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후재” 에 대한 검색결과 8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3)

사전(1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영정 조선 중기의 문신 를 그린 초상화. 비단에 채색.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
    이칭별칭 덕부(德夫)| 규정(葵亭), 서암(恕庵)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충주목사로, 허상공[허적]의 생질이다. 무사히 난을 피해 도망나온 염시탁에게 소백산에 숨으라고 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026 인물 () 1636 1699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덕부(德夫), 호는 규정(葵亭)‧서암(恕庵). 1660년 진사시와 문과 을과(乙科)에 급제하였다. 지평‧정...
    유형분류인물
  • 영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를 그린 초상화. [내용]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54호. 비단 바탕에 채색.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오궁리 규정영당(葵亭影堂)에 소장되어 있다. 이 초상화의 도상은 조선 중기의 일반적인 초상화와 크게 다른 특이한...
    연계항목신후재영정(申厚載影幀)
  • 정석(鄭晳)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왜관의 일본인이 어가미(漁價米)가 좋지 않다고 하며 칼을 뽑아서 창고지기의 머리를 때렸고, 10월에는 정석과 접위관(接慰官) ()가 역관(譯官)을 보내어 타일러 말렸는데도 쓰노에 효고가 수행원 50여 명을 데리고 동래 온천에 가서 목욕을 하는 등 횡포가 심하...
    유형분류인물

고서·고문서(66)

  • 74917 B07491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2年 11月 21日_006 ○弘文館啓曰, 新除授副校理李選, 時在京畿安山地, 副修撰, 時在慶尙道東萊府, 經筵入番事緊, 請竝斯速乘馹上來事, 下諭。 傳曰, 知道。 , 竣事後自當上來, 姑勿下諭。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552 B049552 덕진 德津 군사교통 京畿道邑誌 江華府志 江華府志卷上 內帑 ... 小東門內. 西倉 在官廳西 留守朴權直. 南倉 在府南城內 留守朴權直 今屬修城所.有備倉 在濟物鎭下 留守置 ○以上各倉 軍餉所儲春糶秋糴 舊有玉浦倉 甲串倉 德津倉 井浦倉 今廢撤.
    출처전거京畿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2561 B072561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4年 11月 19日_007 ○, 以禮曹言啓曰, 前因東萊府使李馥狀啓, 對馬島主, 求請馬二匹, 及豫差馬一匹, 理馬仇以傑, 養馬朴乭鶴處, 逢授下送矣。 卽接東萊 ...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4957 B074957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5年 7月 22日_021 ○有政。 以安後泰爲掌令, 南二星爲大司諫, 李藼爲應敎, 崔後尙爲弼善, 爲校理, 金始重爲黃海都事, 姜碩昌爲修撰, 李琨爲宜寧縣監, 曺憲卿爲忠淸都事, 李喜龍爲監察, 許壕爲禁府都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75085 B075085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顯宗 15年 7月 22日_021 ○有政。 以安後泰爲掌令, 南二星爲大司諫, 李藼爲應敎, 崔後尙爲弼善, 爲校理, 金始重爲黃海都事, 姜碩昌爲修撰, 李琨爲宜寧縣監, 曺憲卿爲忠淸都事, 李喜龍爲監察, 許壕爲禁府都事,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기타자료(2)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8794 남한 경기 인천상업학교 2-39 졸업대장(1936-1943) n.r. 96면 ; 경기 29회 1942년
    학교소재지역경기 | 학교명인천상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중부내륙고속도로건설예정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없다. 경녕군 묘의 봉분은 크고 화강암을 잘 다듬어 호석을 둘렀으며, 봉분 앞에 묘비가 있으나 마멸이 심하여 글자는 알 수 없다. 그밖에 묘, 유몽정 묘, 이상급 묘 등이 있다. 야철지에서 채집된 유물은 다양한 형질의 흙으로 빚어진 토기조각들과 다양한 자기...
    발행연도1992 | 발굴기관충북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충청북도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636(인조 14)∼1699(숙종 25). 조선 후기의 문신. 여길 증손, 할아버지는 상철, 아버지는 항구, 어머니는 허한의 딸이다. 1660년(현종 1) 사마시를 거쳐 같은 해 식년문과에 을과로 급제, 병조참의, 동부승지, 강원도관찰사, 한성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 규정집 / 葵亭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 의 시문집. 7권 3책. 활자본. 1778년(정조 2) 그의 외증손인 정범조의 산정을 거쳐 손자 사석이 간행하였다. 권두에 자서와 정범조의 서문이 있다. 권1∼6에 시 608수, 권7에 잡저 8편, 책제·발·문답·권연문·첩 각 1편,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