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화” 에 대한 검색결과 8,35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236)

사전(1,29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虛)-편양(鞭羊)-풍담(楓潭)-월저(月渚)-추붕-로 이어진다.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이능화, 신문관, 1918)
    이칭별칭 자응(慈應)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우주의 기원, 초자연의 존재의 계보, 민족의 시원 등과 관련된 신에 대한 서사적 이야기. [내용] 는 가장 엄밀한 의미에서 종교적 교리 및 의례의 언어적 진술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 정의가 대체로 적용될 수 있는 한국의 ...
  • TD_K3_D_0028 회화 壁, 老松, 根榦鱗皴, 枝葉蟠屈, 鳥雀, 飛入, 蹭蹬, 歲久色漫, 寺僧, 丹靑, 鳥雀不復至 黃龍寺 眞興王, 率居 麗史 D_14_04_09 대동운부군옥 14권 4장 9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4장 9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K3_D_0038 회화 鳥雀蹭蹬 D_17_03_34 대동운부군옥 17권 3장 34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7권 3장 34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단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우리 민족의 시조이고 고조선의 창업왕인 단군에 관한 . [내용] 내용은 7개의 이야기토막으로 엮어져 있다. ① 환인(桓因)과 그 아들 환웅(桓雄), 그리고 환웅의 아들인 단군에 이르기까지의 삼대에 걸친 가계. ② 환웅이 아버...

단행본(8)

  • 저자 : 문창로, 오흥식, 이청규, 김범철, 안신원, ... | 출판사 : 서울: 진인진 | 출판일 : 20180915
    이 연구서는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진흥사업단의 지원으로 3년 동안 연구를 진행한 과제 「한국 상고사 재정립을 위한 동북아와 유럽의 역사학 및 고고학의 학제적 연구」의 첫 번째 성과물을 엮은 책이다. 이 연구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한국과 동북아, 그리고 유럽의 고고학과...
  • 일본 신민족주의 전환기에 『국체의 본의』를 읽다 [역사적 화해 가능성 모색을 위한 한국학-체험⋅기억⋅상생의 스펙트럼 - | 一橋大學 (Hitotsubashi University)]
    저자 : 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연구센터 기획, 형진의ㆍ임... | 출판사 : 어문학사 | 출판일 : 20170831
    유형단행본
    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연구센터 번역총서 시리즈로 기획되었다. 센터는 설립과 동시에 히토츠바시대학 한국학 커뮤니티를 결성한다는 취지 아래 일본 국내외에 산재한 인력풀을 조직하고, 한국 거주 히토츠바시대학 출신 연구자에게 번역을 의뢰했다. 번역 대상은 운영위원회에서 조정하고...
  • 한국인의 문화유전자를 담은 옛날 이야기 [국립대만사범대학 한국학 전공 개편 신설 |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저자 : 이정민 외 ... | 출판사 : 凌宇出版 | 출판일 : 20210531
    第一, 本書所記載的傳說故事,是記載於韓國的小學課本,所以只要是韓國人,沒有人不知道這些故事。而透過這些故事,可以理解韓國的社會文化、風俗民情與韓國人的精神象徵。   第二, 本書以韓文故事與中文翻譯雙語方式刊行,對韓語學習者可學習到講故事的語體、詞彙與句型。   第三, 本書按故事...
  • 역사인식으로 읽는 고조선사-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고조선을 둘러싼 한국 상고사 체계에 대한 인식의 시대적 변천과 그 역사적 의미 | 한국교원대학교]
    저자 : 송호정 ... | 출판사 : 경인문화사 | 출판일 : 20240530
    고조선의 시조인 단군은 고조선의 등장 시기에 대한 관심과 연결되어 시대마다 다양한 모습으로 인식되었다. 단군은 우리 역사를 통해 각 시기마다 새롭게 재인식되면서 민족의 상징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되풀이해왔다. 고려조선 시대 이래 국조로서의 단군 인식이 정립된 후, 일제 ...
  • 제1권: 한국 고전 문학(고대 시, 및 설화) [카자흐스탄 한국문학(고려인문학 포함) 통합교재(교과서) 제작 및 문학 분야 전문인력 양성 | Al-Farabi Kazakh National University]
    저자 : 니 나탈리야 ... | 출판사 : 카자흐국립대 출판부 | 출판일 : 202303
    본 교재는 한국 문학을 공부하는 학생들을 위해 제작되었다. 이 교재에는 고조선 시대부터 고려 시대 말까지 한문으로 쓰여진 한국시 작품들이 포함되고 있다. 이 작품들은 작자미상 및 유명(알려진) 작가들의 작품이다. 한국 시인들은 시를 고전 중국 양식으로 썼다. 향가, 한...

