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성하” 에 대한 검색결과 176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69)

사전(47)

  • 화암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후기의 문신 ()의 시집. [내용] 4권 2책. 목활자본. 1749년(영조 25) 둘째아들 경(暻)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경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장서각 도서 등에 있다. 권1∼4에 시...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생몰년 미상.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성보(成甫), 호는 화암(和庵). 준(埈)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목사 여식(汝拭)이고, 아버지는 영의정 완(玩)이며, 어머니는 관찰사 조원기(趙遠期)의 딸이다. ...
    이칭별칭 성보(成甫)| 화암(和庵)
  • 신방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86(숙종 12)∼1736(영조 12). 조선 후기의 문신. [개설]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명원(明遠), 호는 둔암(屯菴). 목사 여식(汝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영의정 완(琓)이고, 아버지는 장성도호부사 성하(聖夏)이며, 어...
    이칭별칭 명원(明遠)| 둔암(鈍庵)
  • 근대신어 : 직립동물(直立動物)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51896 직립동물 자항 直立動物 直立動物을 絶對다 할지라도 직립동물을 절대다 할지라도 청춘 15 1918 9 30 개화기 국어 어휘자료집4, 98면 자연과학
    출전청춘 | 계통분류 [과학지식] 자연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 근대신어 : 불가침(不可侵) [한국 근대 신어의 성립과 변천에 대한 정보의 체계적 구축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4437 불가침 바항 不可侵 君主神聖니不可侵이라 군주는 니 불가침이라 兪致衡 憲法 미상 1907 20 不可侵: 小林花眠, 新しき用語の泉, 帝國實業學會, 1922, 1120면
    출전憲法[미상] | 계통분류 [과학지식] 사회과학 | 자료문의방송통신대학교(연구책임자 : 송찬섭 교수)

고서·고문서(21)

  • 고 참된 사람 영원한 승리를 얻으리라 용사와 같이 담대하고 장미와 같이 아름답다 동방의 화촉 광명한데 행복의 신이 하강하서서 인간의 모든 복된 것을 한없이 나려 주시리라 행복의 문 열리여서 행복을 누릴 이 드러온다 고 참된 사람 영원한 승리를 얻으리라 영...
    구분창가 | 편저자曺活湧
  • 38603 B038603 다대포 多大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肅宗 32年 3月 17日_026 ○副護軍沈極, 副司直柳述, 副司果林象德, 副司直趙泰耉。 以宋奎濂爲知中樞府事, 光善君漳爲都摠管, 尹摛爲大丘營將, 閔泳爲五衛將, 李行昌爲忠翊衛將, 爲玉江萬戶, 蔡以章爲兼司僕將...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 아름답다 { } 인간 모든 복된 것을 한없이 나려 주시리라 행복의 문 열리여서 행복을 누릴 이 드러온다 고 □□ 사랑 영원한 승리를 얻으리라 영원한 사랑
    구분창가 | 편저자鄭上祿
  • 소리 높여 소리 높여 부르세 노래 소리 높이 기쁜 노래 부르세 저 게수나무 얼킨 가지 아름답도다 그 아름다운 향기 기가 한없도다 함께 노래 부르자 다 같이 부르세 기쁜 노래 부르세 기쁜 노래 부르세 즐거운 노래 부르세 소리를 같이 하야 질병과 고통 모도 다 제어하...
    구분창가 | 편저자曺活湧
  • 큰 도리이는 고. 평양신사는 아마테라스 오미카미와 구니타마 다이진 두 신에게 제사드리는 신사이다. 다이쇼 5년에 창건하였으며 사원은 노송이 울창하게 우거진 기 그지없는 곳이다. [고적의 평양]. 137.2mm×87.2mm
    자료명평양신사 | 발행처繪畵硏究會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구술자료(5)

  • 베트남의 식용 금기 동물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혹시, 게 여기는 동물들이 있어요?] ‘그 동물 죽이면 안 좋은 일이 생긴다.’ 이거죠? [조사자: 네네.] 있어요. 고양이? 고양이 아니면 뱀. [조사자: 고양이나 뱀?] 네. 뱀을 죽여 버리고 그냥 죽여 버리는 게 아니라 잡아먹잖아요. 그러면 안 좋은 일이 생
    국가베트남 | 제보자누구엔티미두이엔(원지영) [베트남, 여, 1989년생, 결혼이주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노간주 나무로 집을 털어내야 나쁜 액이 없어진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나무일까.] [조사자2: 아마 게 생각했던 나무들이 그걸로 울타리도 하지 않나요?] 사니아: 울타리? [조사자2: 울타리라고 집 주변에.] [조사자1: 펜스.] 사니아: 우리는 아, 그런 건 없죠. [조사자1: 그게 순간 소름끼치는 게. 어떡해 그 많은
    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아쑤바이에바 [카자흐스탄, 여, 1991년생, 유학생 3년차] 사니아 [카자흐스탄, 여, 1992년생, 유학생 6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걸려 어떤 방법을 써도 낫지 않았다. 그러던 어느 날 점쟁이가 찾아와 백조를 죽여 가져오면 아들의 병이 나을 것이라 했다. 남편이 백조는 기 때문에 죽이면 안 된다고 했지만 부인은 그 말을 듣지 않고 총을 쏴 백조를 죽였다. 총소리에 짝이었던 백조만 남고 모든 백
    국가카자흐스탄 | 제보자악지라 [카자흐스탄, 여, 1997년생, 유학 3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무슬림의 고양이에 대한 인식과 말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키워야 된다고?] 그거는 고양인지 개인지 상관없고. 왜냐면 동물도 신이 만든 생존하는 것이니까 죽어가는 동물들이 많아요. “한 마리라도 키우면 신의 축복을 받을 수 있다.”고. [조사자1: 그러면 고양이가 되게 잖아요.] 네. [조사자1: 신을 대신하는 동물로
    국가아제르바이잔 | 제보자피루자 [아제르바이잔, 여, 1990년생, 유학 2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고 그런 나무잖아요. 태국에서는. 그리고 이 나무가 되게 이렇게 쉽게 빠질 수 없는 그래서 어느 날 그 나라의 왕이 지나가다가 이 보리수나무를 보고 왕궁에다가 심고 싶다고 얘기해가지고, 그래서 이 나무를 뽑으려고 했는데 뽑을 수 없었어요. 그래서 사람들한테 막 부
    국가태국 | 제보자와닛차진시리와닛 [태국, 여, 1990년생, 유학 5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신문·잡지(95)

