부표기jungsim gori | MR표기chungsim kor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등학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며, 초등교육을 담당해 온 순심여자학원은 1947년 8월 마지막 수료생을 냄으로써 11년간 500여 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고 발전적으로 폐지되었다. 1951년 8월에 순심중학교로 교명이 변경되었고, 1952년 3월에 순등학교가 설비되었다. 1955년 4월에는 학교의...
  • 신제서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국보 제43호. 고려 1216년에 진각국사 혜심(慧諶, 1178-1234)에게 대선사(大禪師)의 호를 하사한 제서.
    정의국보 제43호. 고려 1216년에 진각국사 혜심(慧諶, 1178-1234)에게 대선사(大禪師)의 호를 하사한 제서.[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 영문 용어‧용례 사전] | 문광부표기Hyesim Gosin Jeseo | MR표기Hyesim Kosin Chesŏ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고서·고문서(982)

  • 08356 창가 조선동요집 22161 1924 嚴弼鎭 彰文社 吉川文太郞 朴仁煥 四十錢 뎜리 〈ad〉陰城〈/ad〉 〈#36〉 忠淸道(충쳥도) 중복송아[僧桃] 주렁 주렁 달엿네 강 너머 강대초 앙긋방긋 열엿네  드러온다
    구분창가 | 편저자嚴弼鎭
  • 有僧(惟命)求詩,走書以贈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
    栗谷先生全書 卷之一 詩 上 120 有僧(惟命)求詩,走書以贈 01_090_078.jpg 有僧(惟命)求詩,走書以贈 禪形鶴共臞, 行脚雲無迹。 胡爲淡泊僧, 却有求詩癖? 有僧惟命求詩 走書以贈 ▶1569년(己巳, 선조 2, 34세) 4~5월, 오대산....
    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5690 중국 정서 고려도경 海道6 蛤窟 357 인종(仁宗) 1 1123 6 10 申後 抵蛤窟拋泊 其山 不大 民居亦衆 山之脊 有龍祠 舟人往還 必祀之 海水至此 比之急水門 變黃白色矣 5대ㆍ송, 교통ㆍ운수, 고려도경의...
    국가중국 | 서명고려도경 | 왕대인종(仁宗)  1
  • 雜稅雜物,下民之所也,輸其易獲,辭其難辦,斯可以无咎矣。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1230 牧民心書 卷三 ITKC_MP_0597A_1230_050_0050 雜稅雜物,下民之所也,輸其易獲,辭其難辦,斯可以无咎矣。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권차명牧民心書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冤詞 九【桓譚曰:“《古文尙書》,舊有四十六卷,爲十八篇。” 又去〈大禹謨〉ㆍ〈太誓〉二篇,爲十六篇。○《正義》謂‘張霸補二十四篇’,而張霸無此事。又馬融云‘十六篇絶無師說’,皆不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皆不】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與猶堂全書 2012 다산학술문화재단 http://db.itkc.or.kr/inLink?DCI=ITKC_MP_0597A_0570_030_0090_2014_013_XML 013 今考桓譚...
    권차명梅氏書平 卷一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구술자료(71)

  • 모심기 노래[이논에도 모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모심기 노래를 해달라고 요구하자 제보자가 이 노래를 불렀다.
    조사일시2010. 1. 20(수) | 조사장소부산시 기장군 기장읍 시랑리 동암마을 김성염 제보자댁 | 제보자김성염
  • 나올때: (돔소 소리)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 | 제보자이상휴
  • 나 칭칭 나 네 (창원 22) 쾌기나 칭칭.jpg (창원 22) 쾌기나 칭칭.mp3 * 모나서 15일후에 초벌을 대나무 고동끼고 맸다. 20~ 30일 뒤에 두불 논 맨다. 25일후에 마지막으로 망수논 맨다. * 논매는 소리
    녹음지역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천동 (옛 진해시 웅천면 북부리) | 녹음날짜2004.11.17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13) 빠른 방아.jpg (괴산 13) 빠른 방아.mp3 모나서 한달 뒤에 호미로 아이매기를 하였다. 방아소리 류는 괴산지방의 보편적인 아이매기소리이다. 메김선율이 2마디 씩임은 중방아 정도처럼 느릿하게 불릴 가능성을 나타낸다. 짧은 방아는 청원군에서는 보
    녹음지역충청북도 괴산군 장연면 방곡리 병방골 | 녹음날짜2004.1.29 | 가창방식멕받형(선후창)
  • 1.모심는 부여형 상사 류 1. 멕받형식(선후창) 1.에헤이,에에에,에에루,사아 디 - 여 1.아나 여봐라 농부야 말들어라 아나 농부야 말들어라 이논배미 얼른 서 장구배미로 넘어가자 1.도(레)미솔라 1.미(t3) 1.도미(v1,3) 1.(받): 내재4박
    녹음지역충청남도 계룡시 엄사면(2006년 이전엔 두마면) 향한리 | 녹음날짜1989.1.20 | 가창방식1. 멕받형식(선후창)

기초학문(1)

  • 미국과 중국에서의 유통업체 대상 핵객관리(KAM)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명숙, 게재일 : 2015
    54434 김명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경영관리학회 2015 미국과 중국에서의 유통업체 대상 핵객관리(KAM) 프로그램의 비교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
    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51)

