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익희” 에 대한 검색결과 총 22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14)
사전(82)
- 신익희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당시 상승기에 있던 중국혁명군과 연결하여 한중합작에 의한 군사행동의 실현을 추진해 보기도 했지만 큰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광복 이후 1945년 9월조선인민공화국 내각이 편성되자 신익희는 인공 내각의 체신부장에 선임되기도 하였다 1945년 12월 임정요인의...이칭별칭 해공(海公)
- 신익희생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경기도 광주시 초월면 서하리 에 있는 해공(海公) 신익희의 생가. [내용] 경기도 기념물 제134호. 원래는 지금보다 동남으로 200m쯤 떨어진 곳에 있다가 을축년(1922) 장마에 파손된 것을 옮...연계항목신익희생가(申翼熙生家)
- 유일학회친목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919년 중국 상해에서 조직되었던 일본유학생친목단체. [내용] 1919년 5월 상해 프랑스 조계 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헌법을 기초하는 데 참여하였던 일본유학생 신익희(申翼熙)가 중심이 되어 이광수(李光洙)ㆍ최근우(崔謹愚)ㆍ남형우(南...
- 윤보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출되었다. 당시 민주당은 신익희(申翼熙)‧조병옥(趙炳玉) 등 구파의 핵심인사들이 죽고 난 뒤였기 때문에 김도연(金度演)과 함께 사실상 구파의 중심인물로 부상하게 되었다. 1960년 4‧19혁명으로 이승만정부가 물러나고 새롭게 민주당이 집권하게 되었을 때 민주당의...이칭별칭 해위(海葦)
- 유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로 다시 통일독립운동자중앙협의회를 결성하고 대표간사가 되었다. 1952년 7월 임시수도 부산에서 일어난 ‘발췌개헌안’에 항의해 신익희, 장면 등과 한국민주주의자총연맹을 발기하기도 했다. 국회의원 선거에 여러번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상훈과 추모] 1961...이칭별칭 단주(旦洲)
고서·고문서(4)
- 第十八會國會[定期會]開會式, 1954년 4월 28일 [“미공개 이승만문서” 정리·분류 및 DB화 사업 | 연세대학교]09249 우남C-3-1-0318 第十八會國會[定期會]開會式, 1954년 4월 28일 문서 1954.4.28 申翼熙 1 한국어 1948년 이후 내무 기타자료명第十八會國會[定期會]開會式, 1954년 4월 28일 | 자료형태문서 | 작성일1954.4.28 | 작성자申翼熙 | 작성언어한국어
- 도인(島人)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嗚呼, 凡莅玆土而値玆歲者, 孰不衋傷感憤。 思所以導達幽明, 褒勤忠節, 而若臣者, 尤有異焉。 蓋臣之五代祖母徐, 亦嘗殉節於丁丑之變, 而臣高祖父文貞公臣益熙, 與先正臣文正公宋時烈, 受知孝廟, 同心協贊, 其於扶奬節義之方, 尤所致意, 臣於家塾, 未敢忘墜, 況臣受命此府, 適丁是年,...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도인(島人)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인(島人)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嗚呼, 凡莅玆土而値玆歲者, 孰不衋傷感憤。 思所以導達幽明, 褒勤忠節, 而若臣者, 尤有異焉。 蓋臣之五代祖母徐, 亦嘗殉節於丁丑之變, 而臣高祖父文貞公臣益熙, 與先正臣文正公宋時烈, 受知孝廟, 同心協贊, 其於扶奬節義之方, 尤所致意, 臣於家塾, 未敢忘墜, 況臣受命此府, 適丁是年,...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도인(島人)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한양비가 [경상북도 내방가사 조사,정리 및 DB구축 | 안동대학교]츌마 신익희새 시체운반 그날이라경무대앞 큰길에서 경관들과 대중들에삼백여명 젊은이가 검거되고 소환햇내사선에도 츌마하신 이대통령 명령인가오심선거 땡겨갖고 삼이오에 한다할재한양조씨 유식선생 또급사을 당하시와전래없는 군만창은 또한양의 매국이요조객들이 모여드어 인산같은 그날이라...가사유형영사가류 | 소장처이상규 | 시대해방이전
구술자료(2)
- 김용성 구술자료 [현대한국구술자료관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계기 및 제2대 국회의원 선거운동 조봉암에 대한 인식 삼(3)대 대통령 및 사(4)대 부통령 후보선출의 당내 경선갈등 : 조병옥과 장면 삼(3)대 대통령 선거 시 신익희 서거와 조봉암 조병옥, 장면 당내 경선 일화 민주당의 7.29 총선 압승배경 정치자금 조달 방법분야정치‧법제 | 유형인물 | 지역서울 | 시대현대 | 테마정당정치
