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헌구” 에 대한 검색결과 5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

사전(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23(순조 23)∼?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계문(季文). 응모(應模)의 아들이다.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합격, 출사(出仕)한 뒤 1864년(고종 원년) 사헌부 지평(持平)을 거쳐 186...
    이칭별칭 계문(季文)
  • 철선소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 승려 혜즙(惠楫)이 지은 시집. [내용] 1책. 간본은 없으며, 필사본이 부산 금정산(金井山) 미륵사(彌勒寺)에 있으며 『한국불교전서(韓國佛敎典書)』 제10책에 수록되어 있다. 1875년(고종 12) ()가 쓴 서문...
  • 초의시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윤치영(尹致英)의 발문과 1875년(고종 12) ()가 쓴 발문, 신관호(申觀浩)의 발문 등이 있다. 본문에는 저자의 차(茶)에 대한 사상 및 선관(禪觀)을 나타낸 시와 함께 홍석주ㆍ정약용(丁若鏞)ㆍ김정희(金正喜) 등 당대의 유명인사들과 주고받은 시문이 많이...
    이칭별칭일지암시고(一枝庵詩藁)|초의음고(草衣吟藁)
  • 예곡문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구문유(具文游)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판본. 1901년 6대손 근조(瑾祖)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 권말에 근조의 발문이 있다. 성균관대학교 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 도촌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김인항(金仁恒)의 시문집. [내용] 2권 1책. 목활자본. 1883년(고종 20) 그의 증손(曾孫)인 명효(命孝)에 의해 편집, 간행되었다. 권두에 김재현(金在顯)ㆍ()ㆍ서신보(徐臣輔)ㆍ유남규(柳南珪) 등의

고서·고문서(38)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皮封 漁洞 靜座下 歲前圅復仰荷 更祝 新元 靜體茂膺鴻休 諸胤 安侍供歡 鄙外孫女 亦得 無恙否 族從病隨齒添 近又冒感不健 可悶 長兒以 乃父之今年回巹 獲蒙 恩除 爲原州郡守 私分感惶 而邑殘弊痼 舍姪自淸州 爲猾吏謀逐 前月遞歸 可 謂得不補替 奈何 譜事 今過半役 而貴派姑俟 座下戾洛後 ...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拜審夜間 客體萬晏 慰荷 敎意謹悉 而所當赴闕 另誦于三所上致 爲計耳 姑 不備 卽 族從 獻 拜拜審夜間 客體萬晏 慰荷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拜審夜來 旅體萬晏 仰(缺落) 須安心做好夢 如何 閔 台答札仰呈 而他處不必 更疑末望 卽首望也 其餘 諸試 無可托處耳 姑 不備式 卽 族從 獻求 頓拜審夜來 旅體萬晏 仰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涓吉單子, 不可轉便付送, 亦難專人, 故留滯未付, 今得林川人便, 付送于宋喜鼎家, 使自那中專 人卽納, 而婚擇雖如此, 以今所見, 京鄕無安靖之望、 似不得如期 行禮, 且所謂婚具, 手無一分可辦、 曾所留念, 皆歸虛地, 百口生計、 朝不慮夕, 雖勺水成禮、 無措手, 只極心苦而已, 外孫女...
    분야문학 | 유형문헌
  • 가 신관휴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沮仰殊深 卽拜 耑翰 謹審比熱 體宇萬晏 慰喜愜 祝 而湖山幽寂 幽寂以理 亂 不知健羨無已 族從 近從稍閒 冗憂備得 悶憐奈何 時事漸益淺棼 有難以穎泓詳 道也 舍姪移除臨彼 積弊之局 將不知何 以堪勝 而赴任告在旬 望間矣 與貴居相近 可以濩之耶 敎事 另有別錄耳 餘暫草 姑不備 謝上 甲申六月...
    분야문학 | 유형문헌

신문·잡지(2)

  • 耆宰别世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기로소에 유당상 엿든 대신 씨가 작일에 영결엿다더라
    게재일1902년 5월 21일 | 기사분류잡보
  • 죵일품 엄셰영嚴世永 죠동면趙東冕 셔상...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죵일품 엄셰영嚴世永 죠동면趙東冕 셔상우徐相雨 뎡이품최익현崔益鉉 죵일품 졍윤鄭海崙 리용구李容九 뎡이품김셕근金晳根 쟝셕룡張錫龍 로 궁부 특진관를 명고 경상북도 관찰부 쥬 김진슈 갈닌에 김상현金尙鉉으로 임고 츙쳡남도 관찰부쥬 김죵익 안원 갈닌에
    게재일1902년 4월 29일 | 기사분류관보

주제어사전(4)

  • / [종교·철학/유학]

    1823년(순조 23)∼미상. 조선 말기 문신. 부친은 신응모이다.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합격하였다. 사헌부지평, 집의, 이조참의, 이조참판, 예조판서,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을 역임하였다.

  • 신병휴 / 申炳休 [종교·철학/유학]

    1854년(철종 5)~미상. 조선 말기 문신. 증조는 신현록, 조부는 신응모, 부친은 신만구이다. 생부는 이다. 1887년(고종 24) 정시에 병과 2위로 급제하였고, 사헌부정언, 홍문관부응교, 승정원동부승지, 내무아문참의 등을 역임하였다.

  • 대계유고 / 大溪遺槁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학자 황재영의 시·서(書)·제문·발 등을 수록한 시문집. 7권 4책. 목판본. 저자의 조카 병흠(炳欽)이 흩어진 유고를 수집하여 간행하였다. 권두에 ()의 서문이 있고 발문은 없다. 규장각 도서·국립중앙도서관·고려대학교 도서관·충남대학교 도서관

  • 대계집 / 大溪集 [종교·철학/유학]

    대계 황재영의 문집. 목판본. 7권 4책. 조카 병흠이 유고를 모아 에게 서문을 부탁하여 짓게 했다. 발문은 없다. 권1은 사 1편, 시 157제 198수, 소 1편이 있다. 권2~4까지는 서 147편, 권5에는 서 9편, 기 9편, 발 14편, 잡저 6편이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