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채호” 에 대한 검색결과 42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02)

사전(160)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출되었으나, 이승만(李承晩)의 노선에 반대하여 이를 사임하였다. 한편 임시정부기관지 ≪독립신문≫에 맞서 ≪신대한 新大韓≫을 창간, 주필이 되어 적극적인 독립노선을 주창하였다. 특히, 이승만‧정한경(鄭翰景) 등의 위임통치청원은 그 뒤에도 계속해서 등에 의해...
    이칭별칭 일편단생(一片丹生), 단생(丹生), 단재(丹齋)
  • 동방무정부주의자연맹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928년 7월 중국 난징(南京)에서 조직되었던 무정부주의 운동단체. [내용] ‘조선혁명선언’을 기초한 ()가 1928년 4월 중국 톈진(天津)에서 이필현(李弼鉉, 일명 李志永), 대만인 임병문(林炳文)등과 협력하...
  • 조선사연구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가 쓴 6편의 논문을 묶은 책. [편찬/발간 경위] 1924년 10월 13일부터 1925년 3월 16일까지 『동아일보』에 연재한 것을 1929년 조선도서주식회사에서 『조선사연구초』라는 제목으로 간행하였다. [서지적
  • 단재사당및묘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독립운동가‧언론인이며 근대민족주의사학을 개척한 의 사당 및 묘소. [내용] 충청북도 청원군 낭성면 귀래리에 있다. 충청북도 기념물 제90호. 사당은 귀래리 마을 뒷편 산자락 끝에 있으며 바로 뒤에 묘소가 있다.
    연계항목단재신채호사당및묘소(丹齋申采浩祠堂및墓所)
  • 단재선생생가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전광역시 중구 어남동 에 있는 선생의 생가지. [내용] 대전광역시 기념물 제26호. 1992년 발굴조사와 고증을 거쳐 ㄱ자형의 안채와 헛간을 복원하고, 1996년에 생가지 앞에 동상을 건립하...
    연계항목단재신채호선생생가지(丹齋申采浩先生生家址)

단행본(3)

  • 단재 평전 [한국 근대 전환기 민족 지도자 연구 | 성균관대학교]
    저자 : 전상숙 ... | 출판사 : 도서출판 이조 | 출판일 : 20211130
    신채호는 서양 근대 제국주의의 동진을 현실적인으로 직시하며 이에 대응하여 한국 민족주의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그는 한민족의 역사를 근대적인 역사 통서로서 정리하고자 역사를 연구하여 한민족을 역사의 주체로 결집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민중의 주체적인 자각을 촉구하였다. ...
  • 저자 : 한정길, 이원석, 양일모, 김재현, 엄연석 ... | 출판사 : 도서출판 동과서 | 출판일 : 20191231
    이 책은 19-20세기 초 동아시아에 사회진화론, 무정부주의 등 서양의 다양한 사회사상 혹은 기독교 등의 사상적 조류가 급속도로 확산되는 시점에 조선의 학자들이 전통사상의 토대에서 자유와 민주, 평등과 같은 서양적 가치를 이해하고 대응하는 문법을 검토하였다.
  • 재중조선인 디아스포라문학연구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김호웅... | 출판사 : 연변대학출판사 | 출판일 : 2010.09.
    분야문학 | 유형단행본
    김택영 제4절 세상을 흘겨보는 자-예관 신정의 한시 제2장 1920~1931년의 문학 제1절 새로운 사조의 류입과 문화활동 제2절 이 시기 문학창작 제3절

논문(1)

고서·고문서(4)

