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립” 에 대한 검색결과 2,900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2,895)

사전(192)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考 懲毖錄 宋子大全 장군 순절비각 조선 중기의 무신인 (1546-1592)의 순절비각. 충북 충주 칠금동 소재.
    이칭별칭 입지(立之)| 충장(忠壯)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순변사로, 모집한 군사를 이끌고 충주로 들어가 있다가 상주에서이일의 군사가 싸운다는 소식을 듣고 상주로 가던 중에 이일의 군대가 이미 패하였다는소식을 듣는다. 김여물이 조령을 지키자고 하나, 군대가 기병이라는 이유로 충주로 가서진을 친다. 그러나 조령을 넘어온 일본 군...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순변사로, 조령과 탄금대 전투에서 왜군에게 대패한다.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몽유자의 몽중 잔치에 모인 원귀들이 임진왜란 때 패전의 책임을 물으며 비판하자 달천 전투에서, ‘ 패하게 된 것은 자신의 잘못이 아니라 하늘이 도와주지 않았기 때문’이라 변명한다. 또한 탄금대에서 배수진을 친 까닭은 자신이 결전의 의지를 보인 것이며, 정예병이 없고 ...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 [한국 고전소설 캐릭터 사전 | 국민대학교]
    임진왜란 때 달천강 전투에서 패한 조선의 장수이다. 용궁 잔치에 참석했다가 파담자[몽유자]를 만나, 탄금대 전투에서 자신이 패한 사실에 대하여 세상 사람들은 어떻게 평가하느냐 묻는다. 파담자가 ‘이 많은 정예병을 거느리고도 제대로 싸워 보지도 못하고 무너진 것은
    분야문화‧생활 | 유형인물

고서·고문서(2,649)

  • 3 第三統統首韓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7년_온양면(溫陽面) 1687년 온양면(溫陽面) 第八光靑里 3 第三統統首韓 統第一戶 府案付御軍老除韓年陸拾陸壬戌本興海父正兵德上祖正兵汗連曾祖汗文外祖正兵朴巖外本興海妻風今年伍拾 壹丁丑本密陽父正兵徐仁立祖正兵德連曾祖正兵德建外祖正兵李宗國本慶州率女亡禮...
    연도_면이름1687년_온양면(溫陽面) | 면이름온양면(溫陽面) | 마을이름第八光靑里
  • 8 第八統統首奴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14년_농소면(農所面) 1714년 농소면(農所面) 第四堤內里 8 第八統統首奴 第一戶私奴鶴只今故代子兵營軍牢私奴年參拾陸己未本金海上典呂泉居幼學 李仁進父私奴鶴只祖私奴石乙金曾祖私奴石乙明率母私婢乙玉只年陸拾陸己 丑外祖私奴厚山伊本安東妻良女金召史年參拾肆辛...
    연도_면이름1714년_농소면(農所面) | 면이름농소면(農所面) | 마을이름第四堤內里
  • 相良丹蔵外1인 조선행 신청
    작성국가일본 | 원소장처国立公文書館 | 발신일1871.12.14
  • 5 第五統統首牧子金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684년_내상면(內廂面) 1684년 내상면(內廂面) 第七大鞭坊 5 第五統統首牧子金 統第一戶 良牧子金年貳拾玖丙申本--{父良}人應澤祖國伊曾祖小斤同外祖良人李守化本蔚山母私婢丹春妻良女奉今年參拾乙未本京 畿父良人金孫--------{外祖良}人金毛老金本京畿...
    연도_면이름1684년_내상면(內廂面) | 면이름내상면(內廂面) | 마을이름第七大鞭坊
  • 18 第十八統統首兵營軍 [울산호적의 기초조사 및 전산화 (2단계) | 울산대학교]
    1726년_미상 1726년 미상 第十九長生浦 18 第十八統統首兵營軍 第一戶兵營生物軍年肆拾柒庚申本蔚山主京居李萬千不喩李大弘父私奴 申生祖私奴德生曾祖私奴德男外祖私奴良卜本蔚山母私婢良每妻金召史年 肆拾陸辛酉本金海父正兵戒還祖正兵戒曾祖正兵卜只外祖正兵貴生本...
    연도_면이름1726년_미상 | 면이름미상 | 마을이름第十九長生浦

