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해박해” 에 대한 검색결과 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37)

사전(3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91년(정조 15)에 일어난 천주교도 박해사건. [내용] 신해진산사건(辛亥珍山事件)이라고도 함. 1784년 한국천주교회가 창설된 이후 천주교는 경기와 내포(內浦)지방, 그리고 전주를 중심으로 유포되었다. 1791년 전라도 진산의...
    이칭별칭신해사옥|진산사건|신해진산사건
  • 권상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일 윤지충과 함께 참수되었다. 그 때 정조는 사형집행을 유예시키려 하였으나 이미 집행이 끝난 뒤였다. 이로써 그는 제사문제로 최초의 천주교 순교자가 되었다. 이 사건을 또는 진산사건이라 한다. 『정조실록(正祖實錄)』
    이칭별칭야고보
  • 김진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리는 이존창(李存昌)에게 감화를 받고 50세 때 입교하였다. 그 뒤 벼슬을 버리고 신앙생활에 전념하다가, 1791년 때부터 시련을 받기 시작하여 4∼5차례 붙잡혀 전주ㆍ홍주ㆍ공주 등의 감옥에서 고문을 받고 배교를 강요당했으나 신앙을 지켰다. 그러나 1...
  • 최필공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66(영조 42)∼1801(순조 1). 천주교인. [내용] 세례명 토머스. 서울 출생. 의관(醫官) 집안에서 자라나 김범우(金範禹)에게서 교리를 배워 1790년(정조 14) 천주교에 입교하였다. 이듬해 때 체포되어 형조에서
    이칭별칭토머스
  • 윤지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수하였으므로, 그를 따르던 외사촌 권상연(權尙然)과 함께 전주감영으로 이송되었다. 여기에서도 혹독한 고문으로 배교를 강요당하였지만 끝까지 굽히지 아니하므로, 그 해 12월 8일 참수되어 순교하였다. 이 사건이 바로 또는 진산사건(珍山事件)이라 불리는 것...
    이칭별칭바오로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천주교]

    1791년에 있었던 천주교에 대한 박해. 윤지충이 제사를 거부하고 신주를 불태운 사건으로 발생했다. 1791년 윤지충이 모친상을 당했을 때 북경의 구베아(Gouvea) 주교의 제사금지령에 따라 제사를 지내지 않았으며 신주를 불태웠다. 윤지충의 외종사촌인 권상연도 신주를

  • 권일신 / 權日身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학자·천주교인(1751∼1791). 1782년(정조 6)에 천주교에 입교했고, 이승훈에게 영세를 받았다. 이후 포교활동에 힘썼다. 때 체포되어 제주도로 유배되었다. 그곳에서 회오문을 바쳐서 배교했다. 예산으로 이송 도중 사망했다.

  • 윤지충 / 尹持忠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순교자(1759∼1791). 외사촌인 정약용 형제들의 인도로 가톨릭에서 영세를 받았다. 1791년 모친상을 당하자 천주교 교리에 따라 제사를 지내지 않고 신주를 불살라 관가에 고발 체포되었다. 때 우리나라 최초로 순교하였다.

  • 이가환 / 李家煥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학자(1742∼1801). 천문학과 수학에 정통한 대학자로, 정약용등 천주교 신자와 학문적으로 교유하며 신자가 되었으나, 때는 광주부윤으로 천주교를 탄압하여 대사성·형조판서 등을 지냈다. 주문모 신부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고, 천주교를 연구

  • 황사영 / 黃嗣永 [종교·철학/천주교]

    조선 후기의 천주교인·순교자(1775∼1801). 정약종에게서 교리를 배우고 천주교에 입교했다. 의 와중에서도 신앙을 굳게 지켜 조상에 대한 제사를 중단하고 관직 진출을 단념했다. 180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자 충청북도 제천으로 피신해 북경의 주교에게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