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만” 에 대한 검색결과 1,491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1,466)

사전(374)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國朝榜目)』 『청선고(淸選考)』 (1703-1765) 1703(숙종 29)-1765(영조 41). 조선 후기의 문신. 글씨는 ≪근묵≫에서.
    이칭별칭 여성(汝成), 성백(成伯)| 효정(孝正)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20(광해군 12)∼1669(현종 10). 조선 중기의 학자. [내용] 자는 만정(曼情), 호는 주촌(舟村). 본관은 평산(平山). 영의정 흠(欽)의 증손이다. 시직(侍直) 익륭(翊隆)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문인이다. 1636...
    이칭별칭 만정(曼情)| 주촌(舟村)| 효의(孝義)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는 석화제라 하여 경쾌한 소리제에 장기가 있었으며 이를 잘하였기 때문에 ‘사풍세우 엽(斜風細雨葉)’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특히「수궁가」에 능하였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토끼가 세상에 나오는 대목’을 잘하였다. 중중모리장단에 “석화제로 가자 어서가.”로 시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1692(숙종 18)∼1774(영조 50). 조선 후기의 학자. [내용]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중삼(仲三), 호는 곤학재(困學齋). 강원도 홍천 출생. 아버지는 소(紹)이며, 어머니는 전주이씨(全州李氏)로 명선랑(明善郎) 준(俊)의 ...
    이칭별칭 중삼(仲三)| 곤학재(困學齋)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신유복의 셋째아들로, 총명과 재주가 뛰어나 청년 등과하여 벼슬살이 1품에 이른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721)

  • 4901 P-SDK-04901-P-A-08-04 P-SDK-04901-P-A-08-04-1 P-SDK-04901-P-A-08-04-2 물상 Shin Bambutsu so, the landscape of which is beyond descript...
    자료명신만물상 | 발행처德田商店 | 자료문의동아대학교 신동규 교수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천고 강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하얼빈시(哈尔滨市) 아성현(阿城县) 제4중학교 3 2 천고, 노력, 은덕,
    대표표제어천신만고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천고 한 남자 경상북도 포항시 길림성(吉林省) 길림시(吉林市) 길림화공학원 수학교연실 27 2 천고, 문장...
    대표표제어천신만고 | 성씨
  • 문화·생활 문헌 근현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자료학(일반류)-자유주제 동덕여자대학교 조진남 자만 김 남자 흑룡강성(黑龙江省) 녕안현(宁安县) 동경성(东京城) 임업국4숙사 5위 292호 4 2 자만, 새...
    대표표제어자신만만 | 성씨
  • 01000 잡가 新撰俗曲集 12021 1913년 李尙俊 京城 廣益書舘 李尙俊 金聖杓 六十錢 병봉가 [28] [一] 남산고 열 두 봉에 오작이 쌍이 날아든다 에에에에이에야 에야듸야 내 랑아 [二] 귈노비 훨훨 다
    구분잡가 | 편저자李尙俊

구술자료(25)

  • 오며가며 망 당한 나무장수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하나 더 할까.” 하더니 웃으며 시작했다. *
    조사일시1981-08-21 | 조사장소충청북도 단양군 가곡면 | 제보자이만종
  • 호랑이에게 물려 가도 정 차리면 산다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조사자는 테이프를 채우자며 또 한편의 설화를 유도했다. 그 말을 알아 들은듯 제보자는 호랑이 얘기를 시작했다. 왼손에는 담배를 들고 오른손으로는 부지런히 손짓을 하면서 구연했다.*
    조사일시1985-04-20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옹동면 | 제보자조정동
  • 남녀 인연을 맺어주는 신 유에라오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 구축 | 건국대학교]
    은 유에라오 볼 수 있다. 유에라오, 신, 빨간 실, 발목, 인연, 전설, 반소홍, 중국, 한족, 강원도, 횡성읍 옛날에 어떻게 됐냐면 하늘에서 그 뭐지 남자랑 여자를 이렇게 인연을 맺혀주는 거 따로 있어요. 그거 ‘유에라오’라고 하거든요. 유에라오. 유에라오
    국가중국 | 제보자반소홍 [중국, 여, 1977년생, 결혼이주 8년차] | 자료문의건국대학교 신동흔 교수
  • 전경환 음악조사 ② [민속악 현장조사 자료의 수집 및 정리, DB구축 | 서울대학교]
    료이다. 2) 음질 상 전경환 가야금 산조 아쟁 산조 유대봉 성금연 임화중 유성천 임동선 배희근 배성역 임화중 엽 정창업 정광수 김종길 산조 1985-05-18 전남 영광군 영광읍 교촌리 20:
    자료구분상세음악조사자료 | 자료유형산조 | 자료조사자이보형 | 대담자‧연주자전경환
  • 이진선 [월남민 구술생애사 조사연구 | 연세대학교]
    중 한국전쟁 발발 - 가족들이 자 남겨둔 채 월남함 - 구술자는 안악에 있는 비행기 공장에서 노동하다가 혼자 남겨짐 - 3년 동안 친척집을 돌아다니면서 생활 - 민청 부위원장을 하면서 간호원 교육을 받음 - 이후 시장에 나왔다가 국군을 만나 월남 - 줄하도에서 빨갱
    구술자이진선 | 직업 인천지구 황해도민회 | 지역황해도

기초학문(4)