구술자료(23)

  •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이 지역과 관련하여 아는 인물이 없느냐는 조사자의 질문에 다음의 이야기를 구연하였다.
    조사일시2009. 2. 4(수) | 조사장소충청남도 금산군 군북면 보광리 안보광길 노인회관 | 제보자박영찬
  • () 장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제보자는 앞의 오성대감의 얘기 끝에 생각난 듯 ‘신립 장군 이야기’를 꺼냈다. 청중 한 사람이 나갔으므로 자리가 넓어져 편한 자세로 고쳐 앉으며 이야기를 시작하였다.*
    조사일시1985-03-31 | 조사장소전라북도 정읍군 이평면 | 제보자김상철
  • 장군과 된박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일시1981.07.18 | 제보자미상
  • 장군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 이야기는 계속 쉬지 않고 번져 나갔다.*
    조사일시1981-07-17 | 조사장소경기도 강화군 화도면 | 제보자신석하
  • 장군 이야기 [한국 구비문학대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사자가 원귀 이야기를 해달라고 하자 그 이야기는 신립 신장군이 있다고 하고서 구연한 이야기다. 이 자료는 경기일대에 널리 구전되는 이야기다.*
    조사일시1979-02-25 | 조사장소경기도 여주군 여주읍 | 제보자안평국

신문·잡지(20)

  • 경제·산업 사건 근대 奧田(奧田) 서울 奧田 奧田 黃金町 5-173 청부업 - 면타(綿打) 청부 15.3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奧田申立(奧田申立) | 지역서울 | 품목청부업 | 영업종목면타(綿打)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대졍동 칠십통이호 초가칠간판각문권을... [제국신문의 수집, 정리 및 DB자료화 | 한양대학교]
    대졍동 칠십통이호 초가칠간판각문권을 음월분에 서실와 한셩부에 지를 터이오니 슈모습득여도 휴지시오 가쥬 김졔풍 고
    게재일1904년 12월 30일 | 기사분류광고
  • 경제·산업 사건 근대 洪亮燮(洪亮燮) 서울 洪亮燮 洪亮燮 水下町 40 약품_의료기 - 매약(賣藥) (신설) 22.5 - 京城商工名錄, 1940년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토대연구지원 서강대학교 최기영
    대표표제어洪亮燮(洪亮燮) | 지역서울 | 품목약품_의료기 | 영업종목매약(賣藥) | 자료출처京城商工名錄, 1940년
  • 출판경찰보 069호 양우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자료 DB 구축 | 선문대학교]
    둔(屯) 부근에서 얻은 전리품’이라는 제목으로, 지나 측이 입수한 아군 병사의 일기 및 그 일기문으로 사진판을 게재하여, 그 내용 중 일부를 왜곡하여, 황군의 존엄을 모독했기 때문에 금지. 한국학분야 토대연구지원 일제강점기 제국과 식민지의 출판 검열...
    대표표제어출판경찰보 069호 양우 | 출판물명양우(良友) 제74기
  • 김도명 평양특별시 대항리 투사신문사 국부군, 민주연군, 신화사통신, 민주연군총부 중국 동북 전선 13일 신화사통신이 전하는 바에 의하면, 민주연군총부에서 발표한 중국 동북의 타호산 통로 간 철도선에 있는 국부점령지인 흑산과 둔에 대하여 민주...
    대표표제어투사신문_1947_1017_02 | 책임주필김도명

기타자료(11)

