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실증사학” 에 대한 검색결과 1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

사전(1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역사 연구에 있어서 실증적인 방법을 중시하는 역사학. [연원] 은 19세기 말부터, 특히 일제시대부터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시라도리(白鳥庫吉)‧이케우치(池內宏)‧금서룡(今西龍) 등이 대표적인 학자들이다. 이들의 활동은...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제강점기 역사 연구의 한 흐름으로 사료비판‧해석을 강조하는 역사연구.
    정의일제강점기 역사 연구의 한 흐름으로 사료비판‧해석을 강조하는 역사연구.[한국근현대사사전] | 문광부표기siljeung sahak | MR표기silchŭng saha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한국고대사연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한국고대사에 관한 연구서. [개설] 이병도(李丙燾)가 지은 A5판. 총 804쪽. 1976년 박영사(博英社)에서 간행하였다. [저자 이병도] 저자는 한국근대사학을 일구는 장본인이었으며, 을 정립시키는데 평생을 바쳤다...
  • 이인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서 출발한 역사학자였으나, 광복 이후 손진태(孫晉泰)와 더불어 신민족주의사학(新民族主義史學)을 제창하였다. 1950년에 간행한 『국사요론(國史要論)』은 바로 신민족주의 사관의 입장에서 한국사의 체계화를 시도한 개설서였다. 주로 한국과 만주관...
    이칭별칭 학산(鶴山)
  • 이병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두계잡필≫(1956)을 비롯한 많은 저서가 있고, 평생 발표한 논문은 거의 100여 편에 이른다. 사학자로서 실증적‧객관적 방법을 중시하는 ()을 뿌리내리게 함으로써 한국근대사학의 성립에 선구적 구실을 하였다. 그는 한국 민족과 문화에 깊은 애정과...
    이칭별칭 두계(斗溪, 杜桂)

논문(1)

  • 서양 사학이론에 비추어 본 한국 [일제강점기 민족지도자들의 역사관과 국가건설론 | 사단법인 한가람역사문화연구소]
    저자 : 박양식(한신대학교) | 게재정보 : 숭실사학 31권, 게재일 : 2013.12
    한국 사학을 주도하는 실증사학자들의 실상을 살펴보고 그것이 식민주의적 기획 안에 안주하는 것이었음을 밝히는 것이 이글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서 일차적으로 한국 실증사학자들이 제기한 과학성과 객관성의 문제에 관련하여 그들이 주장한 주장과 서양의 사학이론을 비교하여 설...
    유형논문

기초학문(1)

  • 초기 한국사학의 오리엔탈리즘:초기 과 유물사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용희, 게재일 : 2004
    04923 박용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이화사학연구소 2004 초기 한국사학의 오리엔탈리즘:초기 과 유물사학의 경우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04

주제어사전(2)

  • / [역사/근대사]

    역사 연구에 있어서 실증적인 방법을 중시하는 역사학. 은 19세기 말부터, 특히 일제시대부터 일본인 학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1930년대부터는 한국인 학자들이 등장해 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가게 되었다. 이병도(李丙燾)·김상기(金庠基)·이상백(李相佰)

  • 단군 / 檀君 [종교·철학]

    고조선의 첫 임금, 또는 고조선의 역대 왕들을 총칭하는 일반 명사. 우리민족의 시조로 받들어진다. 단군 이해는 세 측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을 중시하는 역사학계에서는 단군을 고조선의 첫임금으로 이해, 민족사관의 입장에서는 단군을 고조선의 역대 왕들을 총칭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