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신숭겸” 에 대한 검색결과 총 14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38)
사전(95)
- 申崇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3307 申崇謙 인물 生而長大 行蹟 D_14_03_10 대동운부군옥 14권 3장 1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4권 3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申崇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2294 申崇謙 인물 勇猛, 爲人, 長大, 征伐 太祖 麗本史 D_12_02_20 대동운부군옥 12권 2장 20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2권 2장 2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申崇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14_D_1203 申崇謙 인물 五宜褒, 天命 行蹟 D_05_04_38 대동운부군옥 5권 4장 38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5권 4장 38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申崇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724 申崇謙 남자 人名, 武勇, 開國, 功臣, 御車, 配享 谷城, 公山, 桐藪 能山, 裴玄慶, 王太祖, 太祖, 甄萱, 萱, 崇謙, 太祖, 太祖, 壯節 D_08_04_42 대동운부군옥 8권 4장 42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8권 4장 42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申崇謙 [조선시대 유서(類書) 기반 지식 DB 및 지식지도 구축 | 고려대학교]TD_L7_D_0805 申崇謙 남자 射鴈第幾, 出獵 平州 王太祖, 太祖, 太祖, 崇謙 勝覽 D_09_05_06 대동운부군옥 9권 5장 6절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9권 5장 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단행본(2)
- 강원지역 고문서, 고서 자료집성 1 (호적류 1)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간행사업 | 강원대학교]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교수), 유재춘(강원대학교 교수), 엄찬호(강원대학교 HK연구교수), ... | 출판사 : 도서출판 산책 | 출판일 : 2010.02.26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천 평산신씨 문중 장절공신숭겸기념관 소장 자료 강원대학교 중앙박물관 소장 자료 원주 무릉박물관 소장 자료 제3장 수록자료 목록
- 강원지역 고문서, 고서 자료집성 3 (소지류) [강원지역 고서, 고문서의 소장처 조사 및 사료집 간행사업 | 강원대학교]저자 : 손승철(강원대학교 교수), 유재춘(강원대학교 교수), 엄찬호(강원대학교 HK연구교수), ... | 출판사 : 도서출판 산책 | 출판일 : 2013.04.05분야문화‧생활 | 유형단행본춘천 신숭겸기념관 소장 자료 춘천 김현식씨댁 소장 자료 춘천 염귀림씨댁 소장 자료 춘천 유용태씨댁 소장 자료 평창 우경태씨댁 소장 자료 횡성 전성택씨댁 소장 자료
고서·고문서(34)
- 1796년 신숭겸 등 상유사선액시 치제문(申崇謙等像遺祠宣額時致祭文) [한국학자료센터 중앙허브 구축(1단계) | 한국학중앙연구원]내용분류종교/풍속-관혼상제-제문 | 형식분류고문서-시문류-제문
- 조선시대 역학서:1765_박통사신석언해(3)_將軍 裵玄慶 洪儒 卜智謙 申崇謙 등 네 사이 이셔 [조선시대 역학서의 종합적 연구-훈민정음으로 기록된 조선시대 외국어 학습서의 지식정보화- | 京都大學 (Kyoto University)]박통사신석언해 353 1765_박통사신석언해(3) 將軍 裵玄慶 洪儒 卜智謙 申崇謙 등 네 사이 이셔 1765박통사신석언해(3)_057b.jpg 將軍 裵玄慶 洪儒 卜智謙 申崇謙 등 네 사이 이셔 太祖를 향여 의논여 니되 弓王이 이러시 無道니 願컨대 公은 ...편명1765_박통사신석언해(3) | 자료문의鶴見大學(Tsurumi University)팀(연구책임자:김문경 교수)
- 初等大東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初等大東歷史 卷一 初等大東歷史_卷一 第十六 申崇謙 박정동 1909 동문사 국회도서관 개화기 사찬독본 한국어 현대띄어쓰기를 적용하였음 第十六 申崇謙 申崇謙은 高麗開國功臣이라 甄萱이 後百濟王이라 自稱ᄒᆞ고 新羅의 都城을 陷ᄒᆞ야 羅王을 弑...서명初等大東歷史 | 자료명第十六 申崇謙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邀擊ᄒᆞ다가 萱兵에게 被圍ᄒᆞᆷ이 甚急ᄒᆞ거ᄂᆞᆯ 大將,申崇謙이 貌가 太祖와 類ᄒᆞᆫ지라 太祖ᄅᆞᆯ 林藪中에 匿ᄒᆞ고 其車ᄅᆞᆯ 代乘ᄒᆞ고 將軍,金樂으로 더부러 力戰ᄒᆞ다가 死ᄒᆞ니 太祖가 此時ᄅᆞᆯ 乘ᄒᆞ야 得脫ᄒᆞ다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二篇 中古 第四章 五國 第八節 貌類,代王
- 初等大韓歷史 [근대 교과서[讀本類] 해제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 성신여자대학교]隆의 子ㅣ라 年이 二十에 泰封,弓裔,의 將이 되야 諸賊을 討平ᄒᆞᆷ으로 威德이 日盛ᄒᆞᆷ애 泰封,將,洪儒裵玄慶,申崇謙,의 等이 推戴ᄒᆞ야 大位에 卽ᄒᆞ다서명初等大韓歷史 | 자료명第三篇 近古 第一章 高麗 第一節 推戴,卽位
구술자료(3)
- 장절공 신숭겸 전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신흥준씨 사랑에서 나와서 저녁을 먹으러 오다가 신흥준씨 아들인 신현규씨로부터 마당에서 들은 이야기다. 이것은 평산신씨 시조건설이기도 하다.*조사일시1979-08-13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금사면 | 제보자신현규
