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실사구시” 에 대한 검색결과 13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1)

사전(71)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를 확립시킨 성리학에 대한 반동이라고 볼 수 있다. 고증학자들은 송명이학(宋明理學)이 경전의 본뜻에 어긋난 주관적인 해석에 빠지는 경향이 있으며, 그것은 공담(空談)일 뿐이라고 주장하였다. 우리 나라에서는 조선 후기 김정희(金正喜)의 ‘론’이 유명하다....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사실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태도.
    정의사실에 입각하여 진리를 탐구하려는 태도.[두산백과] | 문광부표기silsa gusi | MR표기silsa kusi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고증학(考證學), 실학(實學), 황종희(黃宗羲), 고염무(顧炎武), 대진(戴震), 경세치용(經世致用) 문화인문학/유학|왕실/왕실문화 개념용어 김봉곤 [정의]
    관련어고증학(考證學), 실학(實學), 황종희(黃宗羲), 고염무(顧炎武), 대진(戴震), 경세치용(經世致用)
  • 김정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설(說)』은 경세치용(經世致用)을 주장한 완원의 학설과 방법론에서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밖에 다양한 분야의 수많은 청대 학자들의 학설을 박람하고 자기 나름대로 그것을 소화하였다. 음운학‧천산학‧지리학 등에도 상당한 식견을 가지고 있음이 그의 문집에 수록된...
    이칭별칭 원춘(元春)| 추사(秋史), 완당(阮堂), 예당(禮堂), 시암(詩庵), 노과(老果), 농장인(農丈人), 천축고선생(天竺古先生)
  • 이송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에 동조하는 논지를 전개하였다. 한편, 실학의 대가인 홍대용(洪大容)ㆍ박지원(朴趾源)ㆍ박제가(朴齊家)ㆍ이덕무(李德懋)ㆍ유득공(柳得恭) 등과 폭넓게 교유하면서 실학을 깊이 연구하여 ()의 현실적 측면에 관심을 쏟았다. 한때, 세마(洗馬)ㆍ참봉 등에...
    이칭별칭 무백(茂伯), 고청(孤靑)| 노초(老樵), 서림(西林)

단행본(1)

  • 저자 : 이난수 ... | 출판사 : 학고방 | 출판일 : 20201220
    본고는 조선의 예술이 한국의 미론으로 이행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19세기말 20세기 중반에 걸친 문명의 대전환 속에 예술은 어떻게 과거를 계승․변용하였으며, 전통과 근대 그리고 제국과 식민의 혼돈에서 예술의 대응과 실천의 역정歷程을 탐색하였다. 근대 한국미의 형성은 전...

고서·고문서(20)

  • 투책, 한자, 조선글, 무술책, 권투교본, 욕심, 적, 매일, 6월말전, 도착, 회신, 만수무강, 학생, 김씨, 련계, 주소, 봉투, 중국, 흑룡강성, 탕원현, 탕왕공사, 태양대대, 아버지
    대표표제어무술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친절한 함 남자 경상북도 성주군 길림성(吉林省) 용정현(龙井县) 조양천 과품도매부 4 1 친절한, 목소리, ...
    대표표제어친절한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빈곤 이 남자 길림성(吉林省) 영길현(永吉县) 조선족실험소학교 2 1 빈곤, , 토지매매, 금액, 토지, 수십년,...
    대표표제어빈곤 | 성씨
  • , 도리, 아버지, 자식들, 마지막, 실증, 흘러간, 옛노래, 민족얼, 한사람, 인류, 비석, 세상, 친척, 왕래, 명절, 행복, 삶, 중국, 부민정책
    대표표제어윤씨 | 성씨
  • , 81, 표식, 전투기, 한국, 간첩, 제2차, 문화, 혁명, 모두, 지금, 누가, 간첩, 자격, 사실, 정말, 중국, , 태도, 개명, 주소, 언제나, 남조선, 접수, 량해
    대표표제어화보 | 성씨

기초학문(4)

  • 추사의 설과 교육실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오, 게재일 : 2007
    30465 김태오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교육철학회 2007 추사의 설과 교육실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하버마스와 완당의 교육실천관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오, 게재일 : 2009
    ory=ResearchPaper&m201_id=10011822&local_id=10032211 하버마스와 추사 김정희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비교 연구 : 프락시스론과 說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하버마스의 프락시스론과 교육실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오, 게재일 : 2006
    gory=ResearchPaper&m201_id=10011822&local_id=10030054 하버마스와 추사 김정희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비교 연구 : 프락시스론과 說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이탁오의 동심설의 교육적 논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태오, 게재일 : 2007
    6dc2db6c100012ddaeeeba30fe2 하버마스와 추사 김정희의 교육적 실천에 대한 비교 연구 : 프락시스론과 說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35)

연구과제(1)

  • 공동체와 공유의 인류사 : 21세기의 비상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오항녕 | 전주대학교 | 2024 | 국내 | 전북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청대 고증학파가 내세운 학문 방법론. ‘실질적인 일에 나아가 옳음을 구한다.’, ‘사실을 얻는 것을 힘쓰고 항상 참 옳음을 구한다.’로 풀이되고 있다. 본래 이 말의 출전은 ≪한서≫ 하간헌왕전에 보이는데, "수학호고 "에서 비롯되었다. 이 학문 방법론으로 제

  • 고증학 / 考證學 [종교·철학/유학]

    송명이학의 형이상학적 지향성에 반대하여 생겨난 청나라 때의 대표적 학풍. 를 내용으로 하는 실학의 필요성을 강조, 한·당나라의 훈고학을 계승하여 실증적인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이처럼 경학과 사학에서의 실증적인 연구방법이 발전하여 청대의 고증학이 되었다.

  • 김정희 / 金正喜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실학자·서화가(1786∼1856). 1819년 문과에 급제하여 성균관대사성·이조참판 등을 역임하였다. 학문에서는 를 주장하였고, 서예에서는 독특한 추사체를 대성시켰으며, 특히, 예서·행서에 새 경지를 이룩하였다. 저서에는《완당집》·《금석과

  • 민노행 / 閔魯行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유학자(1777∼?). 생원시 합격 후, 음직으로 군수를 지냈다. 추사 김정희와 교유하였으며, 김정희의 《설》에 후서를 쓰기도 했다.《한성순보》를 창간했던 추금 강위를 제자로 맞이하여 가르쳤다. 저술로는《지문별집》12권이 있다.

  • 팔도가 / 八道歌 [문학/고전시가]

    ()를 중시한 실학파의 인물인듯하다.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