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정왕후”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7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9)
사전(70)
- 신정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808(순조 8)∼1890(고종 27). 익종(翼宗의 : 제23대 순조의 세자)의 비(妃). [개설] 풍양조씨(豊壤趙氏). 헌종의 어머니이다. 아버지는 풍은부원군 만영(萬永)이며, 어머니는 송준길(宋浚吉)의 후손인 목사 시연...이칭별칭조대비
- 수릉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 에 있는 조선 제23대 왕 순조의 원자 문조(文祖 : 孝明世子의 追尊)와 비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의 능. [내용] 사적 제193호. 처음 효명세자가 죽자 의릉(懿陵 : 경종...
- 경복궁자경전십장생굴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밈으로 얹은 기와로 만든 지붕모양의 물건)를 두어 연기가 빠지도록 하였다. 자경전은 흥선대원군이 경복궁을 중건할 때인 1865년(고종 2) 신정왕후(神貞王后 : 익종의 비인 趙大妃)를 위하여 창경궁 자경전을 본떠서 교태전(交泰殿)의 동쪽에 지었는데, 화재를 당하...이칭별칭지경전십장생굴뚝 | 연계항목경복궁자경전십장생굴뚝(景福宮慈慶殿十長生굴뚝)
- 효모전(孝慕殿)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축물 건축 대한민국 조선후기 정욱재 1890년(고종 27) 4월 17일 경복궁 태원전(泰元殿) 고종, 신정왕후(神貞王后), 신정익황후(神貞翼皇后) [정의] 순조의 세자였던 익종(翼宗)의 왕비인 신정왕후(神貞王后)...관련어다례(茶禮), 망제(望祭), 부태묘(祔太廟), 빈전(殯殿), 상제(祥祭), 수릉(綏陵), 우제(虞祭), 작헌례(酌獻禮), 졸곡제(卒哭祭), 주다례(晝茶禮), 태원전(泰元殿), 혼전(魂殿)
- 선의왕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생몰년 미상. 고려 전기의 종실(宗室) 대종(戴宗, 旭)의 부인. [생애와 활동사항] 태조(太祖)와 제6비(妃) 정덕왕후 유씨(貞德王后柳氏)사이의 둘째딸이다. 태조 제4비 신정왕후 황보씨(神靜王后皇甫氏) 소생 대종과 혼인하여...
단행본(1)
-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왕실 여성의 삶과 생활세계 [조선시대 언간을 통해 본 남성과 여성의 삶 | 제주대학교]저자 : 이남희 ... | 출판사 : 도서출판 역락 | 출판일 : 20211223이 책은 언간을 통해서 왕실 여성의 삶과 생활세계에 대해서 살펴보고 있다. 일차적으로 왕비, 왕후에 초점을 맞추었다. 사례로는 명성왕후, 인현왕후, 혜경궁홍씨, 정순왕후, 신정왕후, 순명효왕후를 다루었다. 왕비도 언간을 통해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고 있었다. 외부와의 ...
고서·고문서(143)
- 신정왕후국휼등록(神貞王后國恤謄錄) [장서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2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등록은 계제사에서 신정왕후가 1890년 4월 17일에 경복궁 흥복전에서 승하하고 국상 절차에 들어가 1892년 5월 8일에 세자가 진하전문을 국왕에게 올리는 시점까지 국상 절차를 기록해 놓은 책이다. 책의 첫 부분과 마지막 부분에 공히 탈락한 부분이 있다. 이 점...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등록 | 형식분류고서-등록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신정왕후국장도감의궤(神貞王后國葬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90년(고종 27) 4월 17일, 대왕대비(大王大妃) 신정왕후 조씨(神貞王后 趙氏, 1808-1890)가 훙서하자, 그에 따라 국장(國葬)을 거행한 내용을 기록한 의궤이다. 익종(翼宗)비 조씨는 1863년철종(哲宗)이 승하하자 고종(高宗)을 지원하여 고종이 즉위하...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신정왕후빈전혼전도감의궤(神貞王后殯殿魂殿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90년(고종 27) 4월 17일, 대왕대비(大王大妃)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1808-1890)가 승하하자, 그에 따라 국장(國葬)을 거행한 내용을 기록한 의궤이다. 익종(翼宗)비 조씨는 1863년 철종(哲宗)이 승하하자 고종(高宗)을 지원하여 고종이 즉위하는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신정왕후수릉산릉도감의궤(神貞王后綏陵山陵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山陵都監)은 장례를 치룰 장지(葬地), 즉 능소(陵所)를 준비하기 위해 설치된 임시 기구이다. 