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석호” 에 대한 검색결과 183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81)

사전(147)

  • 가헌집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조선 말기의 학자 ()의 시문집. [편찬/발간 경위] 1962년에 현손인 용호(龍鎬)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윤(李基允)의 서문과 권말에 박증헌(朴曾憲), 그의 증손인 기능(基能), 현손인 용호 등의 발문이 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 일고찰」‧「조선 중종 시대의 금은(禁銀) 문제」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그 밖에 1964년 화갑기념논총이 발행되었으며, 1973년 고희기념논총이 발행되었다. 『치암박사고희기념논총(痴菴博士古稀紀念論叢)』(형설출판사, 1973)
    이칭별칭 치암(痴?)
  • 현정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단군을 중심으로 민족주체성 확립을 위하여 조직된 사단법인체. [내용] 1968년 이희승(李熙昇)‧김상기(金庠基)‧윤태림(尹泰林)‧이항녕(李恒寧)‧이병도(李丙燾)‧이선근(李瑄根)‧() 등의 국학자들이 주축이 되어 창...
  • 호벽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울부짖고 가슴을 치며 통곡함. .之情 恐有不得自力於一身調將之節 則此私憂過計之不能遽忘者也, 김도화(金道和), 32-16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도청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로 문장과 체재를 통일하여 정초(正草)를 작성하였다. 따라서 도청은 실록편찬의 중추적 기능을 담당한 부서였다. 實錄廳儀軌 韓國史料解說(, 韓國史學會, 1964)

고서·고문서(10)

  • 50428 B050428 덕포첨사 德浦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憲宗 8年 12月 26日_011 ... 守任商準, 固城縣令, 萬頃縣令趙兢錫, 順安縣令金元植, 木川縣監金序敎, 迎日縣監李容熙, 鎭海縣監李孺虎, 康陵參奉李秉五, 徽慶園參奉金伯均, 以次進伏楹外。 德積僉使金...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49381 B049381 덕적첨사 德積僉使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純祖 31年 6月 22日_025 ...黃海水虞候。 同知單宋元周。 以李圭殷爲晉州營將, 許榦爲三陟營將, 李定鉉爲大興中軍, 柳相晉爲江華中軍, 崔柱悳爲北虞候。 護軍李紀淵·權敦仁·朴弘錫, 副護軍洪彦謨·李光龍·...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樂韶爲僉知, 鄭完默爲兼訓鍊都正, 金東三爲宣傳官, 李普憲爲內禁將, 姜夔欽·朴基勉·安錫俊爲五衛將, 金秀煥爲曹司衛將, 吳成默爲忠壯將, 李軒卿爲文兼, 李昌鉉爲武兼, 黃羲哲爲部將, 爲德津萬戶, 趙熙淵爲安骨萬戶, 知事單李恒基, 同知單孟錫寬, 大護軍沈舜澤, 護軍朴瑄壽·鄭夔和,...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韓貞植, 鐵山府使趙秉七, 草溪郡守任商準, 固城縣令, 萬頃縣令趙兢錫, 順安縣令金元植, 木川縣監金序敎, 迎日縣監李容熙, 鎭海縣監李孺虎, 康陵參奉李秉五, 徽慶園參奉金伯均, 以次進伏楹外。 德積僉使金鶴聲, 古群山僉使曺寅植, 注文僉使洪完福, 草芝僉使李仁圭, 龍媒僉使金昌倫,...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亟歸則父果以夢夕疾作未旬而死尹哭不離喪側旣葬廬父墳一日飄風暴起失案上香合數月有鳥啣物飛來置塋前人就視之卽所失香合也至朔望猶奠張墳徐終三年宣德壬子事聞殷保隲並命旌門拜官 孔門廬墓載遺編師道千年廢不傳誰料窮鄕初學輩種楷腰絰企前賢 一體而分性本眞夢驚親癠氣通神慈烏反哺能相感香合啣來慰棘人
    서명三綱行實圖 | 저자권채(權採), 설순(偰循) | 자료문의여주대학교 박현모 교수

신문·잡지(10)

  • (24) 독도논쟁 독도의 내력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65년 『독도』(대한공론사)(pp.15-37) 저술 23 이 글은 일본과 한국의 역사적인 기록을 가지고 독도가 한국 영토라는 것을 증명하고자 함. 이 글은 1. 소속 문...
    대표표제어독도의 내력 | 자료유형저술 | 집필자신석호 | 출처『독도』(대한공론사)(pp.15-37) | 키워드독도 문제, 독도 강탈, 일본인 독도 관념, 안용복 독도
  • 독도의 사적유래와 연혁 [한국 근현대 '정치-이념' 논쟁 자료 수집 및 DB화(1880-1987) | 경희대학교]
    (24) 독도논쟁 독도의 사적유래와 연혁 정치·법제 문헌 근대 1977년 『독도관계자료집』(외무부)(pp.17-21, 23-30) 기관지 13 이 글은 일본 측의 구상서 제출에 반해,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입증하고자 함. 필...
    대표표제어독도의 사적유래와 연혁 | 자료유형기관지 | 집필자신석호 | 출처『독도관계자료집』(외무부)(pp.17-21, 23-30) | 키워드일본 구상서, 독도 문제, 일본 독도 강탈, 독도 한국 영토
  • 신라시대의 골품제도 78 해외문화의 동향-현대구가자시와 문화 Y C 84 해외문화의 동향 오네일의 근업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29
  • 혁명과 사회도의의 새 차원 김기석 19 후진지역과 민주주의 차기벽 24 국사상으로 본 5.16혁명 30...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1
  • 한용희 62 제4차 아데나워정권의 해부 김광섭 67 독도의 사적유래와 연혁 72 대공...
    발행국가한국 | 발행연도1962

기타자료(14)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9038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1942년 11월 현재, 제20호) 1942―12 32면 ; 경북 봉화군 내성면 서곡리 본과 제1회 1924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249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0 315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2) 사학과;a. 1929년 3월 졸업(5명);(ㄱ) 조선사학 전공 ; (...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04146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 1-16 경성제국대학일람 1942 259면 3. 졸업생 성명;2) 문학사;(2) 사학과;a. 1929년 3월 졸업 ; (본적)경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4204 남한 경성 경성제국대학예과 1-17 경성제국대학예과일람 1924 83면 1. 생도;1) 씨명 (168명);(2) 文科 1학년 B조(43명) ; (본적)경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예과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 36명) ; (원적)경북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경성제국대학예과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1816년(순조 16)∼1881년(고종 18). 조선 후기 유학자. 부친은 신면위이다. 1866년(고종 3) 유후조 낙파상공의 천거로 경상도연보전도유사를 지냈다. 1876년(고종 13) 일제에 의해 강제로 강화도조약이 체결되자 최익현·황재현·홍재학 등과 함께 체결 반

  • 가헌집 / 可軒集 [종교·철학/유학]

    조선 말기의 학자 시문집. 3권 2책. 석인본. 1962년에 현손인 신용호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이기윤의 서문과 권말에 박증헌, 그의 증손인 신기능, 현손인 신용호 등의 발문이 있다. 권1에 부 3편, 시 53수, 소 1편, 서 32편, 권2에 잡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