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식” 에 대한 검색결과 1,625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577)

사전(535)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551(명종 6)∼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숙지(叔止), 호는 용졸재(用拙齋). 신숙주(申叔舟)의 5대손이며, 광윤(光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서(漵)이고, 아버지는 현령을 지낸 중...
    이칭별칭 숙지(叔止)| 용졸재(用拙齋)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소식. 令胤西行後 連有否, 권진응(權震應), 23-237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정신과 기억. 鎖亡 人事已絶, 윤증(尹拯), 21(禮)-70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한국학영문용어용례정보 구축 연구 | 한국학중앙연구원]
    새로운 방식이나 형식.
    정의새로운 방식이나 형식.[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문광부표기sinsik | MR표기sinsik |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영문 용어 용례 연구팀(연구책임자 : 한형조 교수)
  • 별기군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881년(고종 18)에 설치된 군대. [개설] 1876년 강화도 조약을 체결한 이래 제국주의 세력의 침투는 이전보다 심해졌다. 조선 정부는 이에 대비하기 위해 부국강병책을 모색하면서 신문명과 근대적인 기술...
    이칭별칭왜별기|별기대

단행본(2)

  • 서당, 전통과 근대의 갈림길에서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 서울대학교]
    저자 : 송찬섭 ... | 출판사 : 서해문집 | 출판일 : 20180501
    유형단행본
    이 책은 조선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초등교육과 관련해 서당의 흐름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조선 후기에는 서당의 형태가 다양해서 도학적 서당, 과거 대비형 서당 등 수준이 높은 서당이 있는가 하면, 초보자를 중심으로 하는 낮은 단계의 서당, 그리고 때로 상하층을...
  • 소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삶 [한국 근현대 학교 풍경과 학생의 일상 | 서울대학교]
    저자 : 김태웅 ... | 출판사 : 서해문집 | 출판일 : 20171205
    유형단행본
    이 책은 1876년 국교 확대 직후부터 1919년 3‧1운동까지 근대 신식학교의 탄생과 학생의 일상생활을 상호 연계해 근대교육의 목표, 방향과 내용, 성격을 역사적인 맥락 속에서 서술했다. 특히 학생이 맞닥뜨린 시대적 과제와 교육제도의 변화와 함께 학교 안팎의 생활에서...

논문(3)

  • 韩国政府公开申请制度对我国的启示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吴东镐(延邊大學) | 게재정보 : 동강학간 , 게재일 : 2011.10
    조선정부정보공개신청제도가 우리나라에 대한 계시 (오동호) 본 논문은 한국의 정보공개법이 비교적 높은 정보개방수준이라고 논하면서 이와 같은 법률은 시민의 알 권리를 실현하는 데 유리하며 정부의 책임감 및 업무 투명도를 높이는데 유리함을 논증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유형논문
  • 韩国《个人保护法》的主要特色及对中国的立法启示 [연변대학 | 延邊大學 (Yanbian University)]
    저자 : 康贞花(延邊大學) | 게재정보 : 연변대학학보 45권 4호, 게재일 : 2012.8
    한국개인정보보호법의 주요특점 및 중국 입법에 대한 계시 (강정화) 본 논문은 한국정부가 8년간의 끈질긴 입법과정을 거쳐 2011년 3월 29일 공포한 개인정보보호법을 분석한 글이다. 한국 개인정보보호법은 개인에 대한 정보보호 기본원칙, 개인정보보호 기준, 정보주체의...
    유형논문
  • 저자 : Moon, Seungsook | 게재정보 : Security Dialogue 

고서·고문서(625)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박 남자 경상북도 예천군 요녕성(辽宁省) 개원시(开原市) 금구자진서이태자촌 2조 2 2 , 유행곡, 카셑...
    대표표제어신식 | 성씨
  • 00126 잡가 조선속곡집 12004 1914 이상준 조선복음인쇄소 이상준 신창균 大洋 [12] [一、] 골이 젹은 물 여러번 合야 太平洋 大西洋이 되엇고나 아하아 에헤에에헤이 에헤야 大洋이 되엿네 [二、] 世上에 큰 물은...
    구분잡가 | 편저자이상준
  • 00129 잡가 조선속곡집 12004 1914 이상준 조선복음인쇄소 이상준 신창균 鴈 [15] [一、] 달은 밝구요 흥 명랑한 밤에 흥 기럭들은 왕하누나 에라지타 흥 기럭의 소리라 흥 [二、] 울면서 가는 흥 기럭 소리에
    구분잡가 | 편저자이상준
  • 00137 잡가 조선속곡집 12004 1914 이상준 조선복음인쇄소 이상준 신창균 春來 [23] [一、] 봄이 왓네 봄이 왓네 지나간 봄이 다시 왓네 에라 조쿠나  조쿠나 各가지 花草가  조쿠나 [二、] 이 山 져 山 紅綠들...
    구분잡가 | 편저자이상준
  • 00122 잡가 조선속곡집 12004 1914 이상준 조선복음인쇄소 이상준 신창균 勸學歌 [8] [一、] 時計(시계)는 가랴고  하는대 이를 虛送(허송)말고 힘서 工夫를 셰 앗아라 말아라 놀지를 말아라 靑年(쳥년)의
    구분잡가 | 편저자이상준

