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필터

[전체] “신리대전” 에 대한 검색결과 9건의 검색결과가 있습니다.

홈 > 검색결과

연구성과물(7)

사전(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정의] 대종교의 경전. [내용] 초대 교주 나철(羅喆)이 ≪삼일신고 三一神誥≫의 신훈편(神訓編)을 설명한 것으로 모두 4장으로 나뉘어 216자의 한자로 되어 있다. 후에 서일(徐一)이 한문으로 주(註)를 달았으며, 1923년 제2대 교주인 김교헌...
  • 삼신일체사상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다. ≪삼일신고 三一神誥≫와 ≪신사기 神事記≫‧≪ ≫ 등의 경전에 따르면 시공성(時空性)을 초월한 유일무이한 절대적인 신(神)인 한얼[天帝]이 바로 신앙의 대상이다. 한얼은 한님 (‘한’은 ‘하늘’이라는 뜻이고, ‘크다’는 뜻이며, 짝이 없는 ‘하...
  • 삼진귀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이다. 이에 관한 내용은 나철이 1911년에 발간한 ≪ ≫과 ≪삼일신고≫에 잘 나타나 있다. 그에 따르면 한민족의 정통사상은 삼일철학으로, 3과 1의 관계를 기본원리로 하여 우주 및 인생의 근원을 밝히는 동시에, 우주와 인생의 조화로운 발전 원리...
  • 종리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애인(愛人)의 삼대 실천사상으로 뒷받침한다. 교리는 ≪천부경 天符經≫‧≪삼일신고 三一神誥≫‧≪신사기 神事記≫‧≪ ≫‧≪회삼경 會三經≫‧≪삼법회통 三法會通≫ 등의 경전(經典)을 위주로 하여 한얼님이 우주를 창조하고 교화하고 다스리는 내용이 과학적으로...
  • 나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개정증보 | 한국학중앙연구원]
    표하였다. 1910년 8월에는 단군교의 이름을 빙자한 친일분자들의 행각으로 인해, 원래의 명칭으로 환원한다는 의미와 함께 대종교라고 이름을 바꾸었다. 1911년에는 대종교의 신관(神觀)을 삼신일체의 원리로 설명한 ≪ ≫을 발간하...
    이칭별칭 홍암(弘巖)|나인영

주제어사전(2)

  • /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나철이 <삼일신고>의 신훈편을 설명한 책이다. 신위, 신도, 신인, 신교의 4장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대종교의 신관을 여러 가지 차원에서 설명하고 있다. 서일이 한문으로 주를 달았으며, 1923년 김교헌이 간행하였다. 그 뒤 윤세복이 한글로 번역하

  • 삼일신고 / 三一神誥 [종교·철학/대종교]

    대종교 경전의 하나. <삼일신고><천부경><팔리훈><신사기> 등의 계시경전과 나철이 저술하고 서울이 주해를 붙인 <>, 서일이 저술한 <회심경> 그리고 윤세복이 임오교변 당시 저술한 <삼법회통>이 있다. 이 중에서 천부경, 삼일신고, 팔리훈은 각각 조화경,