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증유합”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3)
- 신증유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탈자가 있고 각법(刻法)이 매우 조잡하다. 國語敎育史硏究(李應百, 新丘文化社, 1975) 類合의 解題(方鍾鉉, 한글문 1, 1946 ; 一蓑國語學論集, 民衆書館, 1963) 新增類合解題(安秉禧, 影印新增類合, 檀國大學校東洋學...
- 신증유합(新增類合)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신증유합 신증유합 新增類合 철학국어학/교육 문헌 한국 조선 선조 성낙수 박종국 2014 유희춘(柳希春) 교서관 1576년(선조 9) 2권 1책 목활자본 서울대학교 일사...
- 삼(衫)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類解)』에는 적삼으로, 『신증유합(新增類合)』에는 홑옷으로, 『자류주석(字類註釋)』에는 적삼, 홑으로 된 작은 저고리라는 뜻의 소유단유(小襦單襦)라고 기록하고 있어서 삼(衫)에 대응하는 우리말 명칭이 적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삼은 홑옷을 나타내는 명칭이지만 점차...관련어상의(上衣), 의(衣), 적삼(赤衫)
- 유합(類合)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이것을 증보·수정한 것이 『신증유합(新增類合)』이다. [편찬/발간 경위] 이 책은 『천자문』과 함께 조선 전기에 널리 사용된 한자 입문서로 새김과 독음이 이루어진 시기는 확실하지 않다. 최세진(崔世珍)의 『훈몽자회』에 새김이 인용된 일이 없는 사실로 미루...
- 자서(字書)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식을 취한 책으로는 1576년(선조 9)에 간행된 유희춘(柳希春)의 『신증유합(新增類合)』을 꼽을 수 있다. 이 두 책은 『강희자전』이나 그 이후에 간행된 『전운옥편(全韻玉篇)』 등과는 차이가 있지만, 한자의 자형, 자음(字音) 및 의미를 밝히는 데 중점을 두었으므로...상위어사전(辭典) | 동의어옥편(玉篇), 자전(字典), 자림(字林), 자휘(字彙) | 관련어훈고서(訓詁書), 운서(韻書)
고서·고문서(2)
- 신증유합(新増類合)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운서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신증류합(新增類合)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주해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기초학문(1)
- 『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에 반영된 止攝字 층위 연구(1)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신아사, 게재일 : 200941594 신아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중국어문학연구회 2009 『訓蒙字會』‧『新增類合』‧『千字文』에 반영된 止攝字 층위 연구(1)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유형논문 | 게재일2009
주제어사전(2)
-
신증유합 / 新增類合 [언론·출판/출판]
1576년(선조 9)에 유희춘이 ≪유합≫을 증보하고 수정하여 편찬한 한자 입문서. 2권 1책. 목활자본. ≪천자문≫·≪훈몽자회≫ 등과 함께 널리 이용된 한자 입문서. 1574년 황해도 해주에서 간행된 일이 있으나 잘못이 있어 수정하여 1576년 10월에 서문과 발문을
-
한자교육 / 漢字敎育 [언어/언어/문자]
는 ≪천자문≫이나 ≪유합≫ 등이 일상생활과 거리가 먼 고사(故事)와 추상적인 내용이 많기 때문에 아동들의 학습서로서 부적합하여 이를 보충하는 의미에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그 밖에 ≪신증유합 新增類合≫·≪아학편 兒學編≫ 등이 있는데, 이들은 초보적인 한자교육을 위한 교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