- 박정일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에서 천주교는 올바른 사회를 만드는 데 진력해야 함. 월남민 구술 연구사업의 자료로서 구술자의 녹취문과 동영상 음성 자료 김남수, 김수환, 김영환, 김충수, 마펫(S. A. Moffett, 馬布三悅), 백남익, 백민관, 신익희, 안명옥, 유구술자박정일 | 직업주교 | 지역평안도
신문·잡지(98)
- 민세안재홍전집 : 江華摩尼山서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764 1948 11 5 1 1 江華摩尼山서 開天節式典擧行 신문 동아일보 2면 10단 기사 문화 간접자료 선집외 開天節, 摩尼山, 申翼熙 A19481105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殉國先烈追念大會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201 1945 12 20 1 1 殉國先烈追念大會 卄三日서울運動場서奉行 신문 동아일보 2면 6단 기사 문화 직접자료 선집외 殉國先烈追念大會, 申翼熙 A19451220동아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민세안재홍전집 : 國民黨安氏 訪問要談 [民世 安在鴻全集 資料集成 및 DB化 事業 | 중앙대학교]1187 1945 12 4 1 1 國民黨安氏 訪問要談 신문 서울신문 1면 3단 기사 정치 간접자료 선집외 國民黨, 臨時政府, 洪震, 趙素昻, 申翼熙 A19451204서울01출처형태신문 | 자료문의중앙대학교(연구책임자 : 김인식 교수)
- 조소앙·이청천·신익희 등, 신당발기 취지서 발표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0) 정부수립 후 신당창당 조소앙·이청천·신익희 등, 신당발기 취지서 발표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8년 9월 26일 조선일보 자료대한민국사 기사/사설 1 이 기사는 조소앙과 이청천, 신익희 등이 신당발기 취지서를 발표한 것...대표표제어조소앙·이청천·신익희 등, 신당발기 취지서 발표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조선일보 | 출처자료대한민국사 | 키워드신당발족, 신당발기 취지서, 안재홍, 조소앙, 신익희, 김양수
- 조소앙·신익희·명제세 등의 신당 창당작업, 노선문제로 난관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10) 정부수립 후 신당창당 조소앙·신익희·명제세 등의 신당 창당작업, 노선문제로 난관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48년 9월 30일 동아일보 자료대한민국사 기사/사설 1 이 기사는 조소앙과 신익희, 명제세를 중심으로 한 신당 조직...대표표제어조소앙·신익희·명제세 등의 신당 창당작업, 노선문제로 난관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 | 출처자료대한민국사 | 키워드독촉 한독파, 민련파, 대동청년단, 신당 노선, 신정부 불신임
멀티미디어(4)
- 1956년 5월 23일 신익희 대통령후보의 장례식 영상. 신익희 운구 차량을 포함한 장례 행렬은 이날 오전 11시 신익희의 집을 출발하여 민주당 당사 앞 대로를 지나 국장이 열린 서울운동장으로 이어졌다. 장례행렬이 지나가는 거리와 장례행사가 열리는 서울운동장은 조문하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6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1956년 5월 5일 서거한 신익희 민주당 대통령후보의 장례식 모습을 담은 영상이다. 신익희의 장례식은 5월 23일 서울운동장에서 거행되었는데 김도연, 함태영, 곽상훈 등 다수의 정치인과 국민들이 참석했다.자료구분대한뉴스 | 제작년도1956년 5월 5일 | 제작공보처
- 1953년 10월 3일 개천절 기념행사가 중앙청 정문 앞에서 진행되는 장면을 담은 영상이다. 이날 행사에는 신익희 민의원의장이 참석했고 김병로 대법원장이 신형법 시행에 대한 의의에 대해 연설을 했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3년 10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 1952년 5월 6일 부산 충무광장에서 개최된 임진왜란 360주년 기념식 영상이다. 이 기념식에는 왕동원 주한중국대사, 신익희 국회의장, 조병옥 의원, 백낙준 문교부 장관 등의 고위 인사들이 참석하였고, 조병옥과 백낙준이 무대 위에 올라가 이순신의 영웅성에 대해 연설자료구분리버티뉴스 | 제작년도1952년 5월 | 제작주한미공보원
기타자료(24)
