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여철”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0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98)
사전(30)
- 신여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신여철(1634-1701) 1634(인조 12)-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무신. 경신대출척 때 총융사가 되어 서인편에 서 활동하였으며, 형조판서, 공조판서 등을...이칭별칭 계명(季明)| 지족당(知足堂)| 장무(莊武)
- 신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52(효종 3)∼1698(숙종 24).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공미(公美). 아버지는 부사 여철(如哲)이다. 1669년(현종 10) 사마시에 합격한 뒤 1684년(숙종 10) 상신(相...이칭별칭 공미(公美)
- 서경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일어나자 여러 전투에 참가하여 큰 공을 세워 충무위좌부장(忠武衛左部將)에 임명되었다. 이러한 활약은 정문부(鄭文孚)의 의병활동과 더불어 함경도인의 기개를 크게 떨친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의 행적은 신여철(申汝哲)이 지은『북관지(北關誌)』≫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칭별칭 군보(君輔)
- 신광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1688(숙종 14)∼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무신.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사회(士晦). 할아버지는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 여철(汝哲)이며, 아버지는 사복시첨정(司僕寺僉正) 환(瓛)이다. 20세가 넘어 장신...이칭별칭 사회(士晦)
- 유악남용사건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보내어 비를 피하게 하라는 명령을 내렸지만 이미 허적의 요구로 내주었다는 보고를 받게 되었다. 허적의 방자함에 노한 숙종은 훈련대장을 유혁연(柳赫然)에서 훈척인 총융사 김만기(金萬基)를 거쳐 신여철(申汝哲)로 교체하였다. 그리고 철원에 유배되어 있던 서인...이칭별칭경신환국
고서·고문서(68)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447 B009447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1年 3月 26日_016 ○引見時, 領議政金壽恒所啓, 前者江華留守尹堦上來, 江華割屬軍兵, 自本府主管操鍊之意, 稟定於榻前, 而訓鍊大將申汝哲, 意見差異, 以爲今姑只定其割屬之數, 使軍兵豫知其應入於江都, 而常時則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강도(江都)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9462 B009462 강도 江都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11年 3月 26日_016 ○引見時, 領議政金壽恒所啓, 前者江華留守尹堦上來, 江華割屬軍兵, 自本府主管操鍊之意, 稟定於榻前, 而訓鍊大將申汝哲, 意見差異, 以爲今姑只定其割屬之數, 使軍兵豫知其應入於江都, 而常時則仍...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동래(東萊)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73148 B073148 동래 東萊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肅宗 24年 8月 9日_023 決棍云。 三人以上之會飮, 旣載禁制, 都監軍卒之犯禁, 亦無分揀之法, 則刑曹之捉致犯科者, 法例當然, 而大將申汝哲, 偏聽醉卒之言, 棍打掌禁之人, 誠是前古所未有之擧, 而其回移中, 或稱除下使...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견내량(見乃梁)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 復置右二浦, 有城, 見乃梁․有統營留防, 欲知島․周六十五里, 有古城基址, 破瓦片, 有湖州字云.○此島, 當有宮房折受之事, 將臣申汝哲疏論以爲, 舡索靑藤, 專出於此, 不可折受, 遂寢, 詳見肅宗寶鑑, 蓮花島 ...출처전거萬機要覽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도중(島中) [한국역사상 도서(섬) 관련 고・중세 기초자료 DB 구축과 활용 | 국민대학교]麗太祖時, 島人獻方物。 我太宗朝, 不勝倭患, 遣按撫使, 刷出流民而空其地, 今不可使倭居之。 祖宗疆土, 又何容與人乎?” 申汝哲曰: “臣聞寧海漁人, 島中多大魚, 又有大木大竹如杠, 土且沃饒, 倭若據而有之, 旁近江陵、三陟必受其害。” 上用九萬言, 命還前書。출처전거肅宗實錄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4)
-
신여철 / 申汝哲 [역사/조선시대사]
1634(인조 12)∼1701(숙종 27). 조선 후기의 무신. 할아버지는 경진, 아버지는 준. 현종 초기에 선전관을 지낸 뒤 무과에 급제하였다. 1669년(현종 10) 충청도수군절도사를 거쳐, 1671년 통제사, 이듬해 평안도병마절도사를 지내고, 1675년(숙종 1)
-
동국사기 / 東國史記 [문학/고전산문]
음을 당한 「남이장군설화(南怡將軍說話)」, 장희빈을 몰아내고 숙종을 구하고 민중전을 회궁시켰다는「신여철장군공훈설화(申汝哲將軍功勳說話)」, 숙종과 후비 이씨와의 인연을 이야기해주는 「숙종과 이씨비인연설화(李氏妣因緣說話)」, 억울한 단종의 원혼을 위로해준 영월신관 박영기의
-
관북읍지 / 關北邑誌 [지리/인문지리]
이식(李植)이 착수하여 아들인 이단하(李端夏)가 완성하고, 1693년(숙종 19) 신여철(申汝哲)·이삼석(李三碩)이 증보하고, 1782년(정조 6) 신대겸(申大謙)이 수정하여 간행한 『북관지(北關誌)』가 현전하는 함경도 최초의 읍지로서 『관북읍지』의 저본이 되었다. 함
-
북관지 / 北關誌 [지리/인문지리]
조선후기 무신 신여철이 함경도 십부(十府)의 읍지를 개괄 1693년에 간행한 지방지. 목판본. 1784년에는 신여철의 후손 신대겸(申大謙)에 의하여 중간되었다. 내용 구성은 함경도 십부(十府)의 읍지를 개괄한 것으로 상권에 경성(鏡城)·길주(吉州)·명천(明川)·부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