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헌” 에 대한 검색결과 총 66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 연관검색어
- 박제근
- 조미조약
- 신낙희
- 미국 전권대신 薛裴爾 조회문
- 이상수
연구성과물(647)
사전(226)
- 신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헌(申櫶)의 국방론(國防論)」(박찬식, 『역사학보(歷史學報)』 117, 1988) 「19세기 중엽 조선정부의 개항인식과 강화도조약체결」(강미영,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이칭별칭 국빈(國賓)| 위당(威堂), 금당(琴堂), 동양(東陽), 우석(于石)| 장숙(壯肅)
- 신헌(申櫶)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5024 인물 신헌(申櫶) 신헌 申櫶 1810 1884 조선 후기 무신 겸 외교가. 본관은 평산(平山). 초명은 관호(觀浩), 자는 국빈(國賓), 호는 위당(威堂) ‧ 금당(琴堂) ‧ 우석(于石), 정약용(丁若鏞)...유형분류인물
- 신헌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23(순조 23)∼? 조선 말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계문(季文). 응모(應模)의 아들이다.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합격, 출사(出仕)한 뒤 1864년(고종 원년) 사헌부 지평(持平)을 거쳐 186...이칭별칭 계문(季文)
- 유신헌법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1972년 10월 17일에 선포된 유신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동년 12월 17일 국민투표로 확정된 헌법.정의1972년 10월 17일에 선포된 유신체제를 강화하기 위해 동년 12월 17일 국민투표로 확정된 헌법.[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Yusin Heonbeop | MR표기Yusin Hŏnpŏp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심행일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 신헌(申櫶)이 강화도조약체결의 전말을 기록한 일기. [내용] 1책. 필사본. 그 기간은 일본측이 협상을 요구해온 1875년(고종 12) 12월 25일부터 조약체결 뒤 귀경(歸京)하여 고종에게 복명하는 1876년 2월 5일까지이...
고서·고문서(285)
- 신헌(申櫶) 서간(書簡) [호남권 한국학자료센터 구축(1단계) | 전북대학교]신헌(申櫶)이 이봉덕(李鳳德)에게 보낸 서간으로, 발신연월일은 알 수 없다. 5번이나 과거에 낙방한 늙은 선비 장유상(張有相)이 이번 과거에 급제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부탁하는 내용이다.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전주 교동 남안재
- 을사년 신헌(信軒) 수표(手標)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경제-회계/금융-수표 | 형식분류고문서-증빙류-수표
- 신헌구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皮封 漁洞 靜座下 歲前圅復仰荷 更祝 新元 靜體茂膺鴻休 諸胤 安侍供歡 鄙外孫女 亦得 無恙否 族從病隨齒添 近又冒感不健 可悶 長兒以 乃父之今年回巹 獲蒙 恩除 爲原州郡守 私分感惶 而邑殘弊痼 舍姪自淸州 爲猾吏謀逐 前月遞歸 可 謂得不補替 奈何 譜事 今過半役 而貴派姑俟 座下戾洛後 ...분야문학 | 유형문헌
- 신헌구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拜審夜間 客體萬晏 慰荷 敎意謹悉 而所當赴闕 另誦于三所上致 爲計耳 姑 不備 卽 族從 獻 拜拜審夜間 客體萬晏 慰荷분야문학 | 유형문헌
- 신헌구가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拜審夜來 旅體萬晏 仰(缺落) 須安心做好夢 如何 閔 台答札仰呈 而他處不必 更疑末望 卽首望也 其餘 諸試 無可托處耳 姑 不備式 卽 族從 獻求 頓拜審夜來 旅體萬晏 仰분야문학 | 유형문헌
구술자료(7)
- 나석호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최근 근황 및 선거 입문기 판사를 하게 된 이유 및 부정선거, 유권자들 반응 김대중과의 관계 사법부 파동 및 대정부 폭로 계파 갈등 및 본받을 정치인 성남 폭동 사건 및 내무장관 해임결의 정치 자금 관련사항 유신 전후 사정 및 유신헌법, 야당 계파 갈등유무 중앙당과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이문영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해방 전후 학창시절 한국 전쟁 당시의 경험 4.19와 교수데모 유신체제성립과 한일협정 김대중에게 주목하게 된 계기 전태일의 죽음 노동문제연구소 활동과 노동현실 유신헌법 공포 후 대학가 분위기와 기독자교수협의회 노동문제연구소소장과 두 번의 해직 기독자 교수협의회의 자세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최종성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원회,상공부차관,상공부장관 취임 정치인 지역구 건설사업 지원과 법안 통과 로비 주택자금회전법 DJ의 관심 포항제철, 경인운하, 광양만, 소양강댐 공화당 정책발전부장 취임 유신헌법 대비 공약 작업 새마을 운동 진행 및 영향 일본과의 의원외교 10월유신에 대한 평가 한국종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박형규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 정치에 관여하게 되기까지/ 2. 