구술자료(9)

  •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구연상황 없음*
    조사일시1982-07-21 | 조사장소경상북도 봉화군 춘양면 | 제보자미상
  • 베틀 노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할머니 한 분이 제보자에게 베틀 노래를 불러 보라고 권하니, 신식 베틀 노래를 부르겠다고 했다. 전통적인 베틀 노래는 사설이 주가되어 읊조리듯이 구연되는데 이 노래는 잡가와 같이 섬세한 가락이 돋보였다.*
    조사일시1984-02-22 | 조사장소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 제보자채숙자
  • 이은주 대담조사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다. 2) 음질 상 이은주 이윤란 원경태 최정희 각시조 평시조 긴잡가 수심가 노랫가락 창부타령 긴아리랑 아리랑 한강수타령 도라지타령 자진방아타령 민요;잡가; 1997-08-23 미상 32:21
    자료구분상세대담조사자료 | 자료유형민요;잡가;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이은주
  • 혼 준다.] 어, 혼 준다. 그러니까 니가 말 아니 들으면 응, 우리말 하면 벌주는 거 그 말이죠.  하다가도 넘어가고 신시 넘어가도 넘어가고 그러죠. 그래 그다음에부턴  “산소 아이 가니? 내일은 청명인데.”  바로 조선이면  “산소 아이가니?” 하면,  “어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서청록 [중국(한국계), 남, 1962년생, 이주노동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물고기 방생한 어부와 욕심 많은 아내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래 풀로 만든 집이 기와집. 기와로 만든 집이 이제 나타났어요. 이제 겨울에도 춥지 않고, 여름에도 덥지 않고 이렇게 행복하게 살 수 있는데 또 어느 날 그 할머니가 그, “빨리 바다에 가서 그 물고기한테 얘기 해. 이제 우리가 자기 일 안하고 빨리 그 물고기
    국가중국(한국계) | 제보자권화 [중국(한국계), 여, 1972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기초학문(9)

  • 흉내내기와 차이 만들기 - 민지 지식인을 위한 유령학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강내희, 게재일 : 2001
    10073 강내희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문화과학사 2001 흉내내기와 차이 만들기 - 민지 지식인을 위한 유령학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WOM依赖性及其影响因素的实证研究——以我国为例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동진, 게재일 : 2005
    11178 이동진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管理学报 2005 WOM依赖性及其影响因素的实证研究——以我国为例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DataId=
    유형논문 | 게재일2005
  • 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서사원리로서의 젠더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복순, 게재일 : 2013
    44699 김복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민지 시기 반미소설의 계보와 서사원리로서의 젠더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民地 시기 反美小說의 系譜와 敍事原理로서의 젠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김복순, 게재일 : 2013
    44659 김복순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3 民地 시기 反美小說의 系譜와 敍事原理로서의 젠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search/d
    유형논문 | 게재일2013
  • 불어권 아프리카 영화에 나타난 민주의 비판 : 우스만 셈벤의 󰡔할라(Xala)󰡕 연구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홍미선, 게재일 : 2010
    36178 홍미선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국제지역연구센터 2010 불어권 아프리카 영화에 나타난 민주의 비판 : 우스만 셈벤의 󰡔할라(Xala)󰡕 연구 https://www.krm.or.
    유형논문 | 게재일2010

신문·잡지(383)

  • 指示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평리원 슈셕검가 각디방 판쇼 검에게 야 훈령과 지령을 이 판장과 갓치은 법부에셔 로뎡 격식이니 각항공문 왕에  격식을 의지면 어려온 폐단이 업고 디방검가 평리원 판의게 야 일의 관계배 업슨즉  공문왕가 업다고 법부에셔 츙북검...
    게재일1907년 10월 18일 | 기사분류잡보
  • 官誥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졍부에셔 친칙쥬판임관의 관고지[칙지와쳡지]식양을 로졔졍야 반포얏거니와 그관고 지난 탁지부 린쇄국에셔 졔죠고 졍부에셔 각부부원으로 통쳡야 본년일월일일부터 실시난 관고지 소용이잇난마다 졍부에 쳥구야다가 쓰게라 얏다더라
    게재일1907년 1월 7일 | 기사분류잡보
  • 裁縫機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今番에 우리 商會에 각죵 봉긔계가 만이 나왓오니 願買 僉君子 인쳔항함릉가양으로 차오시오 仁港咸陵加洋行 告白
    게재일1900년 4월 28일 | 기사분류광고
  • 裁縫機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今番에 우리 商會에 각죵 봉긔계가 만이나왓오니 願買 僉君子 인쳔항함릉가양으로 챠오시오 仁港咸陵加洋行 告白
    게재일1900년 4월 25일 | 기사분류광고
  • 裁縫機械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今番에 우리 商會에 각죵 봉긔계가 만이 나왓오니 願買 僉君子 인쳔항함릉가양으로 차오시오 仁港咸陵加洋行 告白
    게재일1900년 4월 27일 | 기사분류광고

