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흠” 에 대한 검색결과 42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2)

사전(22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망을 받음은 물론, 이정구(李廷龜)‧장유(張維)‧이식(李植)과 함께 조선 중기 한문학의 정종(正宗 : 바른 종통) 또는 월상계택(月象谿澤 : 月沙 이정구, 象村 , 谿谷 장유, 澤堂 이식을 일컬음)으로 칭송되었다. 묘는 경기도 광주군에 있다. 1651년(효종 2)...
    이칭별칭 경숙(敬叔)| 현헌(玄軒), 상촌(象村), 현옹(玄翁), 방옹(放翁)| 문정(文貞)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꿈에서 현석의 묘비에 실을 ‘사류중인 불희당론(士類中人不喜黨論)’여덟 자에 글자를 보태서 문장을 만든다. 그리고 동주선생의 명으로 현석의 병이 낫도록자신이 만든 약주를 준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 인물 한국 조선 선조~인조 이기순 이범직 2011 경숙(敬叔) 현헌(玄軒), 상촌(象村), 방옹(放翁), 현옹(玄翁) ...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972)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세년계회도 / 이 1570(선조 3)∼1631(인조 9...
    이칭별칭 경립(敬立)
  • 산중독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에 ()이 지은 잡록집. [개설] 1613년(광해군 5) 작자가 귀양 중의 4월 25일에 쓰기 시작하여 1616년에 “방옹(放翁 : 의 일호)은 쓰노라”라고 하여 일단 완결한 것이다. 그가 산 속에 기거할 때의 과정과...

고서·고문서(116)

  • 惟說命,總百官。乃進于王曰:“嗚呼!明王奉若天道,建邦設都,樹后王ㆍ君公,承以大夫ㆍ師長,不惟逸豫,惟以亂民。惟天聰明,惟聖時憲,惟若,惟民從乂。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590 梅氏書平 卷三 ITKC_MP_0597A_0590_030_0010 惟說命,總百官。乃進于王曰:“嗚呼!明王奉若天道,建邦設都,樹后王ㆍ君公,承以大夫ㆍ師長,不惟逸豫,惟以亂民。惟天聰明,惟聖時憲,惟若,惟民從乂。 정약용(丁若鏞) ...
    권차명梅氏書平 卷三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현헌선생화도시(玄軒先生和陶詩)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1단계) | 고려대학교]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아사미 문고)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미국 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도서관(리치몬드 문고)

기초학문(7)

  • 의 산문과 전후칠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우정, 게재일 : 2010
    39931 김우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대동문화연구원 2010 의 산문과 전후칠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
    유형논문 | 게재일2010
  • 의 학문형성과 古學의 영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조성산, 게재일 : 2014
    56843 조성산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4 의 학문형성과 古學의 영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의 시조 창작 배경과 작품 양상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해남, 게재일 : 2007
    25642 박해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반교어문학회 2007 의 시조 창작 배경과 작품 양상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
    유형논문 | 게재일2007
  • 과 명대 문학—명대 복고시학과 저술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부유섭, 게재일 : 2014
    56656 부유섭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4 과 명대 문학—명대 복고시학과 저술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
    유형논문 | 게재일2014
  • 의 상수역학과 역사철학- 邵易과 春秋를 중심으로 -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전성건, 게재일 : 2014
    56694 전성건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화연구원 2014 의 상수역학과 역사철학- 邵易과 春秋를 중심으로 -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
    유형논문 | 게재일2014

신문·잡지(5)

멀티미디어(54)

  •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_5주차_1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의 글쓰기 3주차. 유몽인 – 고독한 개인의 비애와 자유 4주차. 허균 – 불우한 천재가 꿈꾼 또 다른 세상 5주차.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 6주차. 김창협 – 정통 산문의 품격에 담긴 깊은 서정 7주차. 조귀명 – 나만의 깨달음을 나만의 언어로 8주차.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_5주차_2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의 글쓰기 3주차. 유몽인 – 고독한 개인의 비애와 자유 4주차. 허균 – 불우한 천재가 꿈꾼 또 다른 세상 5주차.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 6주차. 김창협 – 정통 산문의 품격에 담긴 깊은 서정 7주차. 조귀명 – 나만의 깨달음을 나만의 언어로 8주차.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_5주차_3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의 글쓰기 3주차. 유몽인 – 고독한 개인의 비애와 자유 4주차. 허균 – 불우한 천재가 꿈꾼 또 다른 세상 5주차.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 6주차. 김창협 – 정통 산문의 품격에 담긴 깊은 서정 7주차. 조귀명 – 나만의 깨달음을 나만의 언어로 8주차.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_5주차_4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의 글쓰기 3주차. 유몽인 – 고독한 개인의 비애와 자유 4주차. 허균 – 불우한 천재가 꿈꾼 또 다른 세상 5주차.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 6주차. 김창협 – 정통 산문의 품격에 담긴 깊은 서정 7주차. 조귀명 – 나만의 깨달음을 나만의 언어로 8주차.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_5주차_5차시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전지구적 한국어문학과 문화 교육 | 고려대학교]
    의 글쓰기 3주차. 유몽인 – 고독한 개인의 비애와 자유 4주차. 허균 – 불우한 천재가 꿈꾼 또 다른 세상 5주차. 과 장유 – 문장가가 필요한 시대 6주차. 김창협 – 정통 산문의 품격에 담긴 깊은 서정 7주차. 조귀명 – 나만의 깨달음을 나만의 언어로 8주차.
    강좌제목조선의 문장가 열전 | 강의자송혁기

주제어사전(19)

  • / [종교·철학/유학]

    1566(명종 21)∼1628(인조 6). 조선 중기의 문신. 세경 증손, 할아버지는 영, 아버지는 승서이다. 어머니는 송기수의 딸이다. 송인수와 이제민의 문하에서 수학, 1586년 승사랑으로서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병조좌랑, 홍문관교리, 병조참지, 예조참판

  • 방옹시여 / 放翁詩餘 [문학/고전시가]

    ()이 계축옥사(1613년)에 연루되어 김포로 쫓겨났던 시기에 지은 시조 작품 30수. 「방옹시여」의 시조 작품들은 (1566∼1628)의 문집에 수록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18세기 이후 가객들이 편찬한 『청구영언』, 『해동가요』, 『가곡원류』 등의 가집

  • 조천가 / 朝天歌 [문학/고전시가]

    조선 중기에 이수광(李睟光)이 지은 가사. 전후 2곡으로 되어 있다 하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이 『상촌집(象村集)』에서 평하기를 ‘고결하고도 유려한 가사’라고 극찬하였다. 작품의 제목으로 보아 중국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와서 그곳의 풍물과 감회를 보고형식

  • 도포서원 / 道浦書院 [교육]

    강원도 춘천시 서면 신매리에 있었던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숭겸(申崇謙)·()·김경직(金敬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 해아수 / 解我愁 [문학/고전시가]

    편찬된 시조집임을 알 수 있다. 수록된 시조는 모두 470수, 82인의 작품이 실려 있다. 그 중 5수가 중복되어 실제로는 465수이다. 그리고 22수는 이황(李滉)·()·정철(鄭澈) 등 13인의 작자명이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