논문(11)

고서·고문서(2,842)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한국 박 남자 장쑤성(江苏省) 남통시 알수없음 해방로신촌 104실 2 2 한국, 나의어머니, 옥편, 화보, 보...
    대표표제어한국신화 | 성씨
  • 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기타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鄕藥集成方 第七十三 小兒丹 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111 小兒丹 聖惠方論曰夫小兒丹發兩髈 浦朗切股也又音旁 不過一日便赤 黑謂之丹也〔聖惠方〕治小兒丹 鯽魚半斤擣如泥塗丹上唯數塗爲良〔又方〕梔子仁擣 末醋和塗之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목제소 최 여자 함경북도 길림성(吉林省) 훈춘시(珲春市) 경신향 사도구 6 2 목제소, 회계원질, 어머니, 계...
    대표표제어신화목제소 | 성씨
  • 부여의 건국 [『冊府元龜』 한국 관계 기사 집성 및 역주 | 고려대학교]
    14-2-6 『冊府元龜』 卷956 外臣部 種族 부여 부여의 건국 11242쪽 3817쪽 11067쪽 본 기사는 부여국의 건국에 대해서 전하고 있는데, 부여국이 본래 예의 땅이라는 점과 함께 색리국 출신 시조 동명이 부여의 왕이 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권차『冊府元龜』 卷956 外臣部 種族 | 기사해제본 기사는 부여국의 건국신화에 대해서 전하고 있는데, 부여국이 본래 예의 땅이라는 점과 함께 색리국 출신 시조 동명이 부여의 왕이 되는 과정을 서술하고 있다.

구술자료(198)

  • 몽골 20161103_002_004_몽골_01_툭스자르칼_M_메르겡 메르겡 2016. 11. 03(목) 밤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이문동 툭스자르칼 [몽골,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2년차] 조사자 2인 오정미, 이원영 제보자는 이 이야기를 어렸을
    국가몽골 | 제보자툭스자르칼 [몽골, 여, 1976년생, 결혼이주 1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몽골 20170313_041_019_몽골_02_노로브냠_M_메르겡 메르겡 2017. 03. 13(화) 오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단국대학교 노로브냠 [몽골, 여, 1970년생, 이주노동 4년차] 조사자 4인 신동흔, 오정미, 이원영, 이승민
    국가몽골 | 제보자노로브냠 [몽골, 여, 1970년생, 이주노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몽골 20170313_041_018_몽골_02_노로브냠_M_마모스 기원 마모스 기원 2017. 03. 13(화) 오후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단국대학교 노로브냠 [몽골, 여, 1970년생, 이주노동 4년차] 조사자 4인 신동흔, 오정미, 이원영
    국가몽골 | 제보자노로브냠 [몽골, 여, 1970년생, 이주노동 4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중국(한국계) 20171210_043_005_중국B_01_이화_M_만주족 기원 만주족 기원 2017. 12. 10(일) 오후 충청북도 청주시 가경동 이화 [중국(한국계),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9년차] 조사자 2인 오정미, 한상효 〈송화강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이화 [중국(한국계), 여, 1974년생, 결혼이주 19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허수아비를 두고 농담을 한 임금과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나도 짧은 거 하나 하지.”하면서 시작했다. *
    조사일시1981-09-17 | 조사장소충청북도 단양군 어상천면 | 제보자김영진

기초학문(478)

  • 헝가리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한경민, 게재일 : 2005
    10890 한경민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유럽발칸학회 2005 헝가리의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f51e1f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최남선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하정현
    01945 하정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문화연구소 최남선의 론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4b76f6dc1285c0
    유형논문
  • 나폴레옹: 와 반의 변주곡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4
    37576 한국연구재단 역사문제연구소 2004 나폴레옹: 와 반의 변주곡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
    유형논문 | 게재일2004
  • 광의론에서 광의학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윤희, 게재일 : 2011
    46956 홍윤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중국소설학회 2011 광의론에서 광의학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전체의 와 개인의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05
    21110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5 전체의 와 개인의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
    유형논문 | 게재일2005

신문·잡지(2,564)

  • 又渡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일본대판 죠폐국에 위탁야 이십젼리 은젼 만원과십젼리은젼오만일쳔팔이십팔원과 십젼리 동젼오쳔원이작일 즁앙금고에 도얏 도합 구만구쳔팔이십팔원이더라
    게재일1906년 11월 16일 | 기사분류잡보
  • 行用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판서 졔조한다던  동화가 탁지에 도착되야 작일부터용한다더라
    게재일1905년 6월 2일 | 기사분류잡보
  • 申飭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황태뎐하셔 쳐분을나리샤 풍셰대작날에 각방곡 슌검에게 신칙야 화를 방비라 신고로 경위원에셔 각셔로 뎐칙엿다더라
    게재일1903년 4월 20일 | 기사분류잡보
  • 척등 [대한제국기 국한문체 잡지메타정보 DB | 부산대학교]
    척등 언론 출판 문헌 근대 조양보(朝陽報) 조양보(朝陽報)_1호 剔燈 1906. 06. 25. 3~5 4~7 미상(未詳) 대한제국     시세의 흐름에 맞서 적극적인 개혁과 교육운동에 나설 것을 나라에 촉구...
    잡지명조양보(朝陽報) | 호수조양보(朝陽報)_1호 | 자료문의부산대학교팀(연구책임자:강명관 교수)
  • 發行額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부에셔 발 춍이 십팔만 이쳔삼팔십팔원이십오젼인데 그즁에 반원리은젼이 십구만칠쳔칠오십젼이오 이십젼리은젼이 십삼만 일쳔팔원이오 오젼리동젼이 십만팔쳔구팔십원 칠십오젼이오 일젼리 동젼이 삼쳔구원이라더라
    게재일1906년 3월 23일 | 기사분류잡보