본 의궤에는 신정왕후의 능을 익종의 능인 수릉(綏陵)에 합부(合祔)하는 예(禮)로 정하기까지의 논의 과정과, 산릉도감에서 본격적으로 장례를 위해 정자각(丁字閣)과 재실(齋室)...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신정왕후부묘도감의궤(神貞王后祔廟都監儀軌) [규장각 국가전적 자료센터 구축사업(1단계) | 서울대학교]1892년(고종29) 익종비(翼宗妃) 신정왕후(神貞王后) 조씨의 3년상이 끝나자 왕실에서는 부묘도감(祔廟都監)을 설치하여 왕후의 신위(神位)를 혼전(魂殿)에서 종묘(宗廟)로 이봉(移奉)하는 의식을 거행하였다. 본 의궤는 당시 부묘도감(祔廟都監)에서 그 준비과정과 행사...내용분류국왕/왕실-의례-의궤 | 형식분류고서-의궤 | 현소장처규장각한국학연구원
기초학문(5)
- 1837년(헌종 3) 純元王后‧神貞王后의 尊崇과《尊崇都監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401324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4 1837년(헌종 3) 純元王后‧神貞王后의 尊崇과《尊崇都監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유형논문 | 게재일2004
- 1887년(고종 24) 神貞王后 八旬 경축 연향과 《[丁亥]進饌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301396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87년(고종 24) 神貞王后 八旬 경축 연향과 《[丁亥]進饌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877년(고종 14) 神貞王后 七旬 경축 연향과《[丁丑]進饌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종훈, 게재일 : 200313489 임종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77년(고종 14) 神貞王后 七旬 경축 연향과《[丁丑]進饌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873년(고종 10) 神貞王后 大妃冊封 40년 기념 연향과《[癸酉]進爵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김종수, 게재일 : 200313681 김종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73년(고종 10) 神貞王后 大妃冊封 40년 기념 연향과《[癸酉]進爵儀軌》 https://www.krm.or.kr/krmts/li유형논문 | 게재일2003
- 1868년(고종 5) 神貞王后 周甲 경축 연향과《[戊辰]進饌儀軌》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임종훈, 게재일 : 200313682 임종훈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 2003 1868년(고종 5) 神貞王后 周甲 경축 연향과《[戊辰]進饌儀軌》 https://www.krm.or.kr/krmts/link.html?유형논문 | 게재일2003
주제어사전(8)
-
신정왕후 / 神貞王后 [역사/조선시대사]
1808년(순조 8)∼1890년(고종 27). 익종의 비. 헌종의 어머니이다. 아버지는 만영, 어머니는 송시연의 딸이다. 12세 때 익종비로 책봉되어 세자빈이 되었고 효부라는 칭찬을 들었다. 1827년(순조 27) 헌종을 낳았다. 1834년 헌종이 왕위에 오르고 죽
-
경복궁 자경전 / 景福宮慈慶殿 [예술·체육/건축]
서울특별시 종로구 경복궁에 있는 조선후기 대비들의 침전으로 이용된 궁궐건물.전각. 보물. 자경전은 경복궁 안에 있는 대비들의 침전으로, 1867년(고종 4) 자미당 터에 신정왕후를 위해 지은 전각이었으나 이후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888년(고종 25)에 중건되었다.
-
고기승 / 高基升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845∼1903). 1880년(고종 17) 증광문과에 급제하여 홍문관정자·사헌부지평·사간원헌납의 벼슬을 역임하였다. 서교를 배척하여 <척사표>를 지었다. 1890년 신정왕후 인산 때 옥보관을 맡았다. 1893년에 낙향하여 백화산에서 후진을 양성
-
고종어명망단 / 高宗御名望單 [정치·법제]
후사 없이 세상을 떠난 철종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고종의 이름을 의정하기 위해 1863년(고종 즉위년) 12월 13일 빈청에서 올린 어명 망단. 이 망단은 세 자를 써 삼망을 올렸는데, 신정왕후가 직접 낙점을 하지 않았으나《고종실록》등에 수망인 '희(熙)'로 정해
-
대전왕대비전중궁전가상존호책보내입홀기 / 大殿王大妃殿中宮殿加上尊號冊寶內入笏記 [정치·법제]
1892년(고종 29)에 익종과 신정왕후에게 존호를 추상하고 고종과 헌종의 계비인 명헌왕후, 고종의 비 명성왕후에게 존호를 가상할 때 만든 기록의 일부로 가상존호책보를 궐내로 들이는 의식 절차를 적은 홀기. <대전왕대비전중궁전가상존호책보내입의>가 들어 있는데 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