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사철” 에 대한 검색결과 82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80)

사전(1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청선고(淸選考)』 (1671-1759) 1671(현종 12)-1759(영조 35). 조선 후기의 문신. 대사간,대사성,대사헌을 역임하다 영조 즉위 후 노론이 집권...
    이칭별칭 명서(明敍)
  • 신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6(숙종 32)∼?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여근(汝根). 사간 명규(命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단(鍴)이고, 아버지는 영중추부사(領中樞府事) 사철(思喆)이며, 어머니는 이규일(李揆一)의 딸이다. ...
    이칭별칭 여근(汝根)
  • 신만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703(숙종 29)∼1765(영조 41). 조선 후기의 문신.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여성(汝成)ㆍ성백(成伯). 집의(執義) 명규(命圭)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단(鍴)이고, 아버지는 영중추부사 사철(思喆)이며, 어머니는 이...
    이칭별칭 여성(汝成), 성백(成伯)| 효정(孝正)
  • 조록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물품 목록과 대조하여. 各種惠饋 寔出厚意 照錄謹領 感.無已, (), 22-23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 궁음 [옛 편지 낱말사전 | 한림대학교]
    한겨울 추위. 歲暮戀昻倍切 此際承拜情問翰 就審窮陰政履勝相 仰慰且遡, (), 22-239
    분야문화‧생활 | 유형문헌

고서·고문서(66)

  • 2_070689 18351_0383 奎18351 壽進宮(1686) 충청도 목천현 量外加耕折受田畓 聖岩面 烏洞 충청도 목천현 聖岩面 烏洞 20 20결 () ...
    자료번호18351_0383 [奎18351] | 자료문의서울대학교 김건태 교수 연구팀
  • 19009 B019009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年 1月 9日_034 ○下直, 水口萬戶金聖器, 黔毛浦萬戶李汝明。 丙午正月初九日申時, 承文院提調請對入侍時, 上御進修堂。 戶曹判書, 禮曹判書沈宅賢, 右副承旨李潗, 假注書鄭亨復, 記事官朴弼賢·韓顯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9023 B019023 검모포 黔毛浦 군사교통 承政院日記 英祖 2年 1月 9日_034 ○下直, 水口萬戶金聖器, 黔毛浦萬戶李汝明。 丙午正月初九日申時, 承文院提調請對入侍時, 上御進修堂。 戶曹判書, 禮曹判書沈宅賢, 右副承旨李潗, 假注書鄭亨復, 記事官朴弼賢·韓顯謩,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331 B01633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9年 10月 19日_011 ○洪景輔啓曰, 守禦使, 以知春秋實錄奉安事, 今方出往于江華府, 而勢將屢日經宿, 所受密符, 來請還納, 何以爲之? 敢稟。 傳曰, 仍佩往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 16511 B016511 강화부 江華府 정치행정 承政院日記 英祖 9年 10月 19日_011 ○洪景輔啓曰, 守禦使, 以知春秋實錄奉安事, 今方出往于江華府, 而勢將屢日經宿, 所受密符, 來請還納, 何以爲之? 敢稟。 傳曰, 仍佩往來。
    출처전거承政院日記 | 자료문의국민대학교 한국역사학과 홍영의 교수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671∼1759). 숙종 때 문과 급제하여, 이조좌랑·전라도관찰사 등을 지냈다. 경종 즉위 후 대사간·대사성·대사헌을 역임한 뒤 신임옥사로 노론이 숙청될 때 파직되었다가, 영조 즉위 후 대사헌과 호조판서가 되었다. 정미환국으로 파직되었다가 등용되어

  • 이보문 / 李普文 [종교·철학/유학]

    1715년(숙종 41)∼1740년(영조 16). 조선 후기 유학자. 이사경 후손, 고조는 이후연, 증조는 이정악, 조부는 이세백이다. 부친 이의현과 모친 송하석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인은 의 딸이다. 어려서부터 잔병이 많더니 요절하였다. 슬하에 후손이 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