유신헌법 이후/ 3. 목사가 된 이후/ 4. 민주화 운동 및 도시 산업 선교/ 5. 재판과 수감 생활/ 6. 도시 빈민 선교금 <3-2차> 1. 학생 2000명 검거/ 2. 서대문 형무소에서/ 3. 신군부 등장/ 4. 노태우분야종교‧철학 | 유형인물 | 지역경기도 | 시대현대 | 테마민주화와 종교
- 함성국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유신헌법, 연합신학대학원, 한강멘션, 렉싱턴교회, 실리콘 벨리, 호모 섹슈얼라티(homosecuality), 재미동포 전국연합회, 북한기독교도연맹, 남북교류, 이산가족, 반공주의, 해외동포원호위원회, 미국교회협의회, 모스크바, 3대세습, 수령상, 주체사상, 봉수교회,구술자함성국 | 직업재미동포전국연합회 초대 회장 | 지역평양
기초학문(2)
- 남북한 적대적 의존관계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1972년 남한 유신헌법과 북한 사회주의헌법 제정을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손호철, 게재일 : 201264893 손호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극동문제연구소 2012 남북한 적대적 의존관계론에 관한 비판적 연구: 1972년 남한 유신헌법과 북한 사회주의헌법 제정을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유형논문 | 게재일2012
- 2014년 이집트 헌법의 이슬람관련 주요 내용 분석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황병하, 게재일 : 2015=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10041287&local_id=10063837 Arab Spring 이후 이집트의 정치권력구조 변화와 신헌법 제정 그리고 이슬람의 역할 https://www.krm.or.kr/krmts/se유형논문 | 게재일2015
신문·잡지(120)
- 유신헌법과 국회의 권능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3) 10월유신, 유신헌법 유신헌법과 국회의 권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3년 3월 문홍주 국회보 제127호(pp.13-16) 평론 4 이 글은 유신헌법 하에서 국회의 기능에 대해 설명함. 제4공화국에서는 자주독립 견지와 평...대표표제어유신헌법과 국회의 권능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문홍주 | 출처국회보 제127호(pp.13-16) | 키워드유신헌법, 국회의 기능, 국회 합리화, 국회해산권, 국민대표기관성, 제4공화국
- 유신헌법과 정치현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3) 10월유신, 유신헌법 유신헌법과 정치현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5년 7월 한태연 정경연구 제126호(pp.72-93) 평론 22 이 글은 한국의 해방 이후부터 헌법 제정, 그리고 개정의 역사를 훑으며 유신헌법에 대해대표표제어유신헌법과 정치현실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한태연 | 출처정경연구 제126호(pp.72-93) | 키워드유신헌법, 명목적 헌법, 국민총화, 정당국가, 민주주의 한국화, 과도적 헌법, 권력의 인격화
- 유신헌법안 그 특징과 내용: 10.27 유신헌법안해설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3) 10월유신, 유신헌법 유신헌법안 그 특징과 내용: 10.27 유신헌법안해설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2년 11월 한국헌법연구회 편 정경연구 제94호(pp.122-133) 평론 12 이 글은 유신헌법안에서 특징적인 내용들에...대표표제어유신헌법안 그 특징과 내용: 10.27 유신헌법안해설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한국헌법연구회 편 | 출처정경연구 제94호(pp.122-133) | 키워드유신헌법안, 토착적 민주주의, 평화적 통일, 통일주체국민회의, 국민총화주의, 국가기능의 효율화
- 내실의 기틀 유신헌법안(4)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3) 10월유신, 유신헌법 내실의 기틀 유신헌법안(4)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2년 11월 9일 경향신문사 경향신문 기사/사설 4 이 글은 유신헌법안에 대해 설명하고 있음. 이 글은 유신헌법안의 근본의도에 대해 첫째, 분단된...대표표제어내실의 기틀 유신헌법안(4)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경향신문사 | 출처경향신문 | 키워드유신헌법안, 통일주체국민회의, 대통령간선제, 한국적민주주의, 국력조직화, 능률극대화
