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응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1)
사전(20)
- 신응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실록(宣祖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국조방목(國朝榜目)』 신응시 유묵 1532(중종 27)-1585(선조 1...이칭별칭 군망(君望)| 백록(白麓)| 문장(文莊)
- 신응시(辛應時) [조선왕조실록 전문사전 편찬 | 한국학중앙연구원]신응시 신응시 辛應時 정치·행정가관료/문신, 학자/유학자 인물 한국 조선 명종~선조 최양규 이범직 2011 군망(君望) 백록(白麓) 문장(文莊) ...
- 신경진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554(명종 9)∼1619(광해군 1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영월(寧越). 자는 용석(用錫), 호는 아호(丫湖). 윤형(尹衡)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보상(輔商)이고, 아버지는 부제학 응시(應時)이며, 어머니는 정기(丁...이칭별칭 용석(用錫)| 아호(?湖)
- 藝文應敎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E2_J_0051 藝文應敎 관직 將來, 主文, 平時, 除授, 常缺, 兼帶 壬辰以後 金貴榮, 盧守愼, 姜士弼, 李山海, 辛應時, 柳成龍, 許篈, 李好閔 J_04_01_05 지봉유설 4권 1장 5절출전지봉유설 | 수록위치4권 1장 5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백록유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중기의 문신 신응시(辛應時)의 시문집. [내용] 1권 1책. 목판본. 1660년(현종 1) 후손 희계(喜季)가 편집, 간행하였고, 1741년(영조 17) 후손 치복(致馥)이 보완, 속간하였다. 권두에 송시열(宋時烈)의 서문이 있다....
고서·고문서(21)
- 挽辭(八)[(辛應時)] [율곡(栗谷) 이이(李珥)의 자료 집성(集成)과 정본화(定本化) | 전주대학교]栗谷先生全書 卷之三十七 附錄 五 44 挽辭(八)[(辛應時)] 37_075_067.jpg 挽辭(八)[(辛應時)] 閒氣攸鍾挺震方, 麟遊郊藪鳳鳴岡。江湖易退曾難進, 魚水千年幸一堂。仰澤民心方似渴, 奪賢天意爲誰忙? 忠魂未散應思報, 助叶陽和降百祥。泣閱牀頭聖學書, 平生精力此勤...서명율곡선생전서(栗谷先生全書) | 자료문의전북대학교 오항녕 교수
- 백록유고(白麓遺稿)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교포(橋浦)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宿頓處也) 聚景樓(基在樓橋川上) 超然亭(基在覺爽泉上) 愛閑亭(基在大橋浦南岸文莊公辛應時逍遙處也) 燈巖寺(基在天燈山世傳恭愍誕生之地又有行宮遺址)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누교(樓橋)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行宮(基在黃衣山下世傳麗主遊獵時宿頓處也) 聚景樓(基在樓橋川上) 超然亭(基在覺爽泉上) 愛閑亭(基在大橋浦南岸文莊公辛應時逍遙處也) 燈巖寺(基在天燈山世傳恭愍誕生之地又有行宮遺址)출처전거輿地圖書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上曰, 異於科擧, 故不載於別諭中, 而御史知悉, 如白日場之爲, 而激勸之可矣。 聖希曰, 臣膺是命之後, 本州人, 上京求仕者數三輩, 來見而言, 島中必以當爲試才, 知之矣。 臣以朝家不欲張大之意, 答之矣。 諸臣遂退出。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1)
-
신응시 / 辛應時 [종교·철학/유학]
1532(중종 27)∼1585(선조 18). 조선 중기의 문신. 석 증손, 할아버지는 윤형, 아버지는 보상, 어머니는 민거의 딸이다. 백인걸의 문하에서 배웠다. 1559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 연안부사, 예조참의, 병조참지 등을 역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