  • 兄弟賛成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독립관부근에사 고원원익형뎨량씨가고아원으로 열심 찬성고 금오원식 합십원을 긔부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5월 29일 | 기사분류잡보
  • 천도교회월보_1926_18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6 성사의 유훈 일기자 9 김구현 12 지성이면 감천 정호 14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6
  • 本人의居生南署薰陶坊朴丼契五十三統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의居生南署薰陶坊朴丼契五十三統十戶瓦家五間草家二間을去癸已年漢城府에셔洋紙板刻文券印刷時에瓦家五間은誤以三間半고本人의姓名은誤以全善汝로登載되온바本人이無識所致로不爲고置之篋中이라가今始發覺이기玆以廣告 僉位照亮오 金善汝 告白
    게재일1903년 5월 26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의居生南署薰陶坊朴丼契五十三統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의居生南署薰陶坊朴丼契五十三統十戶瓦家五間草家二間을去癸巳年漢城府에셔洋紙板刻文券印刷時에瓦家五間은誤以三間半고本人의姓名은誤以全善汝로登載되온바本人이無識所致로不爲고置之篋中이라가今始發覺이기玆以廣告 僉位照亮오 金善汝 告白
    게재일1903년 5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 本人의居生南署薰陶坊朴丼契五十三統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本人의居生南署薰陶坊朴丼契五十三統十戶瓦家五間草家二間을去癸已年漢城府에셔洋紙板刻文券印刷時에瓦家五間은誤以三間半고本人의姓名은誤以全善汝로登載되온바本人이無識所致로不爲고置之篋中이라가今始發覺이기玆以廣告 僉位照亮오 金善汝 告白
    게재일1903년 5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23)

  • 분군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궁분군 북한 궁분군 고분유적 발해 함경북도 회령시 동북지구 산간지대(청초덕) 궁분군.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정석배
    대표표제어궁심고분군 | 유적소재국가북한 | 유적명궁심고분군
  • 노하분군(老河深墓葬)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노하분군(老河深墓葬) 중국 노하분군(老河深墓葬) 매장유적 부여 / 말갈 / 발해 길림성 유수시(楡樹市) 대파진(大坡鎭) 노하심촌(老河深村) 노하분군.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제) ...
    대표표제어노하심고분군(老河深墓葬)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노하심고분군(老河深墓葬)
  • (교단수기) 낙도에 뜻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교단수기) 낙도에 뜻을 (교단수기) 낙도에 뜻을 교육 문헌 중등교육 교사문화 중등교육 학생생활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현태 | 사료철명문교행정
  • 세계 속에 한국의 얼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세계 속에 한국의 얼을 세계 속에 한국의 얼을 교육 문헌 현대 중등교육 교사문화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노헌식 | 사료철명문교경북
  • 세계 속에 한국의 얼을 (완)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
    세계 속에 한국의 얼을 (완) 세계 속에 한국의 얼을 (완) 교육 문헌 현대 중등교육 교사문화
    범주1중등교육 | 형식잡지 | 한글저자노헌식 | 사료철명문교경북

연구과제(1)

  • 해외한국학 씨앗형 사업

    해외한국학 씨앗형사업 | TRAN THI LAN ANH | Dai Hoc Da Nang (The University of Danang) | 2014 | 국외 | 해외

주제어사전(14)

  • / [종교·철학/원불교]

    마음 속으로 진리 앞에 자기의 소회를 고백하여 뜻과 같이 이루어지기를 비는 원불교의 의식. 각종 법회나 의식행사, 조석으로 법신불사은 앞에 자기의 행위와 느낌을 고백하고 소원을 빌기도 한다. 의 목적은, 자력과 타력이 함께 하고 천력과 인력이 합하는 데 있으며,

  • 법 / [종교·철학/천도교]

    내 몸에 모셔져 있다고 믿는 한울님에게 일상적인 소원이나 하고자 하는 일에 감응이 있기를 아뢰는 동학의 종교행위 가운데 하나. 형식과 내용은 최시형이 수찬한 <내수도문>에 나온다. 이것은 마치 부모에게 고하라는 것이다. 법은 마치 한울님 앞에서 맹세하는 면이

  • 고추 / 苦草 [과학/식물]

    가지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식물. 고추는 고온성 채소로 싹을 틔우는 온도는 25℃ 내외가 적당하다. 토양은 보수력이 있는 양토가 가장 좋다. 채소용 고추는 1월 하순에 씨를 뿌려 2∼3회 옮겨, 4월 하순에 아주심기를 한다. 아주심기를 한 다음 30∼40일이 지나

  • 국촌유고 / 菊村遺稿 [종교·철학/유학]

    「기아서(寄兒書)」에서는 과거를 보러오는 지방 선비들의 고생과 과장 근처의 여관풍속을 알 수 있다. 잡저의 「유서방학자(諭西房學者)」는 수신방법을 적은 것이며, 「국와기(菊窩記)」는 집과 주위에 각종 나무를 , 연못을 파고, 밭을 만든 뒤 독서하면서 사는 생활의 감

  • 오수유 / 吳茱萸 [과학/식물]

    운향과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중국 원산으로 경주지방에서 있으며, 높이가 5m에 달하고 어린 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마주 나며 기수1회우상복엽(奇數一回羽狀複葉)이다. 소엽(小葉)은 7∼15개이며 난형·타원상 난형 또는 긴 타원형이다. 길이는 7∼8㎝로서 표면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