  • 한국투자기업의 현지종업원 조직몰입도 및 그의 결정요인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만수, 게재일 : 1997
    01808 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경영학회 1997 한국투자기업의 현지종업원 조직몰입도 및 그의 결정요인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a
    유형논문 | 게재일1997
  • 아세안지역 한국투자기업의 경영현지화전략 :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만수, 게재일 : 1998
    01125 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경영학회 1998 아세안지역 한국투자기업의 경영현지화전략 :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
    유형논문 | 게재일1998
  • 존재에서 성스러움에로! 21세기를 위한 대안적 사상모색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이기상, 게재일 : 2001
    DataId=4b76f6dc187a00f501188ea496770b93 존재에서 성스러움에로! 21세기를 위한 대안적 사상모색. 하이데거의 철학과 류영모 사상에 대한 비교연구. 오직 이 우리를 구원할 수 있다! https://www.krm.or.
    유형논문 | 게재일2001
  • 북미(NAFTA)지역내 한국자회사의 현지화 전략과 성과 [한국연구재단 기초학문자료센터 | 한국연구재단]
    저자 : 신만수, 게재일 : 2003
    13390 수 일반논문 한국연구재단 한국국제통상학회 2003 북미(NAFTA)지역내 한국자회사의 현지화 전략과 성과 https://www.krm.or.kr/krmts/link.html?dbGubun=FRBR&met
    유형논문 | 게재일2003

신문·잡지(316)

  • 경제·산업 사건 근대 俊(-) 인천 俊 - 寺町 25-1 - - 음식점업 판매 12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申萬俊(-)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음식점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根(勉强屋) 인천 根 勉强屋 寺町 25-1 - - 금융업 대부 7 겸업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申萬根(勉强屋)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금융업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根(勉强屋) 인천 根 勉强屋 寺町 25-1 - - 鳥獸肉,계란 도소매 29 - 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申萬根(勉强屋) | 지역인천 | 품목- | 영업종목鳥獸肉,계란 | 자료출처仁川港: 仁川商工人名錄, 1931년
  • [夏の金剛山] 物相 ([여름 금강산]물상) [경성일보 미술이미지와 기사의 발굴, 수집 및 DB화 | 한국미술연구소]
    丸山晩霞(1867-1942)그림+짧은 글. 16회 연재
    작품명_원문[夏の金剛山] 新萬物相 | 게재일19170720 | 게재판 | 게재면01 | 게재단2-4
  • 졍부 육잇고 령혼은업슴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가 허슈애비란것도 곡식밧헤 셰워두면 즘이겁을여 감히 범졉지못거든 을며 사은 사으로셔 졍부에안일을보면허슈비만도 분명이못니 그런즉 우리졍부관인의속에 령혼이업고 륙긴사들만 모인곳이라 지로다 젼국 즁앙졍부를 육긴 송쟝으로 조직얏슨즉 졍부가...
    게재일1906년 8월 31일 | 기사분류논설

기타자료(26)

  • 복;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0484 북한 함남 永生高等普通學校 3-08 校友會報 제3호 1937―10―07 175면 1. 동창회명부;2) 영생고등보통학교 졸업생;(1) 제1회(1933년) 복;福 新興학원;興南邑
    학교소재지역함남 | 학교명永生高等普通學校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17969 남한 경성 휘문중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128면 식;植 전북 순창군 순창면 가남리 제1회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중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1724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회원명부 1942―02―15 66면 식;植 충남 논산군 두마면 입암리;湖南線 豆溪合名會社 鷄嗚釀造場 제5회 1927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29068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4호 1927 156면 ㅁ1. 본년도 회원 씨명;ㅁ(학년반)5갑 식;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식;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010741 남한 경성 휘문고등보통학교 1-48 휘문 제3호 1925 136면 1. 본년도 회원 씨명;4학년 병반 식;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휘문고등보통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연구과제(1)

주제어사전(24)

  • / [종교·철학/유학]

    조선 후기의 문신(1703∼1765). 영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대사성·부제학·도승지·이조참판 등을 거쳐 예조·이조·호조·병조의 판서, 개성유수·경기관찰사를 지냈다. 찬수당상으로 《천의소감》을 편찬한 이후 우의정·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으나, 사도세자가 뒤주에

  • 갑진만필 / 甲 [역사/조선시대사]

    조선시대 문신 윤국형이 임진왜란 전후의 시사에 관하여 견문한 내용을 기록한 실기. 1권 1책. 필사본. 선조 초(1573∼1582)의 시사(時事)에 관한 견문들을 수필체로 기술한 『문소만록(聞韶漫錄)』의 추록으로서 임진왜란 전후 약 20년간에 일어난 시사에 관한 견문,

  • 신구중 / 愼龜重 [종교·철학/유학]

    1682년(숙종 8)~미상. 조선 후기 문신. 신수근 후손, 증조는 신득의, 조부는 신희. 부친은 신휘오, 생부는 신지일이다. 외조부는 이대년, 처부는 이정관이다. 형은 적‧길, 동생은 중이다. 1711년(숙종 37) 식년시 생원 1등 3위로 합격, 172

  • 강릉호해정 / 江陵湖海亭 [예술·체육/건축]

    浦堂)을 헐어 옮겨 지은 것이다. 이 자리는 원래 별검(別檢) 벼슬을 지낸 장호(張昊)가 자신의 아호를 따서 붙인 태허정(太虛亭)이 있던 곳이다. 장호는 이곳을 조카사위인 공조참의 김몽호(金夢虎)에게 물려주었고, 김몽호의 아들 득헌(得憲)은 다시 사위 ()에게

  • 국조속오례의보 / 國朝續五禮儀補 [종교·철학/유학]

    조선후기 문신 등이 왕명으로 『국조속오례의』를 수정·보완하여 1751년에 편찬한 예서. 2권 1책. 목판본. 1751년(영조 27) () 등에 의하여 편찬되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권1에 길례(吉禮) 11편, 권2에 가례(嘉禮) 10편 등을 보충하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