- Political Report No. 5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eral, UNCACK, 8201st Army Unit 숙명여자대학교 각 정당 및 그룹: 신라회: 107명 국회의원 소속 등 인적구성 / 신익희 국회의장이자 민국당 당수 / 이승만 대통령 시해 시도 / 대미 텅스텐 수출, 비료 수입 연관된...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Nelson M. Ellison ROK Adm Aff Div | 수신자Commanding General, UNCACK, 8201st Army Unit
- Rhee was elected cahirman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etary of State 숙명여자대학교 이승만이 의장으로 선출됨, 6월 1일 두명의 부의장이 선출됨(신익희, 김동원), 다양한 위원회가 지정됨. Rhee, Kim Tong Won, Shin I Ki, Secretary of...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Jacobs | 수신자Secretary of State
- Inclosure No. 195A. Letter from George S. Patterson to Shin Ik Hi, 1948.08.15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유엔한국임시위원단(UNTCOK)의 캐나다 대표인 패터슨은 신익희 국회의장에게 한국의 선거과정이 민주적이었으며 그로 인해 구성된 국회를 지지하는 내용의 서한을 보냈으며 신익희 국회의장은 그에 대한 감사의 답장을 보냄. National Assembly, Un...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George Patterson | 수신자Shin Ik hi
- Congratulatory messag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Shin Ik Hi 숙명여자대학교 1948년 8월 15일 캐나다 외무장관이 신익희 국회의장에게 보낸 서신. 일제 통치로부터 독립과 연합군의...국내소장처국사편찬위원회 | 발신자George S. Patterson, Canadian Representative, United Nations Temporary Commission on Korea | 수신자Shin Ik Hi
- Civil Affairs Highlights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분석하는 내용. 한국 장교를 암살한 범인에 대해 사형 선고가 언도되었다는 내용 포함. 신익희 의원의 활동 내역도 설명. Political Trend, United Nation Command, Far East Command, Civil Affairs Hi...국내소장처숙명여자대학교 글로벌거버넌스연구소 | 발신자W.R.H | 수신자Memorandum for Chief of Staff
주제어사전(6)
-
신익희 / 申翼熙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정치가·독립운동가(1894∼1956). 대한민국임시헌법을 기초하고 임시정부의 초대 대의원과 초대 내무차관을 지냈으며, 그 뒤 내무총장·법무총장·문교부장·외무부장 등을 두루 맡았다. 광복이 된 뒤 정부수립과 함께 제헌국회에 진출하였고, 국회의장 이승만의 뒤를
-
경남대학교 / 慶南大學校 [교육/교육]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영동에 있는 사립 종합대학교. 1946년 12월 ‘국민대학관(國民大學館)’으로 발족하여 이듬해 8월 서울특별시 중구 남산동에서 국민대학으로 인가받아 개교하였다. 초대 학장에는 신익희(申翼熙)가 취임하였으며, 1950년 8월 피난지 부산에서
-
내무부 / 內務部 [역사/근대사]
공무, 종교, 자선에 관한 모든 사무를 관장하였다. 역대 내무총장으로는 안창호, 이동녕, 김구, 이유필, 조완구, 차이석, 조소앙. 홍진, 신익희 등이 있었다.
-
민주국민당 / 民主國民黨 [정치·법제/정치]
1949년 2월 10일 창당된 정당. 한국민주당이 친일정당이라는 이미지의 쇄신과 이승만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신익희의 대한국민당과 지청천의 대동청년단을 규합, 새로이 출범한 것이다. 한국민주당의 구성원, 정강, 정책 등을 그대로 계승한 민국당은 해방 이후 최초의 보수
-
장면 / 張勉 [정치·법제/정치]
현대의 정치가(1899∼1966). 1917년 수원고등농림학교를 졸업, 1919년 서울기독교청년회관 영어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하였다. 1936년 동성상업학교 교장이 되었다. 1946년 정계에 입문, 1955년 신익희·조병옥 등과 민주당을 창당하여 최고위원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