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섭” 에 대한 검색결과 15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9)

사전(33)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행하였다. 이에 수구파 정객과 전국의 유생들의 수교개화(修交開化)를 반대하는 상소가 잇달아 제출되었다. 특히 전국 유생들의 척왜상소가 중심을 이루어 이른바 신사척사운동이 전개되었다. 의 상소문은 1881년 윤7월에 올려진 강원도 유생 홍재학(洪在鶴), 충청도...
  • 이유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의 강력한 상소로 거제도에 유배되었다가 곧 풀려났다. 1882년 전권대신으로서 일본변리공사 하나부사(花房義質)와 제물포조약에 조인하였다. 학문에도 능하여 『임하필기(林下筆記)』ㆍ『가오고략(嘉梧藁略)』ㆍ『귤산문고』를 남겼으며, 예서에 능하였...
    이칭별칭 굉보(宏甫),흠부(欽夫)| 냉천(冷泉)
  • TD_R2_D_0024 萬年松 식물 鬆鬆, 刺, 絛絲 養花錄 D_01_02_10 대동운부군옥 1권 2장 1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1권 2장 1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R2_D_0231 宿莖 식물 養蕉賦 D_07_01_60 대동운부군옥 7권 1장 60절
    출전대동운부군옥 | 수록위치7권 1장 60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 TD_I3_S_0184 眉叟玉几銘 시 銘, 躓垤, 汔濟, 抵岸, , 揭尾, 心怠, 濡尾, 動時, 得失, 靜時, 跲躓, 兵事, 貨聚, 民散, 兵勝, 亂, 無傷, 無害, 思愼, 思難, 意遠 黃帝, 肅廟, 眉叟許相公 湯盤, 巾几銘, 易, 戰國策, 玉几...
    출전성호사설 | 수록위치30권 1장 66절 | 자료문의고려대학교 박종천 교수

고서·고문서(95)

신문·잡지(15)

기타자료(6)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5508 남한 경남 진주공립농업학교 2-48 진주공립농업학교 졸업대장 1회~32회 n.r. 29면 12. 대정12년 3월 20일 졸업 (12회) ;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진주공립농업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卞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7336 남한 경남 東萊高等普通學校 2-22 卒業證書臺帳 제1호(冊中1号) n.r. 22면 - 변;卞 1929년 3월 5일
    학교소재지역경남 | 학교명東萊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4207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 1940―12 53면 ㅁ1. 회원명부;ㅁ1) 보통회원(갑종);ㅁ(34) 제32회 133명(1936년 3월 졸업) 오;吳 (주소 및...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吳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93520 남한 경성 경기공립중학교 경기공립중학교동창회 회원명부(1940/12) 1940 53면 (34) 제32회 133명(1936년 3월 졸업) 오;吳 撫順탄갱 工業局 화학공업소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기공립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姜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36803 남한 경성 경성광산전문학교 1-06 京城鑛專會報 제1호 1940―05―28 137면 (학년)1학년 (학과)광산기계과 강;姜 경성부 길야정 1정목 63 金方;(본적)경남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광산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1)

  • / [종교·철학/유학]

    생몰년 미상. 조선 말기의 우국지사. 1880년(고종 17) 제2차 수신사 김홍집이《사의조선책략》을 가지고 고종에게 바쳤다. 이에 은 신사척왜상소문의 공통된 《조선책략》의 사학성의 지적과 사교(서학)의 배척을 강조하고 《조선책략》을 만이지역(일본)에 가서 가져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