  • 后土祭不可太簡 [성호전서 정본화 사업 | 한림대학교]
    備禮於山? 今行單獻如葬時祀后土之儀, 饌品亦難如儀, 只以酒果脯醢, 行單獻禮, 未知何如. DRAC_6:1:3:2A 祭后土, 亦不可太簡, 未知如何. 但始葬之時, 其禮顧如彼不縟. 至此而乃務極豐盛, 其義何居? 其或彼非主人之自祭, 而此卽躬致誠敬故然耶?
    서명예설유편(禮說類編) | 저자이익(李瀷, 1681~1763) | 자료문의청명문화재단 태동고전연구소(www.chungmyung.org)
  • 동북항일투쟁사, 보았으면, 하셨지요, 제가, 서점, 가보았고, 출판사, 연계, 해았지만, 아직, 구하지못, 잠시, 보내지못, 대신, 조선인백년사화, 한권, 드림니다, 우리, 한민족, 걸출, 반일투사, 윤봉길, 강우규, 이봉창, 조선상고자, 쓰신, , 사진, 사실,...
    대표표제어김선생인 | 성씨
  • 如麻子大日點三五上至夜臥時又點平朝以溫淡漿水洗之 治眼痒急赤澁 犬膽汁注目中良 【聖濟總錄】治眼痒難任補膽 前胡去蘆頭 人參馬兜鈴赤茯苓各一兩半 桔梗炒 細去苗 玄蔘各一兩○右爲細末煉蜜圓如桐子大每服三十圓米湯下 治眼痒臉急 葛根剉 木通剉 桑根白皮地骨白皮各一兩半 白鮮【蘚】皮一兩○右...
    서명鄕藥集成方 | 저자유효통(兪孝通)‧노중례(盧重禮)‧박윤덕(朴允德) 등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 추안급국안 : 죄인 목시룡(睦時龍) 신문기록(1) [<추안급국안> 정서화 및 DB 기반 구축 | 전주대학교]
    龍曰汝與逆賊符同有此告變是如爲有置所謂逆賊何 人是旀所謂符同者何事是喩各項情節不卽直告情狀 節節凶獰辭緣刑問現推敎事罪人睦時龍刑問一次訊 杖三十度白等前招內無加減是白乎事 ○ 원일서를 다시 신문하다 同日罪人元一瑞更 推白等虎賊之言旣擧矣父之名白望之言又擧矣身之名已可見其同情之節是...
    서명추안급국안(推案及鞫案) | 권책014 | 자료문의전주대학교(연구책임자 : 변주승 교수)

구술자료(9)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심기소리(24:23) 소리 강기봉B면 1) 김매기소리(02:30) 소리 2) 만두리소리(09:51) 소리 임영택3) 장원질소리(12:55) 소리 4) 각설이타령(16:53) 소리 강기봉 성금동5) 둥덩이새소리(20:35) 소리 임영택6) 밭매는소리(24:36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신채호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심기소리(24:23) 소리 강기봉B면 1) 김매기소리(02:30) 소리 2) 만두리소리(09:51) 소리 임영택3) 장원질소리(12:55) 소리 4) 각설이타령(16:53) 소리 강기봉 성금동5) 둥덩이새소리(20:35) 소리 임영택6) 밭매는소리(24:36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기봉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심기소리(24:23) 소리 강기봉B면 1) 김매기소리(02:30) 소리 2) 만두리소리(09:51) 소리 임영택3) 장원질소리(12:55) 소리 4) 각설이타령(16:53) 소리 강기봉 성금동5) 둥덩이새소리(20:35) 소리 임영택6) 밭매는소리(24:36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강기봉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심기소리(24:23) 소리 강기봉B면 1) 김매기소리(02:30) 소리 2) 만두리소리(09:51) 소리 임영택3) 장원질소리(12:55) 소리 4) 각설이타령(16:53) 소리 강기봉 성금동5) 둥덩이새소리(20:35) 소리 임영택6) 밭매는소리(24:36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최문갑
  • MBC한국민요대전 방송녹음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심기소리(24:23) 소리 강기봉B면 1) 김매기소리(02:30) 소리 2) 만두리소리(09:51) 소리 임영택3) 장원질소리(12:55) 소리 4) 각설이타령(16:53) 소리 강기봉 성금동5) 둥덩이새소리(20:35) 소리 임영택6) 밭매는소리(24:36
    자료구분상세방송녹음자료 | 자료유형민요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김태호

기초학문(32)

  • 의 투쟁적 자아관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 게재일 : 2011
    67999 한국연구재단 한국철학회 2011 의 투쟁적 자아관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ResearchPaper&m201_id
    유형논문 | 게재일2011
  • 의 반자본주의 사회혁명론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안태정, 게재일 : 2006
    50292 안태정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2006 의 반자본주의 사회혁명론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
    유형논문 | 게재일2006
  • 역사전기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장경남, 게재일 : 2009
    56579 장경남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민족문학사학회 2009 역사전기의 형상화 방식과 의미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단재 시의 근대성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송기한, 게재일 : 2009
    26789 송기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중인문학회 2009 단재 시의 근대성 연구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egory
    유형논문 | 게재일2009
  • 양계초와 의 자유론 비교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우남숙, 게재일 : 2007
    38065 우남숙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7 양계초와 의 자유론 비교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t
    유형논문 | 게재일2007

신문·잡지(31)

