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편고금사문류취” 에 대한 검색결과 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6)

사전(3)

  • 고금사실유취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중국 송ㆍ원대에 편찬된 백과사전류인 『신편고금사문유취()』 중에서 중국의 관직제도에 관한 부분을 따로 뽑아놓은 책. [내용] 편자 미상. 4책. 필사본. 한대(漢代)에서 송대(宋代)까지의 관직제도가 수록되어 있다.
  • 갑진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주자발 新鑄字跋>에 언급된 1484년 갑진의 주조설을 따르고 있다. 이 활자는 갑인자‧을해자 다음으로 오래 사용되었다. 현재 전해지고 있는 인본으로는 ≪왕형공시집 王荊公詩集≫‧≪동국통감 東國通鑑≫‧≪신편고금사문유취 ≫ 등이 있다. →금속활자, 활자
  • 충재권벌종손가소장전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⑤ 신편고금사문유취():35책(결본). 갑진자본. 1493년(성종 24)에 간행되었다. ⑥ 역학계몽요해(易學啓蒙要解):4권 2책. 목판본. 1512년(중종 7) 권벌이 하사받은 내사본이다. ⑦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41책(결본). 초주갑인자본(初...
    연계항목충재권벌종손가소장전적(沖齋權벌宗孫家所藏典籍)

고서·고문서(3)

주제어사전(2)

  • / [역사]

    유서류(類書類). 명석정에 소장되어 있는 책이다. 책수는 5책이며, 판종은 목판본이다. 규격은 27.7×17.7cm이고, 반곽은 20.2×14.2cm이다. 표제와 판심제는 사문류취(事文類聚)이다. 송(宋)나라의 축목(祝穆), 원(元)나라의 부대용(富大用), 축연(祝淵)

  • 신편고금사문유취 / [언론·출판/출판]

    자부(子部) - 유서류(類書類) 祝穆(宋) 편, 목판본, 1891년(고종 28), 236권 70책. 표제와 판심제는 사문유취(事文類聚)이다. 중국 상고(上古) ~ 송대(宋代)까지의 사문(事文)을 여러 책에서 유별로 모아 편집한 백과사전 성격의 유서, 전집, 후집, 속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