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증동국여지승람” 에 대한 검색결과 4,624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541)

사전(3,178)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역은 찰방역과 일반역으로 나누었다. 찰방역의 경우 그 소속 역명을 열거하였으며, 주요 역원은 그 시설과 연혁 등이 기술되었다. ≪≫은 조선 전기 지리지의 집성편(集成編)으로 속에 실린 지도와 함께 조선 말기까지 큰 영향을 끼친 지리지이다.
    이칭별칭동국여지승람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1530년에 이행(李荇, 1478-1534) 등이 왕명에 따라 《동국여지승람》을 증보‧개정한 인문 지리서.
    정의1530년에 이행(李荇, 1478-1534) 등이 왕명에 따라 《동국여지승람》을 증보‧개정한 인문 지리서.[국사편찬위원회 한국역사용어시소러스] | 문광부표기Sinjeung Dongguk yeoji seungnam | MR표기Sinjŭng Tongguk yŏji sŭngnam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輿)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
    5008 문헌 (輿) (輿 1560년에 이행(李荇) ‧ 윤은보(尹殷輔) ‧ 신공제(申公濟) ‧ 홍언필(洪彦弼) ‧ 이사균(李思鈞) 등이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
    유형분류문헌
  • 김극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말엽에 간행된 『삼한귀구감』에 의하면 그의 문집은 135권 또는 150권이나 되었다고 하나 지금은 전하지 않고, 『동문선』ㆍ『』 등에 시가 많이 남아 있다. 『동문선(東文選)』 『...
    이칭별칭 노봉(老峰)
  • 경주읍성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불탄 것을 1632년(인조 10) 부윤 김식(金湜)이 중수하고 동‧서‧북문도 다시 세웠다는 중수기록이 있으며, 읍성규모에 대하여는 『』에 주위 4,075척(약 1,222m), 높이 12척이며, 우물이 80여개 있다고 되어 있다. 이 읍성은 1746...
    연계항목경주읍성(慶州邑城)

논문(2)

고서·고문서(915)

기초학문(1)

  • ??輿??에 나오는 ‘遷’계 地名語의 衰退에 관한 硏究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박병철, 게재일 : 2012
    51388 박병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2 ??輿??에 나오는 ‘遷’계 地名語의 衰退에 관한 硏究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
    유형논문 | 게재일2012

멀티미디어(423)

기타자료(22)

  • 정된다. 다만 처음 축성한 부분에서는 아직 아무런 유물도 발견되지 않고 있어 시기를 헤아리는데 어려움이 크다. 해룡산성이 우리나라의 역사 무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나말여초에 들어서이다. [(輿)]에서는 유력 호족 박영규의 기록에서 처음으...
    발행연도2002 | 발굴기관순천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전라남도
  • 만덕동 사지는 적어도 고려사의 만덕사지가 아닐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하겠다. 현재 국내 문헌에 기비사라는 사명은 한 곳에도 보이지 않는데, 특히 이나 동래부지, 여지도서 등에서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보아, 일단 조선시대에는 존속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발행연도1993 | 발굴기관부산광역시립박물관 | 발굴지역부산광역시
  • 2004년도 조사 보고서(마산 자산동 추산공원 내 유적 -시굴조사 보고서-)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이외에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수혈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본 조사구역은 에 고려시대 때 여몽연합군이 일본을 정벌코자 증축한 정동행성지라고 기록되어 있는 회원성지의 성벽과 바로 접한 곳이다. 조사에서 확인된 유구들은 이 성내부의 시설물로 판단되므로 본 조사...
    발행연도2006 | 발굴기관경남고고학연구소 | 발굴지역경상남도
  • 함안 말산리 101-2번지 유적 – 함안합동상사 신축예정지 –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
    하는 바와 같이 당시 서울에는 질그릇의 항아리와 독을 제작하던 공장이 있어 도기 및 옹기가 당시 생활에 가장 요긴하게 사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경국대전󰡕에서도 왕실 및 관청용 도기로서 옹을 만들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에도 전국에...
    발행연도2004 | 발굴기관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 | 발굴지역경상남도
  • 학적 배경 / IV.문헌으로 본 강원감영의 관위시설 1.강원감영의 설치 2.강원감영의 영건추이 1) 지리지 (1)『』 원주목조 (2)『동국여지지』 원주목조 (3)『여지도서』 관찰영조 (4)『여지도서』 원주목조 (5)『관동지』 강원감영지 (6)『관동지』 원...
    발행연도2001/04 | 발굴기관강릉대학교박물관 | 발굴지역강원도

연구과제(2)

주제어사전(81)

  • / 輿 [지리/인문지리]

    1530년(중종 25) 이행·윤은보·신공제·홍언필·이사균 등이 ≪동국여지승람≫을 증수 편찬한 책. 55권 25책. 조선 전기의 대표적인 관찬지리서이다. 이 책은 세 차례의 수교 과정을 거쳐 완성되었다. 원래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성종 12) 50권으로 편찬되었다

  • 삼척포진 / 三陟浦鎭 [지리/자연지리]

    강원도 삼척도호부에 있던 수군 거진(巨鎭). <>권 44 삼척도호부(三陟都護府) 관방조(關防條)에 “三陟浦鎭 在府東八里 有水軍僉節制使營”이라고 하였다.

  • 사도진 / 蛇渡鎭 [지리/자연지리]

    전라도 흥양현(興陽縣)에 있던 수군의 거진. 『』 권 40 흥양현(興陽縣) 관방조(關防條)에 “蛇渡鎭 在縣東四十三里 有左道水軍僉節制使營 所管 會寧浦 達梁 呂島 馬島 鹿島 鉢浦 突山浦”라 하였다.

  • 소강진 / 所江鎭 [정치·법제/국방]

    황해도 옹진현(瓮津縣)에 있던 수군의 거진. 『』권 43 옹진현(瓮津縣) 관방조(關防條)에 “所江鎭 有水軍僉節制使營 所管 廣岩梁 阿郞浦 吾叉浦 許沙浦 茄乙浦 龍媒梁”이라 하였다.

  • 월곶진 / 月串鎭 [정치·법제/국방]

    경기 교동현에 있던 수군의 거진. 『』권 13, 교동현(喬桐縣) 관방조(關防條)에 “月串鎭 在縣南十六里 有右道水軍僉節制使營”이라 하였다. 그러나 조선후기에 월곶진(月串鎭)은 강화도호부(江華都護府)로 이설(移設)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