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식화폐발행장정”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8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
사전(16)
- 신식화폐발행장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던 5냥 은화 등을 근대식 화폐로 사용하는 방안과, 동시에 자국 화폐를 조선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리하여 일본정부는 은본위 화폐제도를 골자로 하는 「신식화폐발행장정」의 공포‧시행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즉, 이 장정은 1892년의 「신식화폐조...
- 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우리 나라의 보조적인 화폐 단위. [내용] 푼이 보조적인 화폐 단위로 등장하게 된 것은 1894년(고종 31)에 발포된 「신식화폐발행장정(新式貨幣發行章程)」에서이다. 이 장정에 의하여 우리나라는 은본위제도를 채택하게 되었는데, 이때 화폐...
- 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정의] 조선 말기에 사용되었던 화폐단위. [내용] 1894년(고종 31) 7월 11일에 공포된 <신식화폐발행장정 新式貨幣發行章程>의 제7조에 신식화폐를 많이 주조하기에 앞서 본국화폐와 동질 (同質)‧동량(同量)‧동가(同價)의 외국화폐를 국내에서...
- 장정존안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칙(軍國機務處議員臨時課仕規則)을 비롯해, 관제로 궁내부관제(宮內府官制)‧의정부관제(議政府官制)와 내무‧외무‧탁지‧군무‧법무‧농상무‧학무‧공무아문관제 등이 있었다. 아울러 신식화폐발행장정(新式貨幣發行章程)‧전고국조례(銓考局條例)‧선거조례(選擧條例)‧회계심사국직장(...이칭별칭경장장정존안
- 신식화폐조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조례」마저 폐지되었다. 이로써 결국 신식화폐의 주조‧통용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1894년 「신식화폐발행장정(新式貨幣發行章程)」이 공포‧시행될 때까지 기다려야만 하였다. →신식화폐발행장정 『고종실록(高宗實錄)』 ...
주제어사전(2)
-
신식화폐발행장정 / 新式貨幣發行章程 [경제·산업/경제]
1894년 7월 은화를 본위화폐로 하고, 동화를 보조화폐로 제정, 공포된 화폐제도. 이 장정은 7개조로 되어 있으며, 1892년의 '신식화폐조례'와는 달리 일본의 강력한 간섭 밑에서 공포, 시행되었다. 제7조의 내용에는 '신식화폐가 다량으로 주조될 때까지는 잠시 외국화
-
백동화 / 白銅貨 [경제·산업/경제]
개항 이후 급증하는 재정 수요와 재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892년부터 1904년까지 주조, 유통시킨 화폐. 1894년의 '신식화폐발행장정'에 의한 은본위제 시행과 1901년의 '화폐조례'에 의한 금본위제의 채택에 의해 보조 화폐로 계속 사용되었다. 그런데 당시 시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