멀티미디어(707)

  • 시조와 한국의 건국_5주차_1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전반적인면모를개괄하고대표적인작품을중심으로분석하여한국의보편성과특수성을밝히는것,한국가과거의텍스트안에박제되어있는가아니라오늘날한국인의삶속에살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시조와 한국의 건국_5주차_2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전반적인면모를개괄하고대표적인작품을중심으로분석하여한국의보편성과특수성을밝히는것,한국가과거의텍스트안에박제되어있는가아니라오늘날한국인의삶속에살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시조와 한국의 건국_5주차_3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전반적인면모를개괄하고대표적인작품을중심으로분석하여한국의보편성과특수성을밝히는것,한국가과거의텍스트안에박제되어있는가아니라오늘날한국인의삶속에살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시조와 한국의 건국_5주차_4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전반적인면모를개괄하고대표적인작품을중심으로분석하여한국의보편성과특수성을밝히는것,한국가과거의텍스트안에박제되어있는가아니라오늘날한국인의삶속에살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 시조와 한국의 건국_5주차_5차시
    [발신자로서 한국어문학의 심화와 확산 |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한국어문학연구소https://ih.snu.ac.kr/) 한국의 한국의 한국의전반적인면모를개괄하고대표적인작품을중심으로분석하여한국의보편성과특수성을밝히는것,한국가과거의텍스트안에박제되어있는가아니라오늘날한국인의삶속에살
    강좌제목한국의 신화 | 강의자조현설 교수

연구결과보고서(1)

기타자료(137)

  • ;金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9820 남한 경성 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1-38 梨高 창간호 1934 87면 ㅁ1. 졸업생 주소록;ㅁ1) 제1회 졸업생(1919년) 김;金 황해도 은율군 二道面 別岐洞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李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2451 남한 경성 이화여자전문학교 1-39 이화여자전문이화보육학교일람 1937 109면 1. 제7. 생도;1) 생도 성명, 원적 및 출신학교명;(13) 梨保 제1학년 이;李 (원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이화여자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5510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협성신학록 1922 0 Alumni, Class of 1912 강;康 (현주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5165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감리교협성신학교일람 1925 25면 졸업생명부;제1회(1912) 강;康 (현주소)龍岡郡 三和面 옥정리 24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康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5405 남한 경성 감리교협성신학교 1-01 감리교협성신학교일람 1924 23면 1923년 강습회 회원명부일람 제1부 강;康 (현주소)龍岡郡 三和面 옥정리 241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감리교협성신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6)

주제어사전(107)

  • / [문학/구비문학]

    우주의 기원, 초자연의 존재의 계보, 민족의 시원 등과 관련된 신에 대한 서사적 이야기. 는 가장 엄밀한 의미에서 종교적 교리 및 의례의 언어적 진술이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 정의가 대체로 적용될 수 있는 한국의 로는 흔히 고조선·신라·고구려·백제 및 가락의

  • 건국 / 建國 [문학/구비문학]

    나라의 창업 기원을 다룬 . 건국는 나라를 처음 세운 왕에 관한 와 서로 뗄 수 없는 관계가 있으므로 건국시조 또는 왕조시조라고도 할 수 있다. 고조선의 건국를 비롯하여 북부여와 신라·고구려 및 가락의 건국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 밖에 고려

  • 금오 / 金鰲 [문학/한문학]

    조선 초기에 김시습(金時習)이 지은 한문 단편소설집. 일반적으로 우리 나라 최초의 소설로 인정되고 있다. 완본은 전하지 않으며, 현재 전하는 것으로는 <만복사저포기 萬福寺樗蒲記>·<이생규장전 李生窺牆傳>·<취유부벽정기 醉遊浮碧亭記>·<남염부주지 南炎浮洲志>·<용궁부연록

  • 무속 / 巫俗 [문학/구비문학]

    무속신에 관련된 구전. 무속는 무속의례인 굿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다. 독자적으로 만 존재하는 경우도 있지만, 대체로 신을 위하는 구체적인 굿거리의 절차에서 이러한 신들의 내력이 구송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본풀이가 불려지는 굿거리의 절차를 보게 되면

  • 전등 / 剪燈 [언론·출판]

    저자 구우(1347-1433). 목판본. 2권 2책. <전등>는 명 이후 여러 차례 간행되었는데 건륭 신해년(1791)에 '전등총화' 시리즈로 간행된 본 가운데 <전등> 부분이다. <전등>는 저자 구우의 <자서> 및 계형의 <전등시병서>에 근거해 인화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