- 개국공신(開國功臣) 신숭겸(申崇謙)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평산신씨[[平山申氏]] 시조 할아버지의 이야기를 청하자 바로 구연했다.조사일시2009. 2. 9(월) | 조사장소경기도 가평군 가평읍 달전1리 54-2번지 마을회관 | 제보자신구순
- 봉분이 세 개인 신숭겸의 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앞의 이야기 후에 바로 다음을 구연하였다.조사일시2010년 7월 10일 (토) | 조사장소임실군 신평면 용암리 94-1번지 북창마을 제보자 자택 | 제보자신상철
기초학문(1)
- 신숭겸의 곡성 성황신 추앙과 덕양사 배향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저자 : 변동명, 게재일 : 200437723 변동명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사연구회 2004 신숭겸의 곡성 성황신 추앙과 덕양사 배향 https://www.krm.or.kr/krmts/search/detailView.html?dbGubun=SD&ca유형논문 | 게재일2004
신문·잡지(1)
- 가톨릭소년_1969_10_04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신숭겸장군 이상노 63 깔깔 수사님3 67 크동이 이인수 68 예수님의 세례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9
멀티미디어(1)
- 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 정비사업부지내 유적 (20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보고서-23. 대구 신숭겸장군유적 정비부지내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도판자료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 정비사업부지내 유적 (20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보고서-23. 대구 신숭겸장군유적 정비부지내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bb6-0109_#1 유구 신숭겸장군유적_1Tr 2015-01-28_0.7632257_신숭겸장군유적_1T제목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 정비사업부지내 유적 (20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보고서-23. 대구 신숭겸장군유적 정비부지내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 자료문의숙명여자대학교(연구책임자 : 박종진 교수)
기타자료(1)
- 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 정비사업부지내 유적 (20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보고서-23. 대구 신숭겸장군유적 정비부지내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한국중세고고학 기초자료 데이터베이스 구축-한국중세역사학의 고고학 자료 이용 활성화- | 숙명여자대학교]bb6-0109 유구 2015-01-28_0.2737848_20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보고서(23. 대구 신숭겸장군유적 정비부지내 유적 문화재 시굴조사) 표지.jpg 대구 신숭겸 장군 유적 정비사업부지내 유적 (2004년도 문화재 시굴조사 보고서-23.발행연도2005/11 | 발굴기관영남문화재연구원 | 발굴지역대전광역시
주제어사전(5)
-
신숭겸 / 申崇謙 [종교·철학/유학]
?∼927(태조 10). 고려 전기의 무장. 몸집이 장대하고 무용이 뛰어나 궁예 말년에 홍유·배현경·복지겸과 함께 혁명을 일으켜 궁예를 몰아내고 왕건을 추대해 개국일등공신에 봉해졌다. 신숭겸의 행적을 기록한『평산신씨장절공유사』에는 1120년 예종이 그와 김락을 추도하
-
도포서원 / 道浦書院 [교육]
강원도 춘천시 서면 신매리에 있었던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숭겸(申崇謙)·신흠(申欽)·김경직(金敬直)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선현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 오던 중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
동양서원 / 東陽書院 [교육/교육]
황해도 평산군(현재 황해남도 봉천군) 마산면 당후리에 있는 서원. 1650년(효종 1)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숭겸(申崇謙)과 이색(李穡)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687년(숙종 13)에 ‘동양(東陽)’이라고 사액되어 선현배향과 지방교육
-
각양수교등록 / 各樣受敎謄錄 [역사/조선시대사]
내용과 군역·잡역의 면제요구가 수록되어 있다.구체적인 선현·공신은 경순왕·문익점(文益漸)·신숭겸(申崇謙)·장진필(張眞弼)·우탁(禹卓)·박현(朴鉉)·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간언신(簡彦信)·전이갑(全以甲)·우현보(禹玄寶)·강민첨(姜民瞻)·이색(李穡)·최충(崔冲)·공자
-
도이장가 / 悼二將歌 [문학/고전시가]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1120년(예종 15) 예종이 지은 향찰표기(鄕札表記)의 가요. 신숭겸(申崇謙)의 행적을 기록한 문헌 『평산신씨장절공유사 平山申氏壯節公遺事』에 그 제작동기에 관한 소상한 기록과 함께 작품이 전한다. 창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