- 한국적 민주주의와 유신헌법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3) 10월유신, 유신헌법 한국적 민주주의와 유신헌법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3년 7월 갈봉근 국민회의보 제2호(pp.211-222) 평론 12 필자는 “효율적 체제 정비와 국민총화 결집”을 위해 “우리 사회의 모든 여건을대표표제어한국적 민주주의와 유신헌법 | 자료유형평론 | 집필자갈봉근 | 출처국민회의보 제2호(pp.211-222) | 키워드국민총화, 유신헌법, 국가적 권력, 토착적 민주주의, 효율적 체제
멀티미디어(1)
- 한 가족이 유신헌법 공포 이후 허례허식을 벗기 위해 신년 연휴를 가나안농군학교에 입교해 과학적 영농방법과 새마을운동을 체험하고 온다는 이야기이다.자료구분KTV소장문화영화 | 제작년도1973년 | 제작국립영화제작소
기타자료(6)
- (교양강좌) 유신헌법의 특징과 유신교육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교양강좌) 유신헌법의 특징과 유신교육 (교양강좌) 유신헌법의 특징과 유신교육 교육 문헌 교육행정 교육이념 교육총류 교육론범주1교육행정 | 형식잡지 | 한글저자김은성 | 사료철명강원교육
- (이런 선생님을 찾습니다) 꿈을 키워주는 교사 [한국 현대교육사 사료 집성 | 서울교육대학교]잡지 송신헌 1990 3 충북교육 96호 충청북도교육연구원 138-142...범주1교육총류 | 형식잡지 | 한글저자송신헌 | 사료철명충북교육
- 백제의 복신이 왜에 사신을 보내어 표를 올리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천황이 아사쿠라노미야(朝倉宮)로 옮겼다.”고 하였다]. (『日本書紀』 26 齊明紀) 【원문】 夏四月 百濟福信遣上表 乞迎其王子糺解[釋道顯日本世記曰 百濟福信獻書 祈其君糺解於東朝 或本云 四月 天皇遷居于朝倉宮] (日本書紀 26 齊明紀)대표표제어백제의 복신이 왜에 사신을 보내어 표를 올리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661년(辛酉/신라 태종무열왕 8, 문무왕 1/고구려 보장왕 20/唐 顯慶 6, 龍朔 1/倭 齊明 7)
- 백제의 복신이 왜에 사신을 보내어 표를 전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4월에 천황이 아사쿠라노미야(朝倉宮)로 옮겼다.”고 하였다]. (『日本書紀』 26 齊明紀) 【원문】 夏四月 百濟福信遣上表 乞迎其王子糺解[釋道顯日本世記曰 百濟福信獻書 祈其君糺解於東朝 或本云 四月 天皇遷居于朝倉宮] (『日本書紀』 26 齊明紀)대표표제어백제의 복신이 왜에 사신을 보내어 표를 전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661년(辛酉/신라 태종무열왕 8, 문무왕 1/고구려 보장왕 20/唐 高宗 顯慶 6, 龍朔 1/倭 齊明天皇 7)
- 12. Telegram from CINCAFPAC to Washington:전문, 12.28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C War Department 숙명여자대학교 맥아더 장군이 일본 국민에게 보내는 신년 메시지. 기회 평등, 개인의 자유 신장 등 일본 사회체계 발전 노력에 대한 공과를 설명하고 향후 전제주의 잔재 청산 및 신헌법 제정, 새로운...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CINCAFPAC | 수신자War Department
연구과제(1)
-
1960~1970년대 권위주의 국가폭력과 한국사회: 구술사 접근
한국학 기초자료사업 | 오제연 | 성균관대학교 | 2019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16)
-
신헌 / 申櫶 [역사/근대사]
1810∼1884. 조선 후기의 무신·외교가. 정약용의 민간자위전법인 민보방위론을 계승, 발전시켜 《민보집설》·《융서촬요》등과 같은 병서를 저술, 자신의 국방론을 집대성시켰다. 현재 전하지는 않지만 《금석원류휘집》이라는 금석학관계의 저술, 김정호의 《대동여지도》 제작
-
신헌구 / 申獻求 [종교·철학/유학]
1823년(순조 23)∼미상. 조선 말기 문신. 부친은 신응모이다. 1862년(철종 13)에 정시 병과에 합격하였다. 사헌부지평, 집의, 이조참의, 이조참판, 예조판서, 중추원의관, 궁내부특진관을 역임하였다.
-
유신헌법 / 維新憲法 [정치·법제/법제·행정]
1972년 12월 17일 국민투표로 확정된 <조국의 평화통일을 지향하는 헌법개정안>의 세칭. 우리나라 헌정사상 7차로 개정된 제4공화국의 헌법이다. 10월 27일 평화적 통일지향, 한국적 민주주의의 토착화를 표방한 개헌안이 비상국무회의에서 의결, 공고되어 개헌반대 발언
-
정희왕후 / 貞熹王后 [종교·철학/유학]
1418(태종 18)∼1483(성종 14). 조선 제7대 왕 세조의 비. 윤번의 딸이다. 1428년(세종 10)에 가례를 행하였다. 처음에는 낙랑부대부인에 수봉되었다. 1455년(세조 1) 왕비에 책봉되었다. 성종이 즉위할 때의 나이가 13세였으므로 정희왕후가 7년 동
-
미국 전권대신 薛裴爾 조회문 / [정치·법제]
미국에서 흠명 총통수사 전권대신(해군 제독)을 조선에 파견하기에 앞서 조선국 집정대신에게 조회를 의뢰하며 보낸 조회문의 한역본. 보낸 날짜는 1882년 4월 4일이며 조회문 중 미국의 전권공사로 표기된 '薛00'는 동년 5월 22일 조선의 전권대신 신헌(申櫶)과 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