  • 민세안재홍전집 : 思想界言論界 申丹齋오는날의南大門驛頭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84 1936 4 15 1 1 三千里 社交室 思想界言論界 申丹齋오는날의南大門驛頭 잡지 삼천리 72호, 8권4호 26~27쪽 동정 사회 간접자료 선집외 丹齋, B19360415삼천03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嗚呼‧丹齋를哭함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62 1936 2 27 1 1 安在鴻(무기명) 안재홍 嗚呼‧丹齋를哭함 신문 조선일보 8면 1단 기고문 정치 직접자료 4권 丹齋, 朝鮮史硏究 A19360227조선0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申丹齋學說 私觀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1080 1936 4 15 1 1 安在鴻 안재홍 申丹齋學說 私觀 尊貴한그의史學上의業蹟 잡지 조광 2권3호 200~206쪽 인물평 역사 직접자료 4권 丹齋 伊太利建國三傑傳 朝鮮史硏究草 B193...
    출처형태잡지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新聞人淪落記(下)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
    0961 1935 7 28 19 19 民世學人 안재홍 舊韓末年 新聞人淪落記(下) 신문 조선일보 1면1단석간 논문 문화 직접자료 4권 庚戌變局 吳世昌, 梁起鐸, , 張道斌, 李鍾麟, 朴容萬 A1...
    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김춘추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3) 자강론 김춘추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7년 『조선상고사, 하』 (삼성문화문고, 1977)(pp. 380-389) 저술 10 이 글은 단재 의 『조선상고사』에 포함된 “김춘추의 외교와 김...
    대표표제어김춘추의 외교와 김유신의 음모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신채호 | 출처『조선상고사, 하』 (삼성문화문고, 1977)(pp. 380-389) | 키워드자강, 신채호, 김춘추, 김유신, 사대주의, 복수

멀티미디어(162)

  •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_7주차_1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_7주차_2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_7주차_3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_7주차_4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_7주차_5차시
    [빌드 브릿지: 한국철학의 소통과 확산 사업 | 성균관대학교]
    주차. 민족과 주체: 박은식과 8주차. 학술로서의 조선: 조선학 운동의 도전 9주차. 제국의 그림자 속 식민해방의 철학적 기획들: 경성제국대학의 조선 철학자들 10주차. 사상으로서의 영성: 안창호, 유영모와 함석헌 김선희 외 9명 민족과 주체_ 박은식과
    강좌제목근대시기의 한국철학 | 강의자김선희 외 9명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18)

  • / [정치·법제/정치]

    항일기의 역사가·언론인·독립운동가(1880∼1936). 본관은 고령, 필명은 금협산인 등을 썼다. 어려서 전통 한학교육을 받아 성균관 박사가 되었으나 1905년 《황성신문》 기자가 된 이후로 여러 신문·잡지에 민족의식을 고취시키는 글을 썼다. 한말의 애국계몽운동과 일

  • 단재사당및묘소 / 丹齋祠堂및墓所 [역사/근대사]

    독립운동가, 언론인이며 근대민족주의사학을 개척한 의 사당 및 묘소. 사당은 본래 1960년 종중에서 처음 건립하였고 1978년 지금 위치로 옮겨왔는데, 1980년에 탄생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으로 다시 영당으로 보수·정화하였으며 ‘단재영각(丹齋影閣)’이라는

  • 가정잡지 / 家庭雜誌 [언론·출판/출판]

    1907년 가 가정 중심의 개혁을 위하여 창간한 잡지.월간잡지. ()가 발행한 계몽성을 띤 잡지로서, 1907년 7월 25일 창간하여 1908년 8월 25일 통권 7호로 종간하였다.단순히 가정계몽이나 교양에만 그친 것이 아니라 정치·경제·과학·사회 등

  • 김해병서 / 金海兵書 [정치·법제/국방]

    종6년) 서북로병마사가 왕에게 아뢰기를 “『김해병서』는 무략(武略)의 요결(要訣)이오니 청컨대 연변의 주진(州鎭)에 각각 한 책씩 하사하소서.” 하니 왕이 이를 따라 행했다는 기록이 보인다. 이 『김해병서』를 연개소문이 지었다고 주장한 학자는 ()이다. 연개

  • 민족주의사학 / 民族主義史學 [역사/근대사]

    일제의 식민사학에 정면으로 대결하였던 민족진영의 역사학을 지칭하는 용어. 우리나라에서 민족주의사학이라면 1910년대 이후 박은식(朴殷植)ㆍ() 등과 1930년대 이후의 정인보(鄭寅普)ㆍ안재홍(安在鴻)ㆍ문일평(文一平) 등으로 이어지는 갈래를 의미한다. 이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