  • 하고 있음. 필자는 “여야 할 학문연구의 자유”가 “관료적 간섭에 의해 침해”되고 있다고 말함. 조선의 연구가 조선의 힘으로 직접 진행되지 않는 것은 “민족적으로 수치”임. 그러므로 민립대학 설립운동의 줄기에서 생각했을 때, 연희전문학교가 대학으로 승격하는 것은...
    대표표제어사학발전의 서광 | 자료유형기사/사설 | 집필자동아일보사 | 출처동아일보 | 키워드연희전문학교. 대학 승격, 민간학술연구기관, 민립대학 설립운동
  • 팀) 160 김윤복 청진시 관해리 81 함북로동신문사 민청 【□□】 공장에서 광산에서 농촌에서 인민□□□ 토대가 되는 인민경제계획의 과업을 □□ 고 □□ 궐기하고 있는 이때 □성민청원 612명은 지난 이앙기에 있어서 각 농촌으로 □□...
    대표표제어함북로동신문_1947_0718_02_02 | 책임주필김윤복
  • 적 『오지리』 청년은 이상 성명서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오지리』청년은 미제국주의와 그 공범자의 침략으로부터 조국을 수호하고 있는 민주주의조선청년과 단결하고 있다. 조선인민의 투쟁은 고 정당한 것이다. 『오지리』 청년은 전쟁도발자들의 범죄적 계획의 실천을...
    대표표제어조선인민보_1950_0704_01
  • 입학교제비라고 속여 금품을 취해벅고 입학안시킬 수도 없는 딱한 사정에 독단적으로 자기 교실에 학생의 책상을 가저다 놓고 버젓이 교편을 잡고 있던 교육자가 있었으니 참 웃을 수 없는 허극이야. -학원은 어디까지 신성해야 되고 교육자 역시 고 마음이 백묵같...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8_1209_02
  • 조선문조선_1933_17_12 [국내외 근현대 신문잡지 자료의 조사, 수집 해제 및 DB화 | 성균관대학교]
    만주농업별견 성기돈 47 농업은 다 채규삼 52 저금과 근무 지중세 54 도...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33

기타자료(1)

  • 왜가 신라에 사신을 보내자 왕자를 질로 요청하자 미해를 보내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5/倭 仁德 78) 신라 왜→신라 【번역】 제17대 나밀왕(那密王) 36년 경인에 왜왕이 사신을 보내 와서 뵙고 말하였다. “우리 임금이 대왕께서 다는 말을 듣고 신등을 시켜 백제의 죄를 대왕에게 아뢰게 하는 것이오니, 원하옵건대 대왕께서는 왕자 한 분...
    대표표제어왜가 신라에 사신을 보내자 왕자를 질로 요청하자 미해를 보내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390년(丙寅/신라 나물이사금 35/고구려 고국양왕 7/백제 진사왕 6/東晉 太元 15/倭 仁德 78)

주제어사전(7)

  • / [종교·철학/유학]

    1663∼1736. 조선 후기의 문신. 완의 아들이다. 1704년(숙종 30)에 참봉이 되고, 이어 현감을 거쳐 연안부사가 되었다. 돈령부도정에 이르러 평운군에 봉해졌다. 문장이 뛰어났고 72세에 죽었다. 저서로는《화암집》이 있다.

  • 화암집 / 和菴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 시집. 4권 2책. 목활자본. 1749년(영조 25) 둘째아들 경이 편집, 간행하였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경의 발문이 있다. 권1∼4에 시 500여수, 부록으로 묘갈명·애사·장일감음·추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자연경관이나 자연물을 노

  • 김상정 / 金相定 [종교·철학/유학]

    1722년(경종2) ∼1788(정조12). 조선 후기의 문신. 김장생의 6세손이며, 대사헌 김만채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진항이고, 아버지는 군수 김영택이며, 어머니는 의 딸이다. 1771년 의성현령으로 재직중 정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했으며, 1777년 정

  • 폭죽 / 爆竹 [생활/민속]

    이 놀라서 달아나고, 고 깨끗하게 새해를 맞이할 수 있다고 믿는다. 폭죽은 서울이나 시골 할 것 없이 오랫동안 전승되어왔으나 요즘은 전혀 볼 수 없다. 40∼50년 전만 하여도 가게에서 종이로 만든 대롱에 화약을 넣은 종이폭죽을 만들어서 팔았다. 아이들은 이것을

  • 백두산정계비도 / 白頭山定界碑圖 [지리/인문지리]

    1712년 청나라의 목극등이 백두산 정계비를 세울 때 소지했던 지도. 세로 21cm, 가로 32cm. 필사본. 백두산은 조선의 조산(祖山)으로 일찍부터 게 여겨졌고 청나라도 만주 지역에서 건국하였기 때문에 만주를 성역화하고 백두산을 중히 여겼다.1712년 청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