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유한” 에 대한 검색결과 총 49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486)
사전(460)
- 신유한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1(숙종 7)∼?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개설] 본관은 영해(寧海). 자는 주백(周伯), 호는 청천(靑泉). 경상북도 고령 출신. 증조가 구년(龜年)이고, 아버지는 태래(泰來)이며, 어머니는 김석현(金碩玄)의 딸이다. ...이칭별칭 주백(周伯)| 청천(靑泉)
- 해유록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숙종 때 신유한(申維翰)이 통신사의 제술관(製述官)으로 일본에 다녀온 사행일록(使行日錄). [내용] 3권. 이 사행은 관례에 따라 새로운 관백(關白)의 습직(襲職)을 축하하기 위한 것이었다. 제술관의 임무는 주로 사행 일행의 글에
- 신유한(申維翰)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4997 인물 신유한(申維翰) 신유한 申維翰 1681 1752 조선 후기의 문신 ‧ 문장가. 본관은 영해(寧海). 자는 주백(周伯), 호는 청천(靑泉). 경북 고령 출신. 1705년 진사시에 합격하였고, 1713년...유형분류인물
- 신유한설화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후기의 시인 신유한에 관한 설화. [내용] 미천한 처지에서 태어났으면서 시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는 것을 기본내용으로 삼아 흥미로운 삽화를 연속시켰다. 문헌에는 오르지 않고, 구전을 통해서 사실과는 다른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 도리야마 시켄(鳥山芝軒) [조선시대 대일외교 용어사전 | 선문대학교]유한(申維翰)으로부터 “서책을 많이 읽어 시가 깊은 맛이 있다[其詩蘊籍有味]”는 칭송을 받았으며, 그의 문하생의 부탁으로 신유한으로부터 그의 유고시집 『지헌음고(芝軒吟稿)』의 서문까지 받았다. 瀨尾用拙齋,『桑韓塤篪』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유형분류인물
단행본(2)
- 천하제일의 문장 -신유한 평전 -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 고려대학교]저자 : 하지영 ... | 출판사 : 글항아리 | 출판일 : 20210531‘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는 신유한·조귀명·이용휴·유한준의 생애를 비평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개인’과 ‘개체’에 대한 사유는 전국시대 양주楊朱 이래로 시대 전환기마다 비슷한 듯 다른 모습으로 강조점을 달리하며 출현해 왔다. 따라서 ‘근대’라는 ...
- 기이한 나의 집 -이용휴 평전-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 고려대학교]저자 : 박동욱 ... | 출판사 : 글항아리 | 출판일 : 20220531‘18세기 개인의 발견’ 시리즈는 신유한·조귀명·이용휴·유한준의 생애를 비평적 시각으로 조명한 것이다. 동아시아에서 ‘개인’과 ‘개체’에 대한 사유는 전국시대 양주楊朱 이래로 시대 전환기마다 비슷한 듯 다른 모습으로 강조점을 달리하며 출현해 왔다. 따라서 ‘근대’라는 ...
고서·고문서(23)
- 1724년 신유한(申維翰) 간찰(簡札)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개인-생활-서간 | 형식분류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현소장처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해유록(海游錄)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개인-생활 | 형식분류고서-일기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청천집(靑泉集) [해외소장 한국전적의 해제 및 디지털화를 통한 공유화 사업(2단계) | 고려대학교]내용분류교육/문화-문학/저술 | 형식분류고서-문집 | 현소장처일본 동양문고(東洋文庫)
- 고금도(古今島)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22062 B022062 고금도 古今島 도서 전라남도 承政院日記 景宗 2年 12月 13日_003 ○下直, 春川府使趙儆, 茂長縣監申維翰, 宜寧縣監趙鳳命, 古今島僉使朴廷豪。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전라남도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黔婁嘗糞 [세종시대 국가경영 문헌의 체계화 사업 -세종을 만든, 세종시대가 만든 문헌DB화 작업 | 여주대학교]三綱行實圖 三綱行實孝子圖 黔婁嘗糞 권채(權採), 설순(偰循) 105 庾黔婁新野人爲孱陵令到縣未旬父易在家遘疾黔婁忽心驚擧身流汗卽日棄官歸家家人悉驚其忽至時易疾始二日醫云欲知差劇但嘗糞甛苦易泄痢黔婁輒取嘗之味轉甛滑心愈憂苦至夕每稽顙北辰求以身代俄聞空中聲曰聘君壽命盡不復可延汝誠禱旣至故得至...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1)
- 조선_1929_167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鮮貿易上に及ぼす影響 33 水足博泉の申維翰 松田甲 37 全羅北道の藥水 57 朝鮮...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연구과제(1)
-
18세기 작가평전: 개인의 발견
한국학 대형 기획 총서사업 | 박경남 | 고려대학교 | 2016 | 국내 | 서울
주제어사전(9)
-
신유한 / 申維翰 [종교·철학/유학]
1681(숙종 7)∼? 조선 후기의 문신·문장가. 증조가 구년, 아버지는 태래, 어머니는 김석현의 딸이다. 태시에게 입양되었다. 1705년(숙종 31) 진사시에 합격하고, 1713년 증광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19년 제술관으로서 통신사 홍치중을 따라 일본에 다
-
신유한설화 / [문학/구비문학]
조선 후기의 시인 신유한에 관한 설화. 미천한 처지에서 태어났으면서 시로 널리 이름을 떨쳤다는 것을 기본내용으로 삼아 흥미로운 삽화를 연속시켰다. 문헌에는 오르지 않고, 구전을 통해서 사실과는 다른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구전에 의하면 신유한은 서자이고 홍길동(洪吉童
-
분충서난록 / 奮忠紓難錄 [종교·철학/유학]
조선 중기의 승려 유정이 지은 임진왜란 때의 사적. 7권. 목판본. 1739년(영조 15) 밀양 표충사에서 개판하였다. 유정의 5대 법손인 남붕이 전하여 오던 유정의 유고를 이 시기에 새로 출간하였다. 원래는 ‘골계도’라는 제명이었던 것을 편자인 신유한이 평석을 가하
-
청천해유문견록 / 靑泉海遊聞見錄 [언론·출판]
저자 신유한(1681-1752). 필사본. 책의 구성은 1책 32장이다. 상, 중, 하 삼권으로 이루어진 <해유록>을 보면, <청천해유문견록> 내용이 <문견잡록>이란 이름으로 부기되어 있다. 다시 말해, <청천해유문견록>이 <해유록>의 일부인데 이 판본에서는 마치 독
-
의고문 / 擬古文 [문학/한문학]
한문 문체의 하나. 당송고문에 반대하여 진한(秦漢) 이전의 문체로 돌아가야 한다는 주장에 의하여 지어진 글의 종류이다. 우리 나라에서 의고문이 성행한 시기는 조선시대 선조 때부터 영·정조까지 약 200년 안팎의 세월이다. 그 대표적인 인물로는 최립(崔笠)과 신유한(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