기타자료(11)

  • 주진식;朱;대원진식;大原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89542 남한 전북 전주고등보통학교 2-41 졸업대장(1-22회) n.r. 138면 주진식;朱;대원진식;大原 전북 익산군 三箕面 용연里 2701 제22회 (5년제, 125명) 1...
    학교소재지역전북 | 학교명전주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7. From SR MBR UNCMAC to CINCFE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무기 구비 확인 보고. 관련 정보에 대한 대응 필요. United Nations, UN,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United Nations Command Military Armistice Commission, UNCM...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SR MBR UNCMAC | 수신자CINCFE
  • 22. Construction of two open-wire circuits for the ROK Army : 비망록 / L. S. Waters Lt Col AGC Adjutant General 발신 ; Commanding General Eighth United States Army Korea 수신 [한국의 건국과 전쟁 및 전후 재건 관련 외교문서 DB화 | 숙명여자대학교]
    숙명여자대학교 나선형 전기 회로 2개 설치에 관한 허가를 요청하는 내용의 전보임. 현재 광주에서 일어나고 있는 수많은 활동들과 더불어 통신 시설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음. 이에 현 정보 통신 기기들에 몰린 정보량이 지나치게 많음. 또한, 모든 전신 중...
    국내소장처국립중앙도서관 | 발신자L.S Waters Lt Col AGC Adjutant General | 수신자Commanding General Eighth United States Army
  • 당 현종이 경덕왕에게 보낸 五言十韻詩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景緯 萬象含中樞 玉帛遍天下 梯航歸上都 緬懷阻青陸 歳月勤黄圖 漫漫窮地際 蒼蒼連海隅 興言名義國 豈謂山河殊 使去傳風教 人來習典謩 衣冠知奉禮 忠尊儒 誠矣天其鑑 賢哉徳不孤 擁旄同作牧 厚貺比生蒭 益重青青志 風霜恒不渝 (帝幸蜀時 新羅能不逺千里 朝聘行在所 故嘉其至誠 賜之以詩 其...
    대표표제어당 현종이 경덕왕에게 보낸 五言十韻詩 | 주제분류외교문서
  • 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春二月) 王聞玄宗在蜀 遣使入唐 泝江至成都朝貢 玄宗御製御書五言十韻詩 賜王曰 嘉新羅王歲修朝貢 克踐禮樂名義 賜詩一首 四維分景緯 萬象含中樞 玉帛遍天下 梯航歸上都 緬懷阻靑陸 歲月勤黃圖 漫漫窮地際 蒼蒼連海隅 興言名義國 豈謂山河殊 使去傳風敎 人來習典謨 衣冠知奉禮 忠尊儒 誠矣天...
    대표표제어신라가 당에 사신을 보내어 조공하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756년(丙申/신라 경덕왕 15/발해 문왕 20 大興 20/唐 天寶 15, 至德 1/日本 天平勝寶 8)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47)

  • / [종교·철학/유학]

    1551(명종 6)∼1623(인조 1). 조선 중기의 문신. 신숙주의 5대손, 광윤 증손, 할아버지는 서, 아버지는 중엄, 어머니는 유엄의 딸이다. 이황의 문인이다. 1576년(선조 9)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충청도관찰사, 동지중추부사, 강원도관차사 등을 역임

  • 화폐조례 / 貨幣條例 [경제·산업/경제]

    1892년에 은화(銀貨)를 본위화로 하고 동화(銅貨)를 보조화로 채택한 근대식 화폐제도. '전화통용제한법(錢貨通用制限法)' 및 벌칙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시 일본은 1원(圓) 은화를 본위로 하고 있는 데 비해, 조선은 5냥·1냥 은화를 본위로 하고

  • 화폐발행장정 / 貨幣發行章程 [경제·산업/경제]

    1894년 7월 은화를 본위화폐로 하고, 동화를 보조화폐로 제정, 공포된 화폐제도. 이 장정은 7개조로 되어 있으며, 1892년의 '화폐조례'와는 달리 일본의 강력한 간섭 밑에서 공포, 시행되었다. 제7조의 내용에는 '화폐가 다량으로 주조될 때까지는 잠시 외국

  • 가례언해 / 家禮諺解 [언론·출판/출판]

    1632년(인조 10년) ()이 ≪가례≫를 언해한 책. 10권 4책. 목판본. 언해의 방식을 설명한 범례, 가례도언해, 가례서언해, 본문, 한문으로 된 발문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강원도 원주에서 관찰사로 있던 신득연(申得淵)이 간행하였다. 신득연은

  • 안무사 / 安撫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지방에 특사로 파견하던 관직. 1595년(선조 28) 임진왜란이 소강상태에 있을 때 왜적이 물러간 남부지방의 민심수습을 위하여 비변사에서 안무사의 파견을 건의하여 집의 ()을 경상도안무어사로 임명하여 보냈다. 1728년(영조 4) 무신란을 평정한 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