  • 고성(古城) [발해 네트워크의 역사적 위상: 육로, 수로 그리고 해로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역사 유적 고대 고성(古城) 중국 고성(古城) 관방유적 / 평지성 발해 / 요금대 길림성 유수현(楡樹縣) 향(乡) 촌(村) 서성자둔(西城子屯) 고성.pdf 한국학기초자료사업 역사기초자료연구(자유주...
    대표표제어신립고성(新立古城) | 유적소재국가중국 | 유적명신립고성(新立古城)
  • 북천양일;北川洋一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03029 북한 평남 대동공업전문학교 大同工學會會報 제1호 1942―03―01 58면 1. 회원명부;4) K 북천양일;北川洋一 평남 개천군 조양면 리 朝陽광업주식회사
    학교소재지역평남 | 학교명대동공업전문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이명찬;李明贊 [근대 한국의 학력 엘리트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한국교원대학교]
    125465 남한 경성 중동학교 1-41 회원명부 1942년 11월 현재(제20호) 1942―12 91면 이명찬;李明贊 평남 개천군 조양면 리 본과제16회 1939년 3월
    학교소재지역경성 | 학교명중동학교 | 자료문의한국학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근대교육사 연구센터
  • 백제의 목만치가 가야에서 머물다가 왜로 가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권세의 높기가 세상을 덮을 정도였다. 그러나 천조에서는 그의 횡포함을 듣고 그를 불렀다”라고 되어 있다]. (『日本書紀』 10 應神紀) 【원문】 (應神天皇二十五年) 百濟直支王薨 卽子久爾爲王 王年幼 大倭木滿致執國政 與王母相婬 多行無禮 天皇聞而召之[百濟記云 木滿致者是木...
    대표표제어백제의 목만치가 가야에서 머물다가 왜로 가다. | 주제분류교류담당 | 연대414년(甲寅/신라 실성이사금 13/고구려 장수왕 2/백제 전지왕 10/東晉 義熙 10/倭 允恭 3)
  • 히케타노아손무시마로가 발해군왕의 신물을 바치다. [동아시아 ‘교류’ 관련 한국고대사 기초자료 연구 : 문서, 사람, 물품 | 고려대학교]
    발해 일본→발해 【번역】 (9월) 계축(2일), 천황이 중궁(中宮) 중궁(中宮): 『속일본기』에서 중궁은 후지와라노 미야코(藤原宮子)나 다카노니카사(高野) 등 개인을 가리키는 경우와 평성궁내의 특정 구역을 가리키는 경우가 존재한다. 여기에서는 후자를 가리...
    대표표제어히케타노아손무시마로가 발해군왕의 신물을 바치다. | 주제분류교역물품 | 연대730년(庚午/신라 성덕왕 29/발해 무왕 仁安 12/唐 玄宗 開元 18/日本 聖武天皇 天平 2)

주제어사전(5)

  • / [종교·철학/유학]

    1546(명종 1)∼1592(선조 25). 조선 중기의 무신. 개 현손, 할아버지는 상, 아버지는 화국이다. 어머니는 윤회전의 딸이다. 무과에 급제 선전관·도총관·도사·경력, 외직인 진주판관, 함경도남병사, 삼도순변사 등을 역임하였다. 고니시(小西行長)를 선두로 한

  • 도순변사 / 都巡邊使 [정치·법제/법제·행정]

    조선시대 군무를 총괄하기 위하여 중앙에서 파견하던 국왕의 특사.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이 삼도도순변사에 임명되어 충주에서 왜군을 막다가 전사한 것 이외는 도순변사에 임명하는 별다른 기록이 없어 그 구체적인 직무를 알 수 없다.

  • 송한필 / 宋翰弼 [문학/한문학]

    함원(含怨)을 동인(東人)들이 송익필에게 전가하여 1589년(선조 22)에 일족을 노예로 환천(還賤)시켰다. 박인로(朴仁老)·김지백(金知白)·최대겸(崔大謙)·박(朴)·조호인(曺好仁)·박준민(朴俊民)·김상문(金尙文) 등과 교유하였다. 시 32수와 잡저가 형인 송익

  • 신준 / 申埈 [종교·철학/유학]

    1572년(선조 5)~1638년(인조 16). 조선 중기 문신. 조부는 , 부친은 신경진이다. 인조반정 때 백의종군하여 공적을 세웠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서 1623년(인조 1)에 구인기‧노수원‧박유명‧송영망‧신경식‧한여복‧홍효손 등과 함께 정사공신 3등에 책록되

  • 신계후전 / 申繼後傳 [문학/고전산문]

    소개하고 있다. 둘째, 여귀에 의한 의 죽음과, 노비인 험탈의 죄를 벌하려 할 때 험탈의 딸이 꿈에 나타난다는 설정은 전설 모티프가 삽입된 것이다. 셋째, 노비의 배반과 고금도 입도·혼인·도망·복수는 문헌설화에서 보이는 추노설화(推奴說話)와 골격을 같이한다. 넷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