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후명”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
사전(3)
- 신후명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38(인조 16)∼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천휴(天休), 호는 임하당(林下堂). 여길(汝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호조정랑 상철(尙哲)이고, 아버지는 용양위부호군(龍?衛副護軍) 형...이칭별칭 천휴(天休)| 임하당(林下堂)
- 이만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708(숙종 34)∼?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자용(子容). 도(禂)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수징(壽徵)이고, 아버지는 찬(澯)이며, 어머니는 충청도관찰사 신후명(申厚命)의 딸이다. [내용]이칭별칭 자용(子容)
- 백리경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農家集成)』ㆍ『종수법(鍾樹法)』ㆍ『주례』ㆍ『경국대전』ㆍ『전록통고(典錄通考)』ㆍ『경민편(警民編)』ㆍ『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ㆍ『동현제론(東賢諸論)』ㆍ『의절가례(儀節家禮)』ㆍ『속통감해(續通鑑解)』ㆍ『의례경전통해(儀禮經傳通解)』 등이다. 책 말미에는 참판 신후명(申...
고서·고문서(11)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官, 金晳爲監察, 申厚命爲掌樂正, 鄭榏爲右參贊, 李萬慶爲掌苑別提, 韓器明爲健元陵參奉, 李華鎭爲執義, 李彦綱爲兵曹佐郞, 金繼興爲學正, 金灝爲學錄, 任道三爲中學敎授, 李禎來爲東學敎授。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령(南海縣令)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官, 金晳爲監察, 申厚命爲掌樂正, 鄭榏爲右參贊, 李萬慶爲掌苑別提, 韓器明爲健元陵參奉, 李華鎭爲執義, 李彦綱爲兵曹佐郞, 金繼興爲學正, 金灝爲學錄, 任道三爲中學敎授, 李禎來爲東學敎授。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남해현(南海縣)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35185 B035185 남해현 南海縣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6年 1月 9日_012 䎘·李翊·李選等放釋之命事。 上曰, 勿煩。 掌令申厚命所啓, 請還收遠竄罪人閔鼎重·閔維重·李䎘·李翊·李選等放釋之命事。 上曰, 毋煩。 又所啓, 西路守令, 不捧還上於限內, 猶不畏坐罷之語,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義, 申厚命茂長縣監, 金大有·李粹全監察, 李假引儀, 鄭華齊弼善, 李晩輝長淵府使, 申翰典籍, 柳發司藝, 邊四達學諭, 李璋校書著作, 李夏東萊府使。 以上燼餘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孟嘗君歌 十一句 [형성기 근대 대중가요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 고려대학교]리 그 우흐로 건니면셔 슬픈 노 곡됴를 브 듯 리 듯 雍門 一曲琴에 孟嘗君의 한숨이 오로 듯 나리난 듯 아야 거문고 쳥쳥터라 샤라실 졔 놀이리 〈e〉此則無名氏之所製傷其世間有似一塲春夢備說身後名不如眼前樂之意,若使薛君更廳則必檚於九原矣〈/e〉구분잡가
기타자료(1)
- 당 태종이 고구려 정벌에 실패한 후 회군하면서 내린 조서(班師詔)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서는 ‘恤’로 하였다. 諸渡遼海人應加賞命及優復者 所司宜明爲條例 具狀奏聞 朕將親覽詳 以申後命 (冊府元龜 117, 帝王部 117, 親征 2) 【해석】 짐이 듣건대, 聖人은 벌을 내리는 것을 삼가서 다시 兵車를 매는 데에서 군사를 사열하고, 明王은 거사함에 있어서 삼...대표표제어당 태종이 고구려 정벌에 실패한 후 회군하면서 내린 조서(班師詔) | 주제분류외교문서
주제어사전(1)
-
신후명 / 申厚命 [종교·철학/유학]
1638(인조 16)∼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문신. 여길 증손, 할아버지는 상철, 아버지는 형구, 어머니는 성시헌의 딸이다. 1666년(현종 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병조좌랑, 형조참판, 충청감사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