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수이” 에 대한 검색결과 20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03)

사전(10)

  • 황고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845년(헌종 11) 후손들이 편집‧간행하였다. 권두에 홍직필(洪直弼)의 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8권 3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와 국...
  • 신숙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이틀 묵음. 旣還之後 子峻及以志聞 追到宿歸云, 김영조(金榮祖), 44-44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근대신어 : 공무국(工務局)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3030 공무국 가항 工務局 工務局 工務局掌電工業之事 공무국에서 전신수리공업의 일을 맡아 처리하고 漢城周報 58 博文局 1887 4 11 10 행정
    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행정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구연서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그 뒤 성팽년(成彭年)과 1808년에 ()를 추가 배향하여, 선현 배향과 지방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였다.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훼철되어 아직 복원되지 않고 있으며, 서원 터에 사적비와 신권을 위한 산고수장비(山高水長碑)만 남아 있다. ...
  • 근대신어 : 공업(工業)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03215 공업 가항 工業 工業 工務局掌電工業之事 공무국에서 전신수리공업의 일을 맡아 처리하고 漢城周報 58 博文局 1887 4 11 10 동음어 工業
    출전漢城周報[博文局] | 계통분류 [정치경제] 상공업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189)

  • 物格而后知至,知至而后意誠,意誠而后心正,心正而后身修,后家齊,家齊而后國治,國治而后天下平。【后,皆上聲】 [여유당전서 정본 사업 | 다산학술문화재단]
    ITKC_MP_0597A_0270 大學公議 ITKC_MP_0597A_0270_020_0040 物格而后知至,知至而后意誠,意誠而后心正,心正而后身修,后家齊,家齊而后國治,國治而后天下平。【后,皆上聲】 정약용(丁若鏞) 雜著類|論說類 여유당전서 定本...
    권차명大學公議 | 문체雜著類|論說類 | 저자정약용(丁若鏞, 1762 ~ 1836) | 자료문의다산학술문화재단(http://www.tasan.or.kr )
  • 59212 B059212 도배 島配 도서 일반 承政院日記 英祖 17年 12月 2日_013 職。 上曰, 勿辭。 榮國曰, 掌令柳萬樞, 正言任璞, 再啓煩瀆, 退待勿論。 上曰, 知道。 諸此退出。 判付內, 近來殺人, 俱由使酒, 其在杜弊之道, 豈可參酌? 但渠之招內觀之良置,...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일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신학휴가 신관휴에게 보낸 간찰 [대전 충청지역의 고문서 수집, 정리 및 연구(2단계) | 충남대학교]
    左司馬 謝書 申都事宅 回納 韓山 只聞舁疾而歸, 悵慮不些, 卽於轉褫, 得承 惠狀、 慰喜無容, 況審比來, 愼體漸臻勿藥, 眷節均迪, 何等仰賀, 斗大族從, 依劣如前, 而別他開門之憂, 去益難耐中, 大政又歸, 無味 自歎已, 惟幸家兒 上來團欒耳, 來月庭 科時, 或可蘇完而枉駕...
    분야문학 | 유형문헌
  • 33659 B033659 남산 南山 산악 全羅道邑誌 茂長縣邑誌 茂長縣 坊里 東托谷面月星洞里裨雲洞里盤巖里古心元里臺巖里西村東村星溪里每士郞里防築里心性洞里竹山里生村江南里南山里新基里興龍里德山里松亭里攀松亭里新垈里石所里泉利佛堂起出佛堂安養佛堂修善庵佛堂山直村自官門距十五里己卯式編...
    출처전거全羅道邑誌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所稱冤。 而且纛島, 自古內農圃所有, 而又屬太僕, 不無□□□內農圃□□□進□□□草草了當, 本寺官員, 與農圃中官, 眼同依前打量, 把數□□更爲打量。 纛島屬之農圃□□久近, 亦爲詳問, 更稟。 諸次退出。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지역분류서울특별시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신문·잡지(3)

  • 寒陽集 巨明 撰 142 全州郡に於ける深耕競犁會 144 載と牛城水利の起工式 145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7
  • 텬하에 버리물건이 업일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삼분일이 분일은 될터이니 오륙만명이 일월에 한커리식만신어도 오륙만커리 될터인 그것은다 신다가여지면 버리것이니 여진 길가에널니면 도로가 부졍만안이라 위상에 비상 독가 될지라 대뎌 인쇄국에셔 죵죵연구시험야 버리물건을가지고 지 만드되 그품...
    게재일1907년 4월 17일 | 기사분류논설
  • 조선사상통신_1929_38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尹洪烈 147 普通學校規則改正 148 載一騷ぎ 149 高敝依然對峙 ...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기타자료(1)

  • 이배영;李培永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2025 남한 경성 보성고등보통학교 1-29 卒業記念寫眞帖 第9回 1931―03 1 임의면 1. 졸업생 이배영;李培永 충남 아산군 陰峰面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보성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6)

  • / [종교·철학/유학]

    1688∼1768 (숙종 14∼영조 44). 는 글을 가르치면 금방 익혔을 정도로 영특하였고, 4∼5세 때에는 부모가 병에 걸리자 밤낮을 떠나지 않고 간호하였을 정도로 효자였다고 한다. 과거에 나아가지 않고 이재를 찾아가 학문을 배우는 한편, 관직에 나아가기를

  • 구연서원 / 龜淵書院 [교육/교육]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대정리에 있었던 서원. 1694년(숙종 20)에 지방유림이 신권(愼權)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신권이 제자를 가르치던 구주서당(龜州書堂) 자리에 서원을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그 뒤 성팽년(成彭年)과 1808년에 ()를

  • 용마기 / 龍馬旗 [정치·법제]

    국왕의 대가 의장, 법가의장, 소가 의장에 쓰이는 깃발. 흰색 바탕에 용마 및 운기를 그리고, 청ㆍ적ㆍ황ㆍ백 네가지 색의 화염각을 단다. 용마는 몸체는 말과 같고 다리는 용과 같은 모양의 다. 세종대에는 동궁의장에도 포함되었으나 <국조오례의> 단계에서는 제외되

  • 녹봉문집 / 鹿峯文集 [종교·철학/유학]

    각 1편, 기 2편, 유사 1편, 제문 10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에는 「비(扉)」·「송(松)」·「우(雨)」·「산(山)」·「도화(桃花)」 등 서정성이 짙은 것이 많다. 스승인 ()를 비롯해 송명흠(宋明欽) 등의 시에 대한 차운시(次韻詩)를 포함하여 장편

  • 황고집 / 黃皐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학자 시문집. 1845년(헌종 11) 후손들이 편집·간행. 권두에 홍직필의 서문이 있다. 8권 3책. 목활자본.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와 국립중앙도서관 등에 있다. 권1·2에 시 142수, 권3에 서 13편, 권4에